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흙의 다짐시험(Compaction Test) JSF T 711-1990
1.1 개요
1.2 토질공학회기준「다짐에 의한 흙의 다짐시험 방법」(T 711)
2 시험방법의 종류와 선택
2.1 시험방법의 종류
2.2 시험방법의 선택
3 시험용구
3.1 몰드, 칼라, 저판 및 스페이스 데스크
3.2 해머
3.3 기타용구
4. 시료
5. 시험방법
6. 시험결과의 정리
1.3 기준의 해설
1.3.1 총칙
1.3.2 시험방법의 종류
1.3.3 시험방법
1.3.4 시험방법의 개정점 및 유의사항
1.4 시험결과의 표시와 해석
1.4.1 시험결과의 정리
1.4.2 다짐에 의한 입자분쇄
1.4.3 대표적인 흙에 대한 측정 예
1.4.4 결과의 평가와 공학적 적용
흙의 다짐 시험 (KS F 2312)
1.1 개요
1.2 토질공학회기준「다짐에 의한 흙의 다짐시험 방법」(T 711)
2 시험방법의 종류와 선택
2.1 시험방법의 종류
2.2 시험방법의 선택
3 시험용구
3.1 몰드, 칼라, 저판 및 스페이스 데스크
3.2 해머
3.3 기타용구
4. 시료
5. 시험방법
6. 시험결과의 정리
1.3 기준의 해설
1.3.1 총칙
1.3.2 시험방법의 종류
1.3.3 시험방법
1.3.4 시험방법의 개정점 및 유의사항
1.4 시험결과의 표시와 해석
1.4.1 시험결과의 정리
1.4.2 다짐에 의한 입자분쇄
1.4.3 대표적인 흙에 대한 측정 예
1.4.4 결과의 평가와 공학적 적용
흙의 다짐 시험 (KS F 2312)
본문내용
경우에는 강도특성과 변형특성 등이 향상된다고 하는 전제가 있다.
그러나 흙을 다짐하는 경우, 대상토의 토질, 함수량 및 다짐에너지의 종류와 그 대소에 의하여 개선된 공학적 성질도 달라진다. 그 때문에 사전에 실험실에서 다짐에 의한 흙의 다짐시험을 실시하고 다짐특성을 충분히 파악하는 것은 실공사의 시공계획의 입안 혹은 시공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도 필요한 것이다.
실험실에서의 다짐방법은 각국에서 여러 종류의 다짐시험법이 채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시험장치의 간편함, 시험의 용이성 등에서 Proctor가 제안한 충격적 하중에 의한 다짐방법을 기본으로 한 것이 가장 많다.
이것은 JIS A 1210을 시작으로 ASTM, AASHTO, BS, DIN 등 여러 나라의 기준으로서 채용되고 있다.
본 기준에서 정해진 다짐시험방법은 이 Proctor 방법의 해머에 의한 다짐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흙을 다짐한 때의 건조밀도와 함수비의 관계를 알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흙을 가장 안정한 상태로 다짐시킨 최적함수비를 예측할 수 있다.
또, 이 시험방법은 현장에 대한 다짐의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시험방법은 수종의 기본적 방법에 의하여 흙을 다짐하는 것이므로 이들 결과에 의하여 전 다짐기계의 적정한 중량, 전압회수 등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이 시험방법은 다른 역학시험, 예를 들면 흙의 투수시험, CBR시험, 흙의 콘 지수시험 등의 공시체를 제작하는 수단 및 안정처리토의 다짐에 의한 공시체 제작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기준과 종래의 JIS A 1210과의 주요한 다른 점은 JIS의 다짐방법이 11종인 것에 대하여 본 기준은 사용하는 모울드의 내경과 다짐 한 층당의 두께에서 허용최대입경을 정하고, 합계 5종류의 다짐방법으로 하는 것이다.
1.2 토질공학회기준「다짐에 의한 흙의 다짐시험 방법」(T 711)
Test Method for Soil Compaction Using a Rammer
1. 총칙
1.1 시험의 목적
이 시험은 충격다짐에 의한 다짐을 행하고, 건조밀도-함수비곡선, 최대건조밀도 및 최적함수비를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범위
37.5mm체를 통과한 흙을 대상으로 한다.
1.3 용어의 정의
충격다짐이라는 것은 램머를 자유낙하시켜 흙을 다지는 작업을 말한다. 최대건조밀도라는 것은 건조밀도-함수비곡선에 대한 건조밀도의 최대치를 말하고, 이에 대응하는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고 한다.
1.4 필요관련시험
이 시험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별도 다음 시험을 하여둔다.「토립자의 압밀시험」
【부대조항】
1. 본 기준과 부분적으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보고사항에 명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2 시험방법의 종류와 선택
시험방법은 충격다짐방법 및 시료의 준비방법과 사용방법으로 구별되고, 시험목적과 대상으로 하는 흙의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2.1 시험방법의 종류
(1) 충격다짐 방법은 표-1에서 나타낸 5종류가 있다.
표-1 충격다짐 방법의 종류
호칭
램머의 질량(kg)
몰드내경(cm)
다짐층수
1층당의다짐회수
허용최대입경(mm)
A
2.5
10
3
25
19
B
2.5
15
3
55
37.5
C
4.5
10
5
25
19
D
4.5
15
5
55
19
E
4.5
15
3
92
37.5
(2) 시료의 준비방법은 건조법, 습윤법의 2종류가 있다.
(3) 시료의 사용방법은 반복법과 비반복법의 2종류가 있다.
2.2 시험방법의 선택
(1) 충격다짐방법은 시험의 목적과 시료의 최대입경에 따라서 선택한다.
(2) 시료의 준비에 대한 함수비 조정방법은 시료를 건조하면 다짐시험결과에 영향을
주는 흙에는 습윤법을 그것 이외의 흙에서는 건조법을 적용한다.
(3) 시료의 사용방법은 충격다짐에 의하여 흙의 입자가 파쇄하기 쉬운 흙과 가수 후에
물과 융합되는데 시간을 요하는 흙에서는 비반복법을, 그 이외의 흙에서는 반복법을
적용한다.
【부대조항】
2.1
(2) a. 건조법은 시료의 전량을 최적함수비가 얻어지는 함수비까지 건조시켜, 다짐에
해당하여 가수하여 소요의 함수비로 조정하는 방법이다.
b. 습윤법은 자연함수비에서 건조 혹은 가수에 의하여 시료를 소정의 함수비로 조정
하는 방법이다.
(3) a. 반복법은 동일의 시료를 함수비를 변화시켜 반복 사용하는 방법이다.
b. 비반복법은 항상 새로운 시료를 함수비를 변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2.2
(1) 여기서 말하는 시료의 최대입경이라는 것은 체분석에 있어서 시료가 모두 통과하는
표준망체의 최소호칭 치수를 말한다.
(2) (3) 시료의 준비방법 및 사용방법의 조합은 표-2에 표시한 3종류이다.
표-2 시료의 준비 및 사용방법의 조합
조합명칭
시료의 준비 및 사용방법
a
건조법으로 반복법
b
건조법으로 비반복법
c
습윤법으로 비반복법
3 시험용구
3.1 몰드, 칼라, 저판 및 스페이스 데스크
몰드는 칼라의 장착 및 저판에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는 강제원통형의 것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1) 10cm몰드: 내경100± 0.4mm, 용량1,000±12cm3의 것
(2) 15cm몰드: 내경150± 0.6mm, 스페이스디스크를 삽입시의 용량 2,209±29cm3의 것
스페이스디스크: 직경148±0.6mm, 높이 50±0.2mm의 원판의 것.
3.2 해머
직경50± 0.12m로 저판이 평평한 면을 갖고,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제의 것으로 한다.
(1) 2.5kg햄머: 질량 2.5± 0.01kg, 낙하고 30± 0.15cm로 낙하할 수 있는 것.
(2) 4.5kg햄머: 질량 4.5± 0.02kg, 낙하고 45± 0.25cm로 낙하할 수 있는 것.
3.3 기타용구
1) 저울: 10cm몰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감량 5g, 15cm몰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감량 10g의 것
2) 체: 19mm, 37.5mm의 것
3) 함수량측정장치
4) 혼합용구: 시료와 물을 균등히 혼합할 수 있는 것
5) 사각나이프
6) 시료압출기
7) 그름종이: 15cm의 몰드에 사용
【부대조항】
3.1 몰드, 칼라 및 저판의 예를 그림-1에 나타내었다.
(a) 몰드, 칼라
그러나 흙을 다짐하는 경우, 대상토의 토질, 함수량 및 다짐에너지의 종류와 그 대소에 의하여 개선된 공학적 성질도 달라진다. 그 때문에 사전에 실험실에서 다짐에 의한 흙의 다짐시험을 실시하고 다짐특성을 충분히 파악하는 것은 실공사의 시공계획의 입안 혹은 시공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도 필요한 것이다.
실험실에서의 다짐방법은 각국에서 여러 종류의 다짐시험법이 채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시험장치의 간편함, 시험의 용이성 등에서 Proctor가 제안한 충격적 하중에 의한 다짐방법을 기본으로 한 것이 가장 많다.
이것은 JIS A 1210을 시작으로 ASTM, AASHTO, BS, DIN 등 여러 나라의 기준으로서 채용되고 있다.
본 기준에서 정해진 다짐시험방법은 이 Proctor 방법의 해머에 의한 다짐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흙을 다짐한 때의 건조밀도와 함수비의 관계를 알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흙을 가장 안정한 상태로 다짐시킨 최적함수비를 예측할 수 있다.
또, 이 시험방법은 현장에 대한 다짐의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시험방법은 수종의 기본적 방법에 의하여 흙을 다짐하는 것이므로 이들 결과에 의하여 전 다짐기계의 적정한 중량, 전압회수 등을 정량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이 시험방법은 다른 역학시험, 예를 들면 흙의 투수시험, CBR시험, 흙의 콘 지수시험 등의 공시체를 제작하는 수단 및 안정처리토의 다짐에 의한 공시체 제작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기준과 종래의 JIS A 1210과의 주요한 다른 점은 JIS의 다짐방법이 11종인 것에 대하여 본 기준은 사용하는 모울드의 내경과 다짐 한 층당의 두께에서 허용최대입경을 정하고, 합계 5종류의 다짐방법으로 하는 것이다.
1.2 토질공학회기준「다짐에 의한 흙의 다짐시험 방법」(T 711)
Test Method for Soil Compaction Using a Rammer
1. 총칙
1.1 시험의 목적
이 시험은 충격다짐에 의한 다짐을 행하고, 건조밀도-함수비곡선, 최대건조밀도 및 최적함수비를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범위
37.5mm체를 통과한 흙을 대상으로 한다.
1.3 용어의 정의
충격다짐이라는 것은 램머를 자유낙하시켜 흙을 다지는 작업을 말한다. 최대건조밀도라는 것은 건조밀도-함수비곡선에 대한 건조밀도의 최대치를 말하고, 이에 대응하는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고 한다.
1.4 필요관련시험
이 시험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별도 다음 시험을 하여둔다.「토립자의 압밀시험」
【부대조항】
1. 본 기준과 부분적으로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보고사항에 명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2 시험방법의 종류와 선택
시험방법은 충격다짐방법 및 시료의 준비방법과 사용방법으로 구별되고, 시험목적과 대상으로 하는 흙의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2.1 시험방법의 종류
(1) 충격다짐 방법은 표-1에서 나타낸 5종류가 있다.
표-1 충격다짐 방법의 종류
호칭
램머의 질량(kg)
몰드내경(cm)
다짐층수
1층당의다짐회수
허용최대입경(mm)
A
2.5
10
3
25
19
B
2.5
15
3
55
37.5
C
4.5
10
5
25
19
D
4.5
15
5
55
19
E
4.5
15
3
92
37.5
(2) 시료의 준비방법은 건조법, 습윤법의 2종류가 있다.
(3) 시료의 사용방법은 반복법과 비반복법의 2종류가 있다.
2.2 시험방법의 선택
(1) 충격다짐방법은 시험의 목적과 시료의 최대입경에 따라서 선택한다.
(2) 시료의 준비에 대한 함수비 조정방법은 시료를 건조하면 다짐시험결과에 영향을
주는 흙에는 습윤법을 그것 이외의 흙에서는 건조법을 적용한다.
(3) 시료의 사용방법은 충격다짐에 의하여 흙의 입자가 파쇄하기 쉬운 흙과 가수 후에
물과 융합되는데 시간을 요하는 흙에서는 비반복법을, 그 이외의 흙에서는 반복법을
적용한다.
【부대조항】
2.1
(2) a. 건조법은 시료의 전량을 최적함수비가 얻어지는 함수비까지 건조시켜, 다짐에
해당하여 가수하여 소요의 함수비로 조정하는 방법이다.
b. 습윤법은 자연함수비에서 건조 혹은 가수에 의하여 시료를 소정의 함수비로 조정
하는 방법이다.
(3) a. 반복법은 동일의 시료를 함수비를 변화시켜 반복 사용하는 방법이다.
b. 비반복법은 항상 새로운 시료를 함수비를 변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2.2
(1) 여기서 말하는 시료의 최대입경이라는 것은 체분석에 있어서 시료가 모두 통과하는
표준망체의 최소호칭 치수를 말한다.
(2) (3) 시료의 준비방법 및 사용방법의 조합은 표-2에 표시한 3종류이다.
표-2 시료의 준비 및 사용방법의 조합
조합명칭
시료의 준비 및 사용방법
a
건조법으로 반복법
b
건조법으로 비반복법
c
습윤법으로 비반복법
3 시험용구
3.1 몰드, 칼라, 저판 및 스페이스 데스크
몰드는 칼라의 장착 및 저판에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는 강제원통형의 것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1) 10cm몰드: 내경100± 0.4mm, 용량1,000±12cm3의 것
(2) 15cm몰드: 내경150± 0.6mm, 스페이스디스크를 삽입시의 용량 2,209±29cm3의 것
스페이스디스크: 직경148±0.6mm, 높이 50±0.2mm의 원판의 것.
3.2 해머
직경50± 0.12m로 저판이 평평한 면을 갖고,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제의 것으로 한다.
(1) 2.5kg햄머: 질량 2.5± 0.01kg, 낙하고 30± 0.15cm로 낙하할 수 있는 것.
(2) 4.5kg햄머: 질량 4.5± 0.02kg, 낙하고 45± 0.25cm로 낙하할 수 있는 것.
3.3 기타용구
1) 저울: 10cm몰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감량 5g, 15cm몰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감량 10g의 것
2) 체: 19mm, 37.5mm의 것
3) 함수량측정장치
4) 혼합용구: 시료와 물을 균등히 혼합할 수 있는 것
5) 사각나이프
6) 시료압출기
7) 그름종이: 15cm의 몰드에 사용
【부대조항】
3.1 몰드, 칼라 및 저판의 예를 그림-1에 나타내었다.
(a) 몰드, 칼라
추천자료
들밀도 실험
체가름에 의한 입도시험 및 비중계에 의한 입도시험 (KS F 2302)
체분석과 비중계에 의한 입도 시험
시멘트 모르타르의 휨강도 시험
비중계에 의한 입도 시험 ( 결과, 고찰 포함)
토질역학실험-직접전단시험
건설재료실험에서 슬럼프 보고서 및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 ...
경원대학교 토질실험 최종보고서
슬럼프실험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KS F 2402)
토질실험 레포트 모음
토질역학실험 (결과) #2 비중 완성
토질역학 -체분석과 비중계(Hydrometer)에 의한 입도시험
얕은 기초지지력(얕은기초의파괴형상, 극한지지력, 편심하중을받는기초지지력, 현장시험통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