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험 목적
1)시멘트가 가진 강함을 이해하고 품질검사를 할 수 있다
2)콘크리트의 강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3)콘크리트 배합설계가 필요하다.
4)역학적 성질을 예측할 수 있다.
2.시험용 기구
1)압축시험기: 유압형, 스크류형
2)혼합기, 혼합용기 및 패들
3)저울(칭량 2kg, 감량 1g의 것)
4)메스 실린더 : 250cc, 500cc
5)고무제 스크레이퍼
6)표준체: 297ɥ(No.50), 595ɥ(No.30)
7)온도계, 습도계
8)플로테이블(흐름판): 주철제 원형판
9)플로 몰드(흐름 몰드): 원추형
1)시멘트가 가진 강함을 이해하고 품질검사를 할 수 있다
2)콘크리트의 강도를 추정하기 위해서 실시한다.
3)콘크리트 배합설계가 필요하다.
4)역학적 성질을 예측할 수 있다.
2.시험용 기구
1)압축시험기: 유압형, 스크류형
2)혼합기, 혼합용기 및 패들
3)저울(칭량 2kg, 감량 1g의 것)
4)메스 실린더 : 250cc, 500cc
5)고무제 스크레이퍼
6)표준체: 297ɥ(No.50), 595ɥ(No.30)
7)온도계, 습도계
8)플로테이블(흐름판): 주철제 원형판
9)플로 몰드(흐름 몰드): 원추형
본문내용
은 강도시험 때와 같아야 한다.
3)같은 시간에 시험한 전체 시험체 중에서 평균값보다 10% 이상의 강도차가 있 는 시험체는 압축강도의 계산에 넣지 않는다.
5.해설 및 체크사항
1)시멘트 압축강도의 영향인자: 분말도, 수량, 풍화도, 양생조건, 시멘트의 조성,
재령, 사옹모래 등
2)포틀랜트 시멘트의 KS규격
6.시험기록의 기재사항
1)시험일
2)시험자
3)온도, 습도
4)시료
5)시멘트, 표준모래 중량
6)물의 양, 몰드 및 4개의 평균 밑지름
7)흐름값
7.실험과정
1)압축강도 공시체들의 높이,폭을 캘리퍼를 이용해 측정한다.
1번 공시체-높이:5.07, 폭:5.03
2번 공시체-높이:5.02, 폭:5.01
3번 공시체-높이:5.05, 폭:5.05
2)압축 강도 시험기에 공시체들을 넣고 실험한 결과
1번 공시체-333kg/㎠ 2번 공시체-342kg/㎠ 3번 공시체-324kg/㎠ 이 나왔다.
8.실험결과
실 험 명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
시 험 일
2008년 04월 02일 수요일 날씨-맑음 온도:14°C 습도:55%
제 령
14일
공시체 NO.
1번
2번
3번
평균폭(cm)
5.07
5.02
5.05
평균높이(cm)
5.03
5.01
5.05
최대 하중(kg)
8500
8600
8100
압축강도(kg/㎠)
333
342
324
평균 휨강도
(kg/㎠)
333(kg/㎠)
흐 름 시 험(cm)
17.15
17.22
17.185
9.고 찰
김기진-첫 번째 모르타르를 조제할 때 표준사와 시멘트를 3750g-1530g 물의 양을 742g 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플로우 지름을 측정하는데 너무 높은 값이 나왔다. 표준사- 시멘트를 혼합할때 742g 물을 넣어서 압축강도의 차이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 같 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시멘트의 비율이 낮을수록 강한 압축강도를 가지고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압축강도는 낮아진다.
14일째 압축강도시험결과 공시체에 따라서 압축강도하중이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성형몰드에 넣은 후 다질 때 모두 똑같은 힘으로 공시체를 다지지 못하여 이러한 결과가 생긴 것 같다. 시간이 지날수록 강도의 차이가 다른 것 같다. 시멘트 의 풍화로 인하여 실험 결과상 오차가 생긴 것 같다.
강재구
김용삼
김장래
김재필-실험실의(양생장소)상대습도 50% 습기함의 습도는 90%이상을 유지하여야겠다.
2조의 실험값은 배합시 물의 비율이 많아져서 같은 조건의 다른조들보다 강도값이 적게 나왔다.
3)같은 시간에 시험한 전체 시험체 중에서 평균값보다 10% 이상의 강도차가 있 는 시험체는 압축강도의 계산에 넣지 않는다.
5.해설 및 체크사항
1)시멘트 압축강도의 영향인자: 분말도, 수량, 풍화도, 양생조건, 시멘트의 조성,
재령, 사옹모래 등
2)포틀랜트 시멘트의 KS규격
6.시험기록의 기재사항
1)시험일
2)시험자
3)온도, 습도
4)시료
5)시멘트, 표준모래 중량
6)물의 양, 몰드 및 4개의 평균 밑지름
7)흐름값
7.실험과정
1)압축강도 공시체들의 높이,폭을 캘리퍼를 이용해 측정한다.
1번 공시체-높이:5.07, 폭:5.03
2번 공시체-높이:5.02, 폭:5.01
3번 공시체-높이:5.05, 폭:5.05
2)압축 강도 시험기에 공시체들을 넣고 실험한 결과
1번 공시체-333kg/㎠ 2번 공시체-342kg/㎠ 3번 공시체-324kg/㎠ 이 나왔다.
8.실험결과
실 험 명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
시 험 일
2008년 04월 02일 수요일 날씨-맑음 온도:14°C 습도:55%
제 령
14일
공시체 NO.
1번
2번
3번
평균폭(cm)
5.07
5.02
5.05
평균높이(cm)
5.03
5.01
5.05
최대 하중(kg)
8500
8600
8100
압축강도(kg/㎠)
333
342
324
평균 휨강도
(kg/㎠)
333(kg/㎠)
흐 름 시 험(cm)
17.15
17.22
17.185
9.고 찰
김기진-첫 번째 모르타르를 조제할 때 표준사와 시멘트를 3750g-1530g 물의 양을 742g 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플로우 지름을 측정하는데 너무 높은 값이 나왔다. 표준사- 시멘트를 혼합할때 742g 물을 넣어서 압축강도의 차이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 같 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시멘트의 비율이 낮을수록 강한 압축강도를 가지고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압축강도는 낮아진다.
14일째 압축강도시험결과 공시체에 따라서 압축강도하중이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성형몰드에 넣은 후 다질 때 모두 똑같은 힘으로 공시체를 다지지 못하여 이러한 결과가 생긴 것 같다. 시간이 지날수록 강도의 차이가 다른 것 같다. 시멘트 의 풍화로 인하여 실험 결과상 오차가 생긴 것 같다.
강재구
김용삼
김장래
김재필-실험실의(양생장소)상대습도 50% 습기함의 습도는 90%이상을 유지하여야겠다.
2조의 실험값은 배합시 물의 비율이 많아져서 같은 조건의 다른조들보다 강도값이 적게 나왔다.
추천자료
철근 콘크리트 인장강도 실험
슈미트 해머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시험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슈미트햄머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실험
거더, 좌굴하중, 피로강도, 단주의복편심
PB(파티클보드의휨강도실험)
[콘크리트][전기전도 콘크리트][식생식물이 자라는 콘크리트][AE콘크리트]콘크리트의 정의, ...
철근콘크리트역학실험-경화콘크리트의 테스트 해머 강도 시험
철근콘크리트 역학실험 결과보고서 -1.0경화 콘크리트 테스트 해머 강도 시험
슈미트 해머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 시험법
[건축재료시험] 슈미트해머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시험
슈미트 해머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시험
철근 콘크리트 (배합강도 및 구조물 설계기준)
배합보고서. 콘크리트 배합. 배합설계. 보통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