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통합교육 STEAM과 관련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학 통합교육 STEAM과 관련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사회에서의 경영컨설턴트
이야기 연결)
마. 통합형 (Integrated 유형)
(1) 특징
네 개의 주요 교과들을 각각 교육과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하고 네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중복되는 기능, 개념, 태도들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혼합시킨다. 거미줄형처럼 교과들을 하나의 아이디어로 덮는 것이 아니라, 공유형처럼 교과내용에서 아이디어를 걸러낸 후에 이를 결합한다.
(2) 장점
학습자가 다양한 교과들 간의 내적 관련과 상호관련으로 이끌어지기 쉽다.
(3) 단점
상당히 숙련된 교사와 교과 진도를 재구성하는 것을 요구한다.
(4) 분류
한 과목의 교과서에서 구현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교과서에서 단 한 가지의 사례도 찾을 수 없었다.
2. 통합교과의 영역
가.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내용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소재들을 단원별로 정리한 것
나. 통합교과영역의 특징
① 기술공학의 소재 대부분은 공학도구의 활용에 관한 것이다..
-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학적도구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② 유사한 소재가 각기 다른 단원에서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 단원사이의 연계성 때문이다.
③ 통합 소재들이 각 단원별로, 출판사마다 거의 유사하게 활용되고 있다.
- '교과 편찬 상 유의점'에서 사진, 삽화, 도표, 통계 등의 자료는 최신의 것으로 선정하도록 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IV. 연구결과 및 논의
A.연구결과
1.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유형
병렬형
공유형
거미줄형
연계형
통합형
합계
교과서
398
132
12
15
0
557
71%
24%
2%
3%
0%
100%
익힘책
220
113
11
22
0
366
60%
31%
3%
6%
0%
100%
교과서
& 익힘책
618
245
23
37
0
923
67%
27%
2%
4%
0%
100%

① 병렬형(67%) > 공유형(27%) > 연계형(4%) > 거미줄형(2%)
② 통합정도가 가장 높은 통합형은 전혀 나타나지 않음.
③ 통합형의 개수를 비교하면 교과서가 익힘책보다 약 1.5배 이상 더 많이 다루고 있음.
④ 교과서와 익힘책의 통합 유형의 비율 순서가 유사하다.
2.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교과의 영역
기술공학
문화예술
인문사회
사회과학
자연과학

교과서
181
146
37
50
143
557
32%
26%
7%
9%
26%
100%
익힘책
120
93
29
25
99
366
33%
25%
8%
7%
27%
100%
교과서
& 익힘책
301
239
66
75
242
923
33%
26%
7%
8%
26%
100%

① 수학이외의 통합된 교과 영역은 1개로 제한 되어있다.
즉, 수학을 포함한 세 과목 이상의 통합은 없다.
② 교과서와 익힘 책에 제시된 통합 교과의 영역을 합산한 경우,
문화예술과 자연과학이 26%로 동일하며,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비율이 비슷하다.
③ 익힘 책 보다 교과서에서 문화예술이 1% 많이 나타나고 자연과학이 1%적게 나타났으므
로, 교과서와 익힘 책에 제시된 수를 합산한 결과가 동일하다.
3.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유형과 통합 교과의 관련성
병렬형
공유형
거미줄형
연계형
통합형
기술공학
118
171
5
7
0
19%
70%
22%
19%
0%
문화예술
182
40
4
13
0
29%
16%
17%
35%
0%
인문과학
55
9
2
0
0
9%
4%
9%
0%
0%
사회과학
65
3
2
5
0
11%
1%
9%
14%
0%
자연과학
198
22
10
12
0
32%
9%
43%
32%
0%
소계
618
245
23
37
0
100%
100%
100%
100%
0%

① 병렬형에서는 자연과학이, 공유형에서는 기술공학이, 거미줄형에서는 자연과학이,
연계형에서는 문화예술의 소재가 가장 많이 제시 됨.
B. 논의
연구문제1: 중1 교과서에서 Fogarty(1998)의 통합유형 5가지 찾아보기.
연구문제2: 연구문제1의 선별된 통합부분은 STEAM 교육을 바탕으로 하였을 때,
어느 교과의 영역과 관련이 있는가?
① 연구문제1에 근거하여 통합 유형 분석 결과,
병렬형(67%)>공유형(27%)>연계형(4%)>거미줄형(2%)>통합형(0%).
Fogarty(1991)등에 의하면 간교과형 통합 모형 중 가장 낮은 수준인 병렬형과 공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통합 정도가 비교적 높은 거미줄형과 연계형은 각각 2% 4%로
극히 적은 수준이었다.
② 연구문제2에 근거하여 통합 유형 분석 결과.
대체로 수학 이외에 한 교과만을 연결시키고 있는데, 기술공학이 33%로 가장 많았고,
문화예술과 자연과학이 모두 26%, 사회과학이 8%, 인문과학이 7%로 나타남.
통합 유형 중에 한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의 소재를 연계할 수 있는 거미줄형에서
조차도 타 교과 영역 내의 여러 소재를 제시하고 있다.
V.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1. 통합 유형 분석 결과, 병렬형이 67%, 공유형이 27%, 연계형 4%, 거미줄형 2%로 나타났으며, 통합정도가 가장 높은 통합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는 각 교과 중심의 분 과형 교육이 실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2. 통합 교과의 영역을 분석한 결과, 기술공학이 33%, 문화예술과 자연과학이 모두 26%, 사회과학이 8%, 인문과학이 7%로 나타남.
: 수학 과 다른 교과 영역 한 개만을 함께 다루고 있고, 기술공학 영역 소재의 대부분은 컴퓨터 프로그램 및 계산기의 사용법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술 공학의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수학적 이해를 돕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의 소재는 대부분 단원에서 주로 나타났는데, 여러 예술 작품 속에 나타나는 기하, 표현법, 구도로부터 도형에 관한 내용을 쉽게 연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통합 유형과 통합 교과 영역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렬형에서는 자연과학이, 공유형에서는 기술공학이, 거미줄형에서는 자연과학이, 연계형에서는 문화예술의 소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수학과 가장 밀접한 자연과학 및 기술공학의 소재로부터 공통 요소를 쉽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10.23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