목차
1. 요약
2. 서론
3. Theory
4. Method
5. Reference
2. 서론
3. Theory
4. Method
5. Reference
본문내용
( NaOH, )
: ,
*완충용액 ()
:
*흡광도 →
♣Ka의 계산
*파장 435nm에서........
①완충용액에서...
②산성용액에서...
③염기용액에서...
이 식을 통해 와 를 구하고, , 이 식을
다음 식에 넣어 를 구한다.
를 구할 수 있다.
*600nm에서
산용액의 흡광도는 0이므로,
해리도 α는 ,
4.Result
① HCl (ph=4) *d=1cm
= 435nm에서
,
산성......
염기성......
Buffer......
② NaOH (ph=11)
= 600nm에서
산 용액에서 흡광도는 0
......pKa의 평균은 8.98
5.제조 과정
① Thymol blue 수용액 Thymol blue powder 0.145g을 200ml EtOH 에 녹이고 이를 1000ml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묽힌다.
② NaOH 100ml(M.w=40.00g/mol)
를 100ml로 묽힌다. 이를 10ml 취해 100ml로 묽히고 다시 10ml취해 100ml 로 묽혀 0.001M NaOH로 만든다.
③ HCl M.w=36.46 g/mol , 35%(w/w)
100ml 증류수로 묽힌다. (1M, 100ml)
1.00M 100ml를 4번 묽혀서 를 100ml로 만든다.
6. 토의(Discussion)
☞이번 실험에 사용한 NaOH와 HCl의 농도의 값이 정확하지 않았다. HCl과 NaOH의 농도는 표정을 거치지 않고 이론적으로 계산을 통해서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런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HCl과 NaOH의 농도를 정확히 할 필요가 있는데 HCl표준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차 표준물인 탄산나트륨을 이용해서 표정하면 되고 NaOH는 프탈산나트륨을 이용해서 표정하면 된다.
☞흡광도를 측정할 때 처음에 buffer에 티몰블루수용액을 넣지않고 실험해서 흡광도 값이 음의 값이 나왔다. 흡광도 값은 음의값이 나올 수가 없는데 음의값이 나와서 실험이 잘못된 것을 알았다.
☞시료 칸막이에 용기를 넣고 안내표지를 정렬 시킬 때 NaOH의 용기에는 정확한 안내 표지가 없어서 흡광도 값의 오차가 생겼다.
☞pKa값의 대략적인 평균을 내어보니 pH8.98 이었다.이 값은 문헌에 나와 있는 pH9.00과 거의 일치하는 값이었다.
7. Reference
♠기본분석화학, 박기채, 탐구당, 1998년
♠물리화학 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1999년
♠Physical Chemistry, P.W Atkins
: ,
*완충용액 ()
:
*흡광도 →
♣Ka의 계산
*파장 435nm에서........
①완충용액에서...
②산성용액에서...
③염기용액에서...
이 식을 통해 와 를 구하고, , 이 식을
다음 식에 넣어 를 구한다.
를 구할 수 있다.
*600nm에서
산용액의 흡광도는 0이므로,
해리도 α는 ,
4.Result
① HCl (ph=4) *d=1cm
= 435nm에서
,
산성......
염기성......
Buffer......
② NaOH (ph=11)
= 600nm에서
산 용액에서 흡광도는 0
......pKa의 평균은 8.98
5.제조 과정
① Thymol blue 수용액 Thymol blue powder 0.145g을 200ml EtOH 에 녹이고 이를 1000ml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묽힌다.
② NaOH 100ml(M.w=40.00g/mol)
를 100ml로 묽힌다. 이를 10ml 취해 100ml로 묽히고 다시 10ml취해 100ml 로 묽혀 0.001M NaOH로 만든다.
③ HCl M.w=36.46 g/mol , 35%(w/w)
100ml 증류수로 묽힌다. (1M, 100ml)
1.00M 100ml를 4번 묽혀서 를 100ml로 만든다.
6. 토의(Discussion)
☞이번 실험에 사용한 NaOH와 HCl의 농도의 값이 정확하지 않았다. HCl과 NaOH의 농도는 표정을 거치지 않고 이론적으로 계산을 통해서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런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HCl과 NaOH의 농도를 정확히 할 필요가 있는데 HCl표준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차 표준물인 탄산나트륨을 이용해서 표정하면 되고 NaOH는 프탈산나트륨을 이용해서 표정하면 된다.
☞흡광도를 측정할 때 처음에 buffer에 티몰블루수용액을 넣지않고 실험해서 흡광도 값이 음의 값이 나왔다. 흡광도 값은 음의값이 나올 수가 없는데 음의값이 나와서 실험이 잘못된 것을 알았다.
☞시료 칸막이에 용기를 넣고 안내표지를 정렬 시킬 때 NaOH의 용기에는 정확한 안내 표지가 없어서 흡광도 값의 오차가 생겼다.
☞pKa값의 대략적인 평균을 내어보니 pH8.98 이었다.이 값은 문헌에 나와 있는 pH9.00과 거의 일치하는 값이었다.
7. Reference
♠기본분석화학, 박기채, 탐구당, 1998년
♠물리화학 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1999년
♠Physical Chemistry, P.W Atkin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