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셜미디어의 양면성
2. 기업과 개인의 사례
1) 기업의 사례
(1) 성공사례
(2) 실패사례
2) 개인의 사례
(1) 성공사례
(2) 실패사례
- 마치며
2. 기업과 개인의 사례
1) 기업의 사례
(1) 성공사례
(2) 실패사례
2) 개인의 사례
(1) 성공사례
(2) 실패사례
- 마치며
본문내용
용만 회장은 \"\'으악!! 죄송함다. 잘못 갔습니다. 이를 어째ㅠㅠ 미안합니다\"라고 진심 어린 사과의 문자를 보냈었다. 박 회장의 이 같은 글을 본 네티즌들은 해당글을 리트윗 하며, \"그룹 총수도 이런 실수를 하는구나\" \"박용만 회장이 더 친근해 보인다\", \"비인간적으로만 보이던 재벌들이 이런 면이 있구나\", \"최은영 회장의 센스도 돋보인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박용만 회장의 이러한 트위터의 타임라인 센스들이 박용만 회장의 이미 뿐만 아니라 두산이라는 기업의 이미지까지 바꿔 놓았다고 평가한다.
② 드림위즈 대표 이찬진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이사는 트위터를 이용하는 부분을 넘어서 트위터를 이용을 편하게 할수 있도록 서비스까지 도움을 주신 분이다. 트위터를 초반에 이용하신분들은 충분히 알수 있을 것이다. 트위터kr 서비스를 시작한 회사가 바로 드림위즈라는 회사이다. 예전에는 드림위즈 지니(드림위즈 지니는 버디버디와 더불어 10대들이 많이 쓴 메시저이다.)로 유명한 회사였는데 한참 조용하더니 트위터kr이라는 서비스로 드림위즈라는 회사를 다시 한번 유저들에게 각인 시켰다. 최근에 트위터 CEO인 에반 윌리엄스가 방한했을때에 그는 한국어서비스를 선보였지만 그 효과는 그다지 이펙트를 주지 못했다. 왜냐하면 트위터kr의 하나의 사이트 안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은 매력이 충분했기 때문이다.
다시 돌아와서 이찬진씨는 수많은 교류를 하고 그 교류 내용을 트위터에 게재 해준다. 많은 대표들과 무엇을 상의하고 있는지 어떻게 일이 진척되어가고 있는지 등등 우리들이 그 자리에 있지 않아도 그러한 정보들을 들을 수 있다. 예전 같으면 도청을 하거나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직접 듣거나 아니면 그 당사자에게 직접 물어보는 경우밖에 없는데 이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그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직접 해주고 있다. 또한 좋은 정보가 있으면 리트윗을 해주어 알려주기도 한다. 나 또한 그와 몇 번의 멘션을 나누었던 기억이 있는데 진짜 답장이 올 줄은 몰랐다. 그들의 정보력은 소셜 미디어에 반영되고 그 반영된 정보를 누구나 보고 자신들의 정보력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내가 말하는 정보는 책 같은 곳에서 얻는 것들이 아니라 누군가 경험하여 스토리가 될수 있는 그러한 정보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나는 그를 한국 트위터의 대통령이자 선생님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는 경험했고 느꼈고 가져왔고 만들었으며 또한 그는 전파했고 알려줬다. 마지막으로 이찬진 대표의 트위터 가치는 1억 1680만 3424원이다.
(2) 실패사례
①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진중권교수
진중권 교수는 토론에서 부각을 보인 대표적인 인물로 볼 수 있다. 그는 교수이자 토론가이며 작가이다. 왜 그가 실패사례인가! 누군가 물어볼 수도 있겠지만. 그는 공인이다. 자신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수도 있지만 분명 다들 공인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 매스미디어는 그를 주목하고 있다. 그의 입에서 나오는 가시들은 그들의 기사가 되기 때문이다. 그의 기사를 검색해보면 트위터 하기 전과 후로 나뉠 것이다. 하기 전에는 100분 토론에서 정말 옳은 말을 반대편 패널에게 수많은 어퍼컷을 날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환호를 받으며 호평을 받는다. 그러나 트위터를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주관적인 의견을 남긴다. 나 또한 그가 남긴 많은 타임라인에 동의하고 끄덕이지만 그래도 그는 공인이다. 말을 아낄 필요가 있다. 그럼에 나는 실패사례라고 하고 싶다. 차라리 익명으로 글을 남겼으면 좋았을 수도 있었을텐데 말이다. 예를 들어보면 심형래 사건이 크게 작용할 수도 있겠다. 처음에 디워가 나왔을 때 많은 비난을 퍼부었다. (나 또한 이 영화 정말 재미없게 봤다. 그럼에도 한국에서는 나름 흥행했다.) 그때 대한민국은 애국심으로 디워라는 영화를 감싸주었다. 그러나 그는 정말 지극히 객관적으로 비난을 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돌을 맞는다. 마치 이슬람권에서 공개적으로 돌을 쳐 죽이는 것처럼. 얼마나 지났을까 라스트 갓파더가 나온다. 아니나 다를까 이 영화도 비난의 비수를 퍼 붓는다. 그리고 또 그는 욕을 먹는다. 미디어는 이것을 기사로 작성하고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며 리플은 객관적인 평가를 내린 그의 의견에 생각을 적는 것보다 맹목적인 악플을 남기고 악멘션도 서슴치 않는다.
그리고 그의 가족들까지 들춰내며 비난을 받는다. 그를 맹목적으로 욕하는 것은 분명 잘못 했지만 1차적인 것은 그의 잘못이 아닐까 한다. 공인이 SNS를 다룰때에는 정보, 일상생활이나 다수의 비난을 퍼붓는 문제에 대해서 멋지게 한방 날리는 것만이 할수 있다. 그만큼 조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는 조심성을 잃고 그의 성격인 반항아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계속 타임라인에 객관적인 자신의 생각을 옮겨 적는다고 하는데 많은 사람에게는 실패사례이지만 트위터의 본래의 목적인 마음대로 자신있게 말하는 부분에서는 성공사례가 될 수 있을 것만 같다.
- 마치며
정희연 LG전자 차장은 \"대화의 기쁨을 누리는 대신 상처를 각오해야하는 것이 소셜 미디어\"라고 지적한다. 정 차장은 \"허물없이 대화를 하고 싶다고 해도 호감을 갖는 사람, 적개심을 갖는 사람이 모두 존재하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 유리한 이야기만 할 수 없다\"면서 \"솔직하게 치부를 드러낼 수 없다면 차라리 소셜 네트워크를 포기하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최병현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소셜 미디어가 지니고 있는 기회와 리스크의 양면성을 깊이 이해하고 잠재 리스크에 대해서는 사전에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사건이 터진 후 대응하는 것은 큰 성과를 거둘 수 없다\'는 사전적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소셜 미디어에서 더욱 강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춰야 소셜 미디어 시대 진정한 승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트위터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사용하여야 한다. 마치 검과 같다. 눈감고 휘두르면 살인의 무기가 될것이고 요리를 할 때 집중하여 사용하면 좋은 도구과 되는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라는 검이 우리에게는 이제 좋은 도구가 될 차례인 듯 하다.
박용만 회장의 이러한 트위터의 타임라인 센스들이 박용만 회장의 이미 뿐만 아니라 두산이라는 기업의 이미지까지 바꿔 놓았다고 평가한다.
② 드림위즈 대표 이찬진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이사는 트위터를 이용하는 부분을 넘어서 트위터를 이용을 편하게 할수 있도록 서비스까지 도움을 주신 분이다. 트위터를 초반에 이용하신분들은 충분히 알수 있을 것이다. 트위터kr 서비스를 시작한 회사가 바로 드림위즈라는 회사이다. 예전에는 드림위즈 지니(드림위즈 지니는 버디버디와 더불어 10대들이 많이 쓴 메시저이다.)로 유명한 회사였는데 한참 조용하더니 트위터kr이라는 서비스로 드림위즈라는 회사를 다시 한번 유저들에게 각인 시켰다. 최근에 트위터 CEO인 에반 윌리엄스가 방한했을때에 그는 한국어서비스를 선보였지만 그 효과는 그다지 이펙트를 주지 못했다. 왜냐하면 트위터kr의 하나의 사이트 안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은 매력이 충분했기 때문이다.
다시 돌아와서 이찬진씨는 수많은 교류를 하고 그 교류 내용을 트위터에 게재 해준다. 많은 대표들과 무엇을 상의하고 있는지 어떻게 일이 진척되어가고 있는지 등등 우리들이 그 자리에 있지 않아도 그러한 정보들을 들을 수 있다. 예전 같으면 도청을 하거나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직접 듣거나 아니면 그 당사자에게 직접 물어보는 경우밖에 없는데 이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그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직접 해주고 있다. 또한 좋은 정보가 있으면 리트윗을 해주어 알려주기도 한다. 나 또한 그와 몇 번의 멘션을 나누었던 기억이 있는데 진짜 답장이 올 줄은 몰랐다. 그들의 정보력은 소셜 미디어에 반영되고 그 반영된 정보를 누구나 보고 자신들의 정보력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내가 말하는 정보는 책 같은 곳에서 얻는 것들이 아니라 누군가 경험하여 스토리가 될수 있는 그러한 정보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나는 그를 한국 트위터의 대통령이자 선생님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는 경험했고 느꼈고 가져왔고 만들었으며 또한 그는 전파했고 알려줬다. 마지막으로 이찬진 대표의 트위터 가치는 1억 1680만 3424원이다.
(2) 실패사례
①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진중권교수
진중권 교수는 토론에서 부각을 보인 대표적인 인물로 볼 수 있다. 그는 교수이자 토론가이며 작가이다. 왜 그가 실패사례인가! 누군가 물어볼 수도 있겠지만. 그는 공인이다. 자신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수도 있지만 분명 다들 공인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 매스미디어는 그를 주목하고 있다. 그의 입에서 나오는 가시들은 그들의 기사가 되기 때문이다. 그의 기사를 검색해보면 트위터 하기 전과 후로 나뉠 것이다. 하기 전에는 100분 토론에서 정말 옳은 말을 반대편 패널에게 수많은 어퍼컷을 날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환호를 받으며 호평을 받는다. 그러나 트위터를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주관적인 의견을 남긴다. 나 또한 그가 남긴 많은 타임라인에 동의하고 끄덕이지만 그래도 그는 공인이다. 말을 아낄 필요가 있다. 그럼에 나는 실패사례라고 하고 싶다. 차라리 익명으로 글을 남겼으면 좋았을 수도 있었을텐데 말이다. 예를 들어보면 심형래 사건이 크게 작용할 수도 있겠다. 처음에 디워가 나왔을 때 많은 비난을 퍼부었다. (나 또한 이 영화 정말 재미없게 봤다. 그럼에도 한국에서는 나름 흥행했다.) 그때 대한민국은 애국심으로 디워라는 영화를 감싸주었다. 그러나 그는 정말 지극히 객관적으로 비난을 한 것이다. 그리고 그는 돌을 맞는다. 마치 이슬람권에서 공개적으로 돌을 쳐 죽이는 것처럼. 얼마나 지났을까 라스트 갓파더가 나온다. 아니나 다를까 이 영화도 비난의 비수를 퍼 붓는다. 그리고 또 그는 욕을 먹는다. 미디어는 이것을 기사로 작성하고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며 리플은 객관적인 평가를 내린 그의 의견에 생각을 적는 것보다 맹목적인 악플을 남기고 악멘션도 서슴치 않는다.
그리고 그의 가족들까지 들춰내며 비난을 받는다. 그를 맹목적으로 욕하는 것은 분명 잘못 했지만 1차적인 것은 그의 잘못이 아닐까 한다. 공인이 SNS를 다룰때에는 정보, 일상생활이나 다수의 비난을 퍼붓는 문제에 대해서 멋지게 한방 날리는 것만이 할수 있다. 그만큼 조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는 조심성을 잃고 그의 성격인 반항아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계속 타임라인에 객관적인 자신의 생각을 옮겨 적는다고 하는데 많은 사람에게는 실패사례이지만 트위터의 본래의 목적인 마음대로 자신있게 말하는 부분에서는 성공사례가 될 수 있을 것만 같다.
- 마치며
정희연 LG전자 차장은 \"대화의 기쁨을 누리는 대신 상처를 각오해야하는 것이 소셜 미디어\"라고 지적한다. 정 차장은 \"허물없이 대화를 하고 싶다고 해도 호감을 갖는 사람, 적개심을 갖는 사람이 모두 존재하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 유리한 이야기만 할 수 없다\"면서 \"솔직하게 치부를 드러낼 수 없다면 차라리 소셜 네트워크를 포기하는 게 낫다\"고 조언했다.
최병현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소셜 미디어가 지니고 있는 기회와 리스크의 양면성을 깊이 이해하고 잠재 리스크에 대해서는 사전에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사건이 터진 후 대응하는 것은 큰 성과를 거둘 수 없다\'는 사전적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소셜 미디어에서 더욱 강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춰야 소셜 미디어 시대 진정한 승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트위터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사용하여야 한다. 마치 검과 같다. 눈감고 휘두르면 살인의 무기가 될것이고 요리를 할 때 집중하여 사용하면 좋은 도구과 되는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라는 검이 우리에게는 이제 좋은 도구가 될 차례인 듯 하다.
추천자료
SNS마케팅의 장점과 사례연구
[SNS_마케팅]성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사회복지개론 과제] 질문에 대해 자료 정리 요약, 자신의 생각을 덧붙여 설명 - ①저출산과 ...
기업, 다문화, 노인, 장애인, 청소년 중 하나의 분야를 선택하여 자원봉사 사례를 구체적으로...
우울증 사례탐구 및 개인의견제시(정신장애, 우울증사례, 개인의견)
SNS를 활용한 인재채용 (취업시장 트렌드-SNS, 기업별 SNS 활용 유형, 지원자 평가에 반영되...
[생활과 건강] 약물남용(Drug Abuse) 1.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의 내용과 약물의 종류와...
[간호이론 D형] 킹의 6개 개인체계와 5개 대인관계체계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간략히 ...
내 주변의 인물 한 명을 선정하고, 그 인물을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별 개입기술 5단...
SNS 마케팅 성공사례
(사회문제론 E형) 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은 개인의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
인력개발과활용 ) 조직 내 학습극대화하기 위한 동기부여 사례를 설명하시오 단 여기서 학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