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3. 실험방법
A. 초속도 측정
B. 수평이동거리 측정
4. 실험 결과
<포물체의 운동>
A. 초속도 측정
B. 수평 이동거리 측정
C.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5. 결론 및 토의
2. 이론
3. 실험방법
A. 초속도 측정
B. 수평이동거리 측정
4. 실험 결과
<포물체의 운동>
A. 초속도 측정
B. 수평 이동거리 측정
C.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5.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
41.3
17.1
38.5
17.8
41.5
20.8
40
18.8
40.2
19.0
36.1
17.4
최고도달 높이
0.040
0.086
0.142
0.202
0.258
0.304
C.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각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도달 거리
(㎝)
94
93.5
93
93.7
94.2
94.3
94.3
94.5
94
최대도달
각도 (°)
48˚
최대도달거리 (㎝)
94.5
5. 결론 및 토의
우선 A, B, C 모든 실험이 원래는 강도가 2단계로 해야 했으나 기계에 문제가 있어서 강도를 1단계로 하였다. 그래서 다른 조와는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 A
우리 조는 대체로 거의 일치 하였다.
실험 B
대체적으로 오차가 크게 났다. 특히 실험 결과값에는 큰 오차가 없었으나 이론상의 거리와 비교 했을 때에는 너무나도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물론 기계적 결함이나 공기의 저항으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지만 특히 실험 시간이 부족하여 약간 성급하게 한 듯 하다.
실험 C
우선 이론상으로는 이므로 이 식을 만족하는 45°에서 가장 큰 수평이동거리 실험 결과를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외로 48˚에서 가장 큰 수평이동거리가 나와 버렸다. 이론상으론 45˚를 기준으로 45˚전엔 점점 수평이동거리가 커지고 45˚후엔 점점 수평이동거리가 낮아져야 하지만 이런 실험 결과가 나온 것은 공기의 저항과 기계의 일정하지 않은 힘 때문인 것 같다.
6. 참고문헌
일반물리학/형설출판사/신규승 외 10명
일반물리학 실험/형설출판사/신규승 외 10명
41.3
17.1
38.5
17.8
41.5
20.8
40
18.8
40.2
19.0
36.1
17.4
최고도달 높이
0.040
0.086
0.142
0.202
0.258
0.304
C.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각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도달 거리
(㎝)
94
93.5
93
93.7
94.2
94.3
94.3
94.5
94
최대도달
각도 (°)
48˚
최대도달거리 (㎝)
94.5
5. 결론 및 토의
우선 A, B, C 모든 실험이 원래는 강도가 2단계로 해야 했으나 기계에 문제가 있어서 강도를 1단계로 하였다. 그래서 다른 조와는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 A
우리 조는 대체로 거의 일치 하였다.
실험 B
대체적으로 오차가 크게 났다. 특히 실험 결과값에는 큰 오차가 없었으나 이론상의 거리와 비교 했을 때에는 너무나도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물론 기계적 결함이나 공기의 저항으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지만 특히 실험 시간이 부족하여 약간 성급하게 한 듯 하다.
실험 C
우선 이론상으로는 이므로 이 식을 만족하는 45°에서 가장 큰 수평이동거리 실험 결과를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외로 48˚에서 가장 큰 수평이동거리가 나와 버렸다. 이론상으론 45˚를 기준으로 45˚전엔 점점 수평이동거리가 커지고 45˚후엔 점점 수평이동거리가 낮아져야 하지만 이런 실험 결과가 나온 것은 공기의 저항과 기계의 일정하지 않은 힘 때문인 것 같다.
6. 참고문헌
일반물리학/형설출판사/신규승 외 10명
일반물리학 실험/형설출판사/신규승 외 10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