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압의 변화, 실험 3에서는 전하밀도를 측정하여 전압에 따른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으로 두 실험 모두 식 을 확인할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실험 1에서 극판 사이의 간격을 2배로 늘렸을 때 전압이 정확히 2배가 되어야하지만 극판을 이동하는 동안 손을 통해 전하가 일부 빠져나갔고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선과 전위계의 전기용량도 생각해서 계산한다면 식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실험 3도 이론상으로는 직선으로 그래프가 나타나야 되지만 공기 중으로의 방전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한 듯하다.
실험 2에서는 평행판 축전기의 두 극판사이에서의 전기장의 크기를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만약 무한한 도체판이였다면 가장자리효과를 무시할 수 있었겠지만 그 크기가 유한한 도체판을 이용한 실험이었기 때문에 가장자리효과로 가장자리 부근은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실험 4에서는 의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도 극판을 이동하면서 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손을 통해 전하가 이동했을 수도 있다. 또한 극판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에도 정확히 2mm 씩 정확히 움직이지 못해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4가지 실험 모두 전반적으로 실험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우연오차나, 실험기구로 인한 계기오차, 전하의 공기 중으로의 방전 등으로 인한 오차가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오차들을 어느 정도 감안한다면 식 , 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Eugene Hecht, Physics:Calculus 물리학, 청문각
Raymond.A.Serway 「대학 물리학
Young&Freedman, 대학 물리학, 북스힐
실험 2에서는 평행판 축전기의 두 극판사이에서의 전기장의 크기를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만약 무한한 도체판이였다면 가장자리효과를 무시할 수 있었겠지만 그 크기가 유한한 도체판을 이용한 실험이었기 때문에 가장자리효과로 가장자리 부근은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가 없었다.
실험 4에서는 의 관계를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도 극판을 이동하면서 하는 실험이기 때문에 손을 통해 전하가 이동했을 수도 있다. 또한 극판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에도 정확히 2mm 씩 정확히 움직이지 못해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4가지 실험 모두 전반적으로 실험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우연오차나, 실험기구로 인한 계기오차, 전하의 공기 중으로의 방전 등으로 인한 오차가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오차들을 어느 정도 감안한다면 식 , 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Eugene Hecht, Physics:Calculus 물리학, 청문각
Raymond.A.Serway 「대학 물리학
Young&Freedman, 대학 물리학, 북스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