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π/4 (D=2.2cm) -> A = 3.8
V=Q/A -> V=118.42/3.8 = 31.16cm/s
Re = V*D/v -> 0.3116*0.022/0.897*(0.000001) = 7640 > 4000 이므로 난류
5. Q= 물의체적/시간 -> 210/1.16 = 181.03㎤/s
A=π/4 (D=2.2cm) -> A = 3.8
V=Q/A -> V=181.03/3.8 = 47.64cm/s
Re = V*D/v -> 0.4764*0.022/0.897*(0.000001) = 11680 > 4000 이므로 난류
※온도가 25℃로 고정이었기 때문에 동점성계수 v는 (0.897*0.000001)㎡/s로 일정하다.
관측자료에 따른 그래프
실험 이론 (층류와 난류)
물의 흐름에는 층류와 난류가 있고, 층류는 유체가 관로 내를 흐를 때 층을 유지한 채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보통 유량이 적은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고, 난류는 흐름중 교란과 혼합 등을 발생시키는 흐름으로 유량이 크거나 압력 강하가 적은 경우에 나타난다.
결과의분석 및 결론-실험을 할 때 물을 흘려보낼 때 유체의 흐름 형태를 유심히 관찰하여 층류 와 난류가 잘 이루어지는 가 주의해서 보아야 한다.
-이론적으로 유속이 빨라지면 유량이 커져서 난류가 형성되고, 반대로 느릴 때는 유량이 작아져 층류가 형성 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실험과 이론은 일치 하였다. 하지만 실험적 오차가 있어서 인지 그래프 상으로는 이론과 달리 2번 꺽이는 지점이 발생하였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물의체적을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비커에 담겨잇는 양을 측정 하는 과정에서의 오차 발생을 줄여야한다.
- 유량조절밸브의 감도가 좀 더 높다면 실험은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었으 리라 생각된다.
- 실제 유량 측정시 스탑워치와 두사람의 신호로 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시간적 오차가 발생한다. 여기서 수차례 연습을 통해 최대한 오차를 줄여 야한다.
물의체적을 담는 비커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유속을 높였을 때 몇초 되지 않는 시간에 비커가 꽉차서 제대로된 측정이 어려웠다. 많은 양을 담을 수 잇는 비커로 실험을 하면 좋을 것 같다.
5번밖에 실험을 하지 않아서 적은 횟수로 인해 세밀한 실험 결과를 도출해 내지 못하였다.
실험 목적에 대한 성취여부
- 여러 오차를 격으면서 한 실험이라서 그래프 모양은 이론상과 다르지만 Re 수 상으로는 실험과 똑같은 형태의 흐름이 나와서 다행이다.
V=Q/A -> V=118.42/3.8 = 31.16cm/s
Re = V*D/v -> 0.3116*0.022/0.897*(0.000001) = 7640 > 4000 이므로 난류
5. Q= 물의체적/시간 -> 210/1.16 = 181.03㎤/s
A=π/4 (D=2.2cm) -> A = 3.8
V=Q/A -> V=181.03/3.8 = 47.64cm/s
Re = V*D/v -> 0.4764*0.022/0.897*(0.000001) = 11680 > 4000 이므로 난류
※온도가 25℃로 고정이었기 때문에 동점성계수 v는 (0.897*0.000001)㎡/s로 일정하다.
관측자료에 따른 그래프
실험 이론 (층류와 난류)
물의 흐름에는 층류와 난류가 있고, 층류는 유체가 관로 내를 흐를 때 층을 유지한 채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보통 유량이 적은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고, 난류는 흐름중 교란과 혼합 등을 발생시키는 흐름으로 유량이 크거나 압력 강하가 적은 경우에 나타난다.
결과의분석 및 결론-실험을 할 때 물을 흘려보낼 때 유체의 흐름 형태를 유심히 관찰하여 층류 와 난류가 잘 이루어지는 가 주의해서 보아야 한다.
-이론적으로 유속이 빨라지면 유량이 커져서 난류가 형성되고, 반대로 느릴 때는 유량이 작아져 층류가 형성 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실험과 이론은 일치 하였다. 하지만 실험적 오차가 있어서 인지 그래프 상으로는 이론과 달리 2번 꺽이는 지점이 발생하였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물의체적을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비커에 담겨잇는 양을 측정 하는 과정에서의 오차 발생을 줄여야한다.
- 유량조절밸브의 감도가 좀 더 높다면 실험은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었으 리라 생각된다.
- 실제 유량 측정시 스탑워치와 두사람의 신호로 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시간적 오차가 발생한다. 여기서 수차례 연습을 통해 최대한 오차를 줄여 야한다.
물의체적을 담는 비커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유속을 높였을 때 몇초 되지 않는 시간에 비커가 꽉차서 제대로된 측정이 어려웠다. 많은 양을 담을 수 잇는 비커로 실험을 하면 좋을 것 같다.
5번밖에 실험을 하지 않아서 적은 횟수로 인해 세밀한 실험 결과를 도출해 내지 못하였다.
실험 목적에 대한 성취여부
- 여러 오차를 격으면서 한 실험이라서 그래프 모양은 이론상과 다르지만 Re 수 상으로는 실험과 똑같은 형태의 흐름이 나와서 다행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환경화학 실험 예비레포트(pH, acidity, alkalinity, buffer solution)
결과레포트〃컴퓨터화상실험(단조화운동)
관로마찰실험 결과레포트(오차의 원인 + 개선사항 포함)
[열유체실험] 풍동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화학공학실험] 혼합조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단순조화운동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유체역학실험 레포트
유체역학실험 레포트
[반응현상실험] 흡착실험 결과레포트
일반생물탐구실험 예비레포트(소화효소의 작용)
일반화학실험 레포트 예비+결과레포트 1학기 분입니다.
기계공학실험 마찰접합 전문 레포트 : 우수 레포트(마찰접합)
[레포트]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real time PCR 실험보고서
1학년 물리 실험 결과 레포트 보고서 - 일과 에너지 (A+) 연세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