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의 결혼 문화
1. 서 론
2. 본 론 - 일본의 결혼문화
a. 결혼 풍속의 변천, '중매에서 연애'로
b. 혼례의식
c. 축의(祝儀)
3. 결 론
# 부록 : 일본 젊은 세대의 결혼관
1. 결혼에 대하여
2. 결혼년령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1. 서 론
2. 본 론 - 일본의 결혼문화
a. 결혼 풍속의 변천, '중매에서 연애'로
b. 혼례의식
c. 축의(祝儀)
3. 결 론
# 부록 : 일본 젊은 세대의 결혼관
1. 결혼에 대하여
2. 결혼년령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본문내용
족도를 물어본 결과, '대체로 만족', '그럭저럭 만족'을 합쳐서 87.7%로, 불만을 품고 있는 기혼자는 1할 정도로, 대개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혼에 대하여 (미혼자)
전체 : 반드시 하고 싶다 (29.7%), 이상적인 상대를 찾는다면 하겠다 (68.9%), 결혼하고 싶지 않다 (1.4%)
남자 : 반드시 하고싶다 (28.6%), 이상적인 상대를 찾는다면 하겠다 (66.7%), 결혼하고 싶지 않다 (4.8%)
여자 : 반드시 하고싶다 (30.0%), 이상적인 상대를 찾는다면 하겠다 (70.0%)
- 결혼하는 이유 (미혼자)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어서 (61.1%)
정신적인 안정을 원해서 (54.2%)
아이를 갖고 싶어서 (43.1%)
노후를 위해 (18.1%)
경제적 여유를 원해서 (9.7%)
당연하니까 (6.9%)
어른들 눈치 (6.9%)
그 외 (4.2%)
- 결혼에 대한 만족도 (기혼자)
전체 : 대체로 만족 (19.2%), 그럭저럭 만족 (68.5%), 조금 불만 (9.6%), 매우 불만 (2.7%)
남자 : 대체로 만족 (26.23), 그럭저럭 만족 (63.2%), 조금 불만 (10.5%), 매우 불만 (0.0%)
여자 : 대체로 만족 (9.1%), 그럭저럭 만족 (75.8%), 조금 불만 (9.1%), 매우 불만 (6.1%)
2. 결혼년령
미혼자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27~29세 (50.0%)가 가장 많고, 24~26세 (28.4%) 가 2위였다. 기혼자가 실제로 결혼한 연령은 24~26세 (35.1%)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27~29세 (31.1%) 가 많았다. 그러나 기혼자에게 이상적인 결혼연령을 물어본 결과, 27~29세 (39.7%) 가 가장 많아, 실제와 이상에 차이가 보였다.
- 결혼년령 (기혼자) - 괄호 안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나이의 비율
~19세 : 2.7% (1.6%)
20~23세 : 20.3% (11.1%)
24~26세 : 35.1% (34.9%)
27~29세 : 31.1% (39.7%)
30~34세 : 10.8% (11.1%)
35~40세 : 0.0% (0.0%)
40세 이상 : 0.0% (1.6%)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는, 미혼, 기혼자 관계없이 '성격', '가치관', '애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혼에서 남녀차가 큰 것은, 남성에서는 '용모'가, 여성은 '수입'을 원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기혼자는 건강도 중요시하고 있었다.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기혼자) (전체, 남, 여)
인품 (36.1, 46.6, 28.6)
가치관 (29.9, 41.4, 22.6)
애정 (19.0, 25.9, 14.3)
건강 (12.9, 20.7, 8.3)
용모 (8.8, 8.6, 9.6)
부모와 친척관계 (6.1, 5.2, 7.1)
수입 (2.0, 0.0, 3.6)
학력 (1.4, 1.7, 1.2)
교우관계 (0.7, 1.7, 0.0)
연령차 (0.0, 0.0, 0.0)
그 외 (1.4, 1.7, 1.2)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미혼자) (전체, 남, 여)
성격 (66.2, 75.0, 63.3)
가치관 (63.4, 65.0, 63.3)
애정 (50.7, 50.0, 51.0)
수입 (28.2, 5.0, 38.8)
용모 (21.1, 35.0, 14.2)
건강 (14.1, 0.0, 18.4)
아이에 대한 선호 (9.9, 10.0, 10.2)
부모와 친척관계 (5.6, 5.0, 6.1)
연령차 (2.8, 5.0, 2.0)
학력 (0.0, 0.0, 0.0)
그 외 (1.4, 0.0, 2.0)
- 결혼에 대하여 (미혼자)
전체 : 반드시 하고 싶다 (29.7%), 이상적인 상대를 찾는다면 하겠다 (68.9%), 결혼하고 싶지 않다 (1.4%)
남자 : 반드시 하고싶다 (28.6%), 이상적인 상대를 찾는다면 하겠다 (66.7%), 결혼하고 싶지 않다 (4.8%)
여자 : 반드시 하고싶다 (30.0%), 이상적인 상대를 찾는다면 하겠다 (70.0%)
- 결혼하는 이유 (미혼자)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어서 (61.1%)
정신적인 안정을 원해서 (54.2%)
아이를 갖고 싶어서 (43.1%)
노후를 위해 (18.1%)
경제적 여유를 원해서 (9.7%)
당연하니까 (6.9%)
어른들 눈치 (6.9%)
그 외 (4.2%)
- 결혼에 대한 만족도 (기혼자)
전체 : 대체로 만족 (19.2%), 그럭저럭 만족 (68.5%), 조금 불만 (9.6%), 매우 불만 (2.7%)
남자 : 대체로 만족 (26.23), 그럭저럭 만족 (63.2%), 조금 불만 (10.5%), 매우 불만 (0.0%)
여자 : 대체로 만족 (9.1%), 그럭저럭 만족 (75.8%), 조금 불만 (9.1%), 매우 불만 (6.1%)
2. 결혼년령
미혼자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27~29세 (50.0%)가 가장 많고, 24~26세 (28.4%) 가 2위였다. 기혼자가 실제로 결혼한 연령은 24~26세 (35.1%)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27~29세 (31.1%) 가 많았다. 그러나 기혼자에게 이상적인 결혼연령을 물어본 결과, 27~29세 (39.7%) 가 가장 많아, 실제와 이상에 차이가 보였다.
- 결혼년령 (기혼자) - 괄호 안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나이의 비율
~19세 : 2.7% (1.6%)
20~23세 : 20.3% (11.1%)
24~26세 : 35.1% (34.9%)
27~29세 : 31.1% (39.7%)
30~34세 : 10.8% (11.1%)
35~40세 : 0.0% (0.0%)
40세 이상 : 0.0% (1.6%)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는, 미혼, 기혼자 관계없이 '성격', '가치관', '애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혼에서 남녀차가 큰 것은, 남성에서는 '용모'가, 여성은 '수입'을 원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기혼자는 건강도 중요시하고 있었다.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기혼자) (전체, 남, 여)
인품 (36.1, 46.6, 28.6)
가치관 (29.9, 41.4, 22.6)
애정 (19.0, 25.9, 14.3)
건강 (12.9, 20.7, 8.3)
용모 (8.8, 8.6, 9.6)
부모와 친척관계 (6.1, 5.2, 7.1)
수입 (2.0, 0.0, 3.6)
학력 (1.4, 1.7, 1.2)
교우관계 (0.7, 1.7, 0.0)
연령차 (0.0, 0.0, 0.0)
그 외 (1.4, 1.7, 1.2)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미혼자) (전체, 남, 여)
성격 (66.2, 75.0, 63.3)
가치관 (63.4, 65.0, 63.3)
애정 (50.7, 50.0, 51.0)
수입 (28.2, 5.0, 38.8)
용모 (21.1, 35.0, 14.2)
건강 (14.1, 0.0, 18.4)
아이에 대한 선호 (9.9, 10.0, 10.2)
부모와 친척관계 (5.6, 5.0, 6.1)
연령차 (2.8, 5.0, 2.0)
학력 (0.0, 0.0, 0.0)
그 외 (1.4, 0.0, 2.0)
추천자료
국제결혼의 문화적응과 외국인 가족 개입사례 연구
세계의 결혼 문화와 한국
국제결혼과 다문화사회로의 한국
한국의 결혼식 문화(일어,한국어 동시 작성)
다문화교육론2공통)국제결혼이주여성 혹은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책을 읽고 답. 기존에 본인이...
국제결혼이주여성 혹은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책_완득이 1.기존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 세가...
다문화가정 보고서(다문화학생, 다문화교육, 국제결혼가정, 다문화학생개입프로그램, 한국다...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필리핀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경제, 민족 및...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의 욕구(결혼이민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 문화적 차이...
사사회복지 프로그램) 결혼이민 다문화 여성의 직업교육 및 취업 지원 사업 “you light up m...
사회복지 프로그램) 결혼이주여성 문화적 적응과 경제적 자립 준비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