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직각으로 각 입방체의 윗부분을 한번 건너 당김으로써 입방체를 고르게 한다. (흙손으로 밀어 넣고 평평하게 만들시에는 흙손의 진행방향으로 날을 약간 올리면서 평평하게 한다.)
⑧ 흙손의 곧은 날을 몰드에 대해 직각으로 대고 몰드의 길이에 따라 톱질운동을 하여 당김으로써 몰드의 윗면과 같은 면으로 잘라낸다.
4) 시험체의 양생
① 모든 시험체를 성형이 끝난 즉시 틀에 넣은 그대로 밑판에 얹어서 습기함이나 습기실에 20~24시간 보관한다. 이때, 윗부분 표면은 습기에 노출시키고,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24시간 이전에 시험체를 틀에서 빼냈을 때는 24시간이 될 때까지 습기함이나 습기실 선반 위에 보관하고, 24시간 시험을 할 때만 제외하고는 시험체를 불침식성 재료로 만든 저장용 수조의 깨끗한 물 안에 담궈 놓는다. 저장용 물은 자주 바꿔주어 깨끗이 해 놓아야 한다.
③ 시험체는 성형후 1일동안은 공기중에 나머지는 수중에 넣어 1일, 3일, 7일, 28일 동안 양생시킨다.
5) 압축강도 시험
① 24시간 시험체에 대해서는 습기함에서 꺼내놓은 직후, 그 이외의 시험체는 저장수에서 꺼낸 직후에 시험을 해야 한다.
② 시험을 하기전의 시험체는 시험을 할때까지 젖은 헝겊으로 덮어 놓아야 한다.
③ 각 시험체는 표면이 건조상태가 되도록 물기를 닦고, 시험기의 지지블록(Bearing block)과 접촉할 면에 붙어 있는 모래알이나 다른 부착물을 깨끗하게 없앤다.
④ 이들 시험체의 면은 곧은 자를 사용해서 검사를 하고 만약 눈에 뛸만큼 시험체가 굽어 있으면 그면을 평평하게 만들어서 캘리퍼스로 단면적을 재어두고 난 후에 시험을 하거나 그 시험체를 버린다.
⑤ 하중은 틀의 정확한 평면과 접촉하고 있는 시험체 면에 대하여 부하한다.
⑥ 시험체는 시험체의 윗부분 지지블록의 중심에 맞추도록 주의 한다. 쿠션재나 받침재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⑦ 예측하는 최대 하중이 1350kg이상인 시험체에 대해서는 그 예측하는 초기부하의 1/2까지는 임의의 속도로 해도 좋다.
⑧ 예측하는 최대 하중이 1350kg 보다 작은 시험체에 대해서는 초기부하를 가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하중부하의 속도는 그 나머지 하중을 (예측하는 최대하중이 1350kg보다 작을때는 전하중) 끊임없이 가하여 시험체가 파괴되도록 한다.
⑨ 이 때, 최대하중이 20초 이상 80초 이내에 미치는 속도로 가한다. 시험체가 파괴되기 직전에 급속히 변형하고 있을때는 시험기를 다루는데 있어서 조절을 할 필요는 없다,
⑩ 시험체 파괴시에 파괴 하중을 기록하고, 압축강도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한다.
모르타르 압축강도( )=
라. 실험 결과
1) 7일 강도 시편 1
2) 7일강도 시편 2
3) 7일강도 시편 3
4) 28일 강도 시편 1
5) 28일강도 시편 2
6) 28일강도 시편 3
-깨진 시편 사진
마. 분석 및 토의 (오차 발생 이유)
같은 기간 동안 양생을 시킨 시험체에서 모두 강도가 각각 다르게 나왔다. 이것은 비율은 같으나 다짐의 횟수에서 차이가 나는것 같다. 또 7일 양생의 시편 1에서는 탄성계수가 다른것에 비해 적은 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것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우리 조에서 다짐을 하는 과정에서 다짐을 다른 것에 비해 많이 한 것이 있었는데, 그 시편 인것 같다. 다짐을 오래 하다 보니 물이 위로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른 시편들을 보면 기울기가 거의 일정한 것도 보이고 몇 개의 시편에서 불규칙 한 것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시편에서 응력 변형률 곡선을 보면 기울기가 거의 일정하다. 이것은 다짐과 비율이 좋았고, 위의 사진을 보듯이 깨진 모양이 피라미드형으로 깨졌다.
⑧ 흙손의 곧은 날을 몰드에 대해 직각으로 대고 몰드의 길이에 따라 톱질운동을 하여 당김으로써 몰드의 윗면과 같은 면으로 잘라낸다.
4) 시험체의 양생
① 모든 시험체를 성형이 끝난 즉시 틀에 넣은 그대로 밑판에 얹어서 습기함이나 습기실에 20~24시간 보관한다. 이때, 윗부분 표면은 습기에 노출시키고,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24시간 이전에 시험체를 틀에서 빼냈을 때는 24시간이 될 때까지 습기함이나 습기실 선반 위에 보관하고, 24시간 시험을 할 때만 제외하고는 시험체를 불침식성 재료로 만든 저장용 수조의 깨끗한 물 안에 담궈 놓는다. 저장용 물은 자주 바꿔주어 깨끗이 해 놓아야 한다.
③ 시험체는 성형후 1일동안은 공기중에 나머지는 수중에 넣어 1일, 3일, 7일, 28일 동안 양생시킨다.
5) 압축강도 시험
① 24시간 시험체에 대해서는 습기함에서 꺼내놓은 직후, 그 이외의 시험체는 저장수에서 꺼낸 직후에 시험을 해야 한다.
② 시험을 하기전의 시험체는 시험을 할때까지 젖은 헝겊으로 덮어 놓아야 한다.
③ 각 시험체는 표면이 건조상태가 되도록 물기를 닦고, 시험기의 지지블록(Bearing block)과 접촉할 면에 붙어 있는 모래알이나 다른 부착물을 깨끗하게 없앤다.
④ 이들 시험체의 면은 곧은 자를 사용해서 검사를 하고 만약 눈에 뛸만큼 시험체가 굽어 있으면 그면을 평평하게 만들어서 캘리퍼스로 단면적을 재어두고 난 후에 시험을 하거나 그 시험체를 버린다.
⑤ 하중은 틀의 정확한 평면과 접촉하고 있는 시험체 면에 대하여 부하한다.
⑥ 시험체는 시험체의 윗부분 지지블록의 중심에 맞추도록 주의 한다. 쿠션재나 받침재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⑦ 예측하는 최대 하중이 1350kg이상인 시험체에 대해서는 그 예측하는 초기부하의 1/2까지는 임의의 속도로 해도 좋다.
⑧ 예측하는 최대 하중이 1350kg 보다 작은 시험체에 대해서는 초기부하를 가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하중부하의 속도는 그 나머지 하중을 (예측하는 최대하중이 1350kg보다 작을때는 전하중) 끊임없이 가하여 시험체가 파괴되도록 한다.
⑨ 이 때, 최대하중이 20초 이상 80초 이내에 미치는 속도로 가한다. 시험체가 파괴되기 직전에 급속히 변형하고 있을때는 시험기를 다루는데 있어서 조절을 할 필요는 없다,
⑩ 시험체 파괴시에 파괴 하중을 기록하고, 압축강도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한다.
모르타르 압축강도( )=
라. 실험 결과
1) 7일 강도 시편 1
2) 7일강도 시편 2
3) 7일강도 시편 3
4) 28일 강도 시편 1
5) 28일강도 시편 2
6) 28일강도 시편 3
-깨진 시편 사진
마. 분석 및 토의 (오차 발생 이유)
같은 기간 동안 양생을 시킨 시험체에서 모두 강도가 각각 다르게 나왔다. 이것은 비율은 같으나 다짐의 횟수에서 차이가 나는것 같다. 또 7일 양생의 시편 1에서는 탄성계수가 다른것에 비해 적은 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것을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우리 조에서 다짐을 하는 과정에서 다짐을 다른 것에 비해 많이 한 것이 있었는데, 그 시편 인것 같다. 다짐을 오래 하다 보니 물이 위로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른 시편들을 보면 기울기가 거의 일정한 것도 보이고 몇 개의 시편에서 불규칙 한 것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시편에서 응력 변형률 곡선을 보면 기울기가 거의 일정하다. 이것은 다짐과 비율이 좋았고, 위의 사진을 보듯이 깨진 모양이 피라미드형으로 깨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