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로 본 한국의 정치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표율로 본 한국의 정치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치 문화란?
1. 개념
2. 정치 문화의 구성요소
3. 정치 문화의 유형
4. 정치 이념에 따른 정치 문화 유형
Ⅱ. 한국의 정치 문화
1. 정치 문화 분석
2. 대통령 선거로 본 한국의 정치 문화
3. 국회의원 선거로 본 한국의 정치 문화
4. 지방의회의원 선거로 본 한국의 정치 문화
Ⅲ. 결론

본문내용

용시켜 보면 <표 8>과 같다. 지방의회의원 선거를 통해 본 참여형은 1991년에서 1995년 사이에 약 10%정도 증가한다. 1995년 이후로는 계속 감소하다가 2006년에 조금 증가한다. 지방의회의원 선거를 분석해 본 결과 지금까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와는 조금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지방의회의원 선거는 1991년부터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 비해 참여형의 비율이 낮았고, 이마저도 결국 2006년으로 올수록 더욱 낮아지고 있다.
<표 8> 1991년 ~ 2006년까지의 지방의회의원 선거로 본 현실형 정치 문화
100
80
60
40
20
0
참여형
참여형
참여형
참여형
참여형
정치적 무관심형
정치적 무관심형
정치적 무관심형
정치적 무관심형
정치적 무관심형
1991 1995 1998 2002 2006
Ⅲ. 결론
정치 문화란 미래 정치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한 그 사회 구성원들의 정치적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말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정향(Orientation)' 이다. 이를 알몬드와 버바는 향리형, 신민형, 참여형의 세 가지 이념형으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혼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에서 향리형과 신민형은 투입 과정에서 영에 가까운 정향을 보이기 때문에 정치적 무관심층으로 구분해도 무방할 것이다.
1991년부터 2008년까지의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의회의원 선거의 투표율 분석으로 한국 정치 문화의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조금씩은 차이가 있지만 위의 세 선거 모두 참여형의 정치 문화는 그 비율이 낮아지고 있고, 정치적 무관심의 문화는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나마 위안을 삼을 수 있는 것은 2010년 지방 선거에서 예년에 비해 투표율이 조금 높아졌다는 것 때문이다. 이번 선거에서 20대의 투표율이 높았다고 한다. 이는 상당히 고무적인 모습이다. 앞으로 한국 정치를 짊어질 세대의 투표율이 높다는 것은 다시 이 사회의 정치 문화가 참여형 정치 문화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정치 문화가 많이 성숙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투표율을 가지고 분석한 결과는 조금 다르게 나왔다.
최근 고등학교 선택과목인 ‘정치’ 과목의 전국단위 시험의 문제들을 분석해 보면 정치적 무관심에 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이는 정치적 무관심이 사회적으로 이미 이슈화 되어있고 교육과정상에도 들어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학교에는 선택과목으로 ‘정치’가 빠져있기는 하지만 고등학교 1학년 ‘사회’의 Ⅵ, Ⅶ 단원이 정치 단원이다. 또한 선택과목인 경제, 사회문화에서도 충분히 정치에 관하여 수업이 가능하다. 사회과 교사로서 점점 늘어나는 정치적 무관심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의 정치 문화가 참여형 정치 문화의 비율이 높아지도록 학생들을 지도해야겠다.
<참고 문헌>
정치학의 이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공저, 박영사
정치학, 이극찬, 법문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www.nec.go.kr)
고등학교 ‘정치’ , 이승종 외, 지학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29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