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구조조정과 인재경영 -이건희 회장의 활동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성의 구조조정과 인재경영 -이건희 회장의 활동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2. 본론 ------------------2~10
 1) 연혁 --------------------------------1~2
 2) 이건희 회장 경영화두 변천사 ---------------2
 3) 삼성의 구조조정 -----------------------2~6
 4) 삼성의 인재경영 ----------------------6~10

3. 결론 --------------------10

4. 참고자료 -----------------10

본문내용

사장단 회의에서 이건희는 “핵심 인재를 몇 명이나 뽑았고 이를 뽑기 위해 사장이 얼마나 챙기고 있으며, 확보한 핵심 인재를 성장시키는데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를 사장 평가항목에 반영하겠다.” 고 하였다. 그래서 삼성의 계열사 사장들은 최우선 경영목표를 ‘S급 인재 확보’ 를 노트 위에 적어두기도 하며, 삼성 구조조정본부는 이미 사장단 업무 평가 의 30%이상을 인재 확보 실적에 배정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건희 회장 은 “제가 예기하는 것은 천재는 공부만 잘하는, 100점만 맞는 사람이 아닙니 다.” 라고 하여 부하의 공을 가로채거나 회사에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부하 직원을 괴롭히는 임직원을 용납하지 않는 등 윤리성을 중시하고 있다.
삼성 경영 의사결정구조의 삼각 편대-이건희 회장, 구조조정본부(전략기획 실), 계열사 전문경영인
삼성은 회사의 사활이 걸린 중요 사안에 대해 이건희 회장과 그룹 구조조 정본부 (현 전략기획실) 그리고 계열사가 의사결정의 3축을 균형과 견제로 한다. 삼성 계열사의 한 직원은 “이 회장이 큰 주제를 제시하면, 전문경영인 들이 임원들과 힘을 합쳐 이를 실행하고, 전략기획실에서 업무협력과 자원 배분, 평가 등을 책임지는 분업체제가 삼성의 특징”이라고 하였다. 한 예로 외환위기에 삼성이 자동차 사업을 접을 때도 이 룰이 적용되었다. IMF 외환 위기 때 이건희 회장이 ‘선택과 집중’ 이라는 화두를 던져 놓은 상황에서 이 학수 구조조정본부 부회장이 ‘삼성차 사업 정리 방안’ 을 제안을 하였다. 그 당 시 이건희 회장이 아끼던 자동차 사업 정리를 정리 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에 서였다. 그래서 이학수 구조조정본부 부회장은 이건희의 결재를 받아 실행에 옮 길 수 있었는데 그로써 삼성의 어려운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② 내부 육성
지역 전문가 양성
이건희 회장이 '한국은 시장이 작아 해외로 활로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라며 세계 각국을 철저히 알고 있는 인재 육성을 지시해 지역전문가 제도가 시행되었고, 이 제도가 최근 삼성의 해외 사업 호조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
각 관계사의 우수한 20 ~ 30대 젊은 사원을 중심으로 선발되는 지역전문가는 현재까지 모두 3,300명이 육성됐으며, 일본과 같은 선진국뿐 아니라 중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다양한 교육 시스템
‘창의와 열정, 도전 정신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취지로 설립되어진 삼성 인 력 개발원에서은 다음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a. SVP(Samsung Shared Value Program)
SVP는 신입사원부터 경영자까지 모든 삼성인을 한 방향으로 결속시키는 삼성의 가치공유 프로그램이다. 4주간의 교육기간을 통하여 삼성의 역사와 전통, 핵심가치와 경영철학을 이해하고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팀웍과 창의력, 도전정신을 배양한다.
b. SLP(Samsung Business Leader Program)
SLP는 미래의 삼성을 이끌어 나갈 우수 인재들을 조기에 발굴하고 차세대 리더들 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삼성의 리더양성 프로그램이다. 우수 인력을 대상으로 해외 명문 Business School과 국내 주요 경영대학원에서 경영실 무 지식과 글로벌 경영을 학습하게 한다.
c. SGP(Samsung Global Expert Program)
SGP는 임직원들의 글로벌 비즈니스 능력과 외국어 능력을 개발하는 삼성의 글로벌 역량강화 프로그램이다. 앞에서 설명한 지역전문가 제도나, 외국어 영역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나 고품격 언어 구사능력을 배양하는 프리미어 과정, 해외관련 업무 수행자 및 현지 파견대상자들을 중심으로 1O주간 교육되는 현지화 능력 개발 프로그램 등이 있다.
③ 충분한 보상
삼성은 모든 것을 경쟁시키고 경쟁에 따른 결과는 파격적인 보상을 제시한다. 얼마든지 개인의 노력과 평가결과에 따라 승진이 될 수 있으며 연봉도 올라 갈 수 있는 것이다. 삼성은 당초 도입 초기부터 평가결과에 따라 전년도 연봉을 무시하고 프로야구선수처럼 새로 결정하는 '비누적식 연봉제'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기업들 중 100퍼센트 비누적식으로 되어있는 회사는 대한민국에서 거의 볼 수 없다고 한다. 특히 회사에 도움이 되는 인력에게는 비용을 아끼지 말라고 하였듯이 S급 인재는 상상을 초월하는 대우를 받는다고 한다.
또한 직원들의 개인생활 안정을 위해 주거 환경을 제공해 주거나 자녀의 학비 전액 지원, 직원들이 교육, 문화, 생활, 여가 등 각종 복리 후생에도 노력하고 있다.
3. 결론
이처럼 삼성은 모든 것에 대하여 미리 생각하고 미리 행동하는 ‘선견지명’ 을 가지고 있다. 이건희 회장이 취임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했던 것과는 반대로, 선대 이병철 회장의 뒤를 이어 세계적으로 삼성을 알리게 되었다. 이것은 ‘신경영’을 통하여 미리 변화에 대한 개혁 작업을 하였고, 그로 인해 IMF때도 신속한 구조조정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삼성은 한 가지를 선택함에 있어 그에 따른 기회비용의 크기에 대해 잘 생각하여 버릴 건 버릴 줄 아는 결단력이 있었는데 이는 위기를 기회로 만든 이건희 회장의 뛰어난 경영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미래는 인재가 중요하다는 ‘천재경영’으로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인재경영’ 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도 나에게도 큰 어려움이 닥칠 것이고, 그에 따라서 내가 포기해야 할 것도 있을 것이며, 또한 더욱 더 발전해야할 것들이 있을 텐데, 삼성의 이건희의 경영 능력을 본받아 결단력 있게 미리 준비하여, 시대가 원하는 나로 발전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나 자신을 경영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4. 참고자료
네이버 http://www.naver.com
매일경제 www.mk.co.kr
삼성 http://www.samsung.co.kr
김성호 외 1인, 이건희 개혁 10년: 삼성초고속 성장의 원동력, 2003
이채윤, 삼성의 창조적 인재경영, 2007
삼성인력개발원 http://hrd.samsung.co.kr/
월간 노동법률-2007년 4월호(통권 제 191호)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10.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