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물체 운동 실험 - 물체가 지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발사된 경우의 운동을 살펴보고, 이 물체의 운동이 발사각도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함으로써 중력에 의한 포물선 운동을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물체 운동 실험 - 물체가 지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발사된 경우의 운동을 살펴보고, 이 물체의 운동이 발사각도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함으로써 중력에 의한 포물선 운동을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3. 실험방법
A. 초속도 측정
B. 수평이동거리 측정

4. 실험 결과
<포물체의 운동>
A. 초속도 측정
B. 수평 이동거리 측정
C.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5.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
41.3
17.1
38.5
17.8
41.5
20.8
40
18.8
40.2
19.0
36.1
17.4
최고도달 높이
0.040
0.086
0.142
0.202
0.258
0.304
C.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각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도달 거리
(㎝)
94
93.5
93
93.7
94.2
94.3
94.3
94.5
94
최대도달
각도 (°)
48˚
최대도달거리 (㎝)
94.5
5. 결론 및 토의
우선 A, B, C 모든 실험이 원래는 강도가 2단계로 해야 했으나 기계에 문제가 있어서 강도를 1단계로 하였다. 그래서 다른 조와는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 A
우리 조는 대체로 거의 일치 하였다.
실험 B
대체적으로 오차가 크게 났다. 특히 실험 결과값에는 큰 오차가 없었으나 이론상의 거리와 비교 했을 때에는 너무나도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물론 기계적 결함이나 공기의 저항으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지만 특히 실험 시간이 부족하여 약간 성급하게 한 듯 하다.
실험 C
우선 이론상으로는 이므로 이 식을 만족하는 45°에서 가장 큰 수평이동거리 실험 결과를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외로 48˚에서 가장 큰 수평이동거리가 나와 버렸다. 이론상으론 45˚를 기준으로 45˚전엔 점점 수평이동거리가 커지고 45˚후엔 점점 수평이동거리가 낮아져야 하지만 이런 실험 결과가 나온 것은 공기의 저항과 기계의 일정하지 않은 힘 때문인 것 같다.
6. 참고문헌
일반물리학/형설출판사/신규승 외 10명
일반물리학 실험/형설출판사/신규승 외 10명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0.23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