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
2. 생검 시 주의사항
제 2장 염증과 수복
1. 염증
2. 염증시 현미경적 변화
3. 삼출성 염증
4. 창상치유
제 3장 면역
1. 구강의 자가면역 질환
제 4장 감염질환
1. 구강점막의 감염질환
제 5장 치아의 손상
1. 교모
2. 마모
3. 굴곡파절
4. 침식
제 6장 치수 및 치근단 질환
1. 치수질환
2. 급성 치근단 질환
3. 만성 치근단 질환
4. 발치창의 치유과정
제 7장 구강과 치아의 발육이상
1. 치아 수의 이상
2. 치아 크기 이상
3. 치아 형태의 이상
4. 치아의 구조 이상
제 8장 구강영역의 낭
Ⅰ.악골낭
1. 치성낭
2. 비치성낭
Ⅱ. 연조직낭
제 9장 종양
제 10장 구강영역의 종양
2. 생검 시 주의사항
제 2장 염증과 수복
1. 염증
2. 염증시 현미경적 변화
3. 삼출성 염증
4. 창상치유
제 3장 면역
1. 구강의 자가면역 질환
제 4장 감염질환
1. 구강점막의 감염질환
제 5장 치아의 손상
1. 교모
2. 마모
3. 굴곡파절
4. 침식
제 6장 치수 및 치근단 질환
1. 치수질환
2. 급성 치근단 질환
3. 만성 치근단 질환
4. 발치창의 치유과정
제 7장 구강과 치아의 발육이상
1. 치아 수의 이상
2. 치아 크기 이상
3. 치아 형태의 이상
4. 치아의 구조 이상
제 8장 구강영역의 낭
Ⅰ.악골낭
1. 치성낭
2. 비치성낭
Ⅱ. 연조직낭
제 9장 종양
제 10장 구강영역의 종양
본문내용
상과 조산아
발열성 질환 (홍역.수두.성홍열) 특발성 원인
유치의 국소감염.외상 (터너치아 유발)
불소섭취 (반상치)
제 8장 구강영역의 낭
Ⅰ.악골낭
1. 치성낭 : 치근단낭. 잔류낭. 함치성낭. 맹출낭. 치성각화낭. 석회화치성낭. 측방치주낭
치근단낭
함치성낭
치성각화낭
-성인의 악골에서 가장빈발
-실활치아 근첨에서 발생
-자각증상X
-상악중절치.상악측절치 호발
-치관형성이 끝난 후 치관주위에
잔존하는 퇴축법랑상피에서 유래
-지치부에 생기는 치관주위염으로
매복치 함유
-하악치지부. 상악정중부. 견치부
-10~30대.남성
-치판의 세포잔사에서 유래
-지치부에서 호발
-재발 가능성이 높음
-매복치 함유
-하악.지치부 호발
-20~30대
* 잔류낭종 : 근첨병소를 가진 치아를 발거 후 치근낭종이 남아 장기간 잔류하여 나타남
* 원시성낭 : 치아의 경조직 형성 전 치배법랑기의 낭종성 변화에 의한 것 (매복치X)
* 맹출낭 : 구강 내에 치아가 맹출하기 직전에 맹출중인 치아에 형성되는 낭
* 석회화치성낭 : 유령세포가 나타나는 흔하지X 질병 (방사선불투과상)
★매복치 함유 - 함치성낭. 치성각화낭(재발O)
★치판잔사에 의해 증식 - 신상아 치은낭. 성인 치은낭. 측방치주낭
2. 비치성낭 : 안열성낭. 술후성 상악낭
점액류
하마종
-구강 내 연조직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낭
-소타액선 및 타액선 도관이 파열되어 발생
-하순 호발 (협점막.구강저.혀 전방부.구개)
-설하선.악하선등 대타액선의 도관이 폐쇄.절단
-구강저에 발생
-점액류보다 大
Ⅱ. 연조직낭 : 점액류. 하마종. 새열낭. 갑상샘설관낭. 유피낭. 유표피낭
제 9장 종양
★양성종양. 악성종양의 특성
특성
양성종양
악성종양
발육양식
확장성(팽창성)
침윤성
발육속도
느림
빠름
피막형성
O
X
세포분열
X.적음
많음
재발
X
O
전이
X
O
제 10장 구강영역의 종양
★종양의 분류
양성 상피성
악성 상피성 (암종)
양성 비상피성
악성 비상피성 (육종)
유두종. 선종
편평세포암종
선암
지방종. 골종. 섬유종
연골종.혈관종림프관종. 근육종
섬유육종. 연골육종
지방육종. 혈관육종
지방육종
치성종양
양성치성
악성치성
상피성: 법랑모세포종. 선양치성종양
석회화 상피성치성 종양. 편평치성종양
혼합성: 법랑모세포성 섬유종. 법랑모세포섬유치아종
복합치아종. 복잡치아종
간엽성: 치성섬유종. 치성점액종. 양성 백악모세포종
상피성(암종): 악성법랑모세포종. 법랑모세포종성 암종
원발성 골내암. 치성낭피의 악성변화
복합성(육종): 치성암육종. 법랑보세포섬유육종
* 법랑모세포종 : 무통성. 양성종양이지만 침윤성증식. 전이O
* 치아종 : 치배의 형성이상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치성종양 (20대 이전의 젊은사람. 증상X. 상악전치부.하악구치부)
비치성종양
양성 비치성
악성 비치성
유두종. 멜라닌성 모반. 섬유종. 골종.
치은종. 양성 타액선 종양
편평세포암종. 골육종. 악성 흑생종
악성 타액선종. 상악동의 암종
* 섬유종 : 구강내 가장흔안 양성 비상피성 종양 (협점막 호발)
★편평세포암종 - 구강 내 암종95%
- 치은. 혀. 협점막. 구강저에 흔히 발생. 침윤성
- 40~70세 남성
- 외인성 인자 : 흡연. 음주. 매독. 부적절한 보철물. 우식치아의 날카로운 경계
내인성 인자 : 영양부족. 철 결핍성 빈혈
♥Tip
* 매복치연관 - 낭종 : 함치성낭. 치성각화낭
- 종양 : 법랑모세포종. 선양치성종양
* 치판에의해 증식 - 신생아 치은낭. 성인 치은낭. 측방치주낭
* 구강내 가장 흔한 낭종 - 악골낭 : 치근단 낭종 종양 - 치성 : 치아종 (치배형성 이상)
- 연조직낭 : 점액류 (점액장) 비치성 : 섬유종 (양성비상피성 종양)
발열성 질환 (홍역.수두.성홍열) 특발성 원인
유치의 국소감염.외상 (터너치아 유발)
불소섭취 (반상치)
제 8장 구강영역의 낭
Ⅰ.악골낭
1. 치성낭 : 치근단낭. 잔류낭. 함치성낭. 맹출낭. 치성각화낭. 석회화치성낭. 측방치주낭
치근단낭
함치성낭
치성각화낭
-성인의 악골에서 가장빈발
-실활치아 근첨에서 발생
-자각증상X
-상악중절치.상악측절치 호발
-치관형성이 끝난 후 치관주위에
잔존하는 퇴축법랑상피에서 유래
-지치부에 생기는 치관주위염으로
매복치 함유
-하악치지부. 상악정중부. 견치부
-10~30대.남성
-치판의 세포잔사에서 유래
-지치부에서 호발
-재발 가능성이 높음
-매복치 함유
-하악.지치부 호발
-20~30대
* 잔류낭종 : 근첨병소를 가진 치아를 발거 후 치근낭종이 남아 장기간 잔류하여 나타남
* 원시성낭 : 치아의 경조직 형성 전 치배법랑기의 낭종성 변화에 의한 것 (매복치X)
* 맹출낭 : 구강 내에 치아가 맹출하기 직전에 맹출중인 치아에 형성되는 낭
* 석회화치성낭 : 유령세포가 나타나는 흔하지X 질병 (방사선불투과상)
★매복치 함유 - 함치성낭. 치성각화낭(재발O)
★치판잔사에 의해 증식 - 신상아 치은낭. 성인 치은낭. 측방치주낭
2. 비치성낭 : 안열성낭. 술후성 상악낭
점액류
하마종
-구강 내 연조직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낭
-소타액선 및 타액선 도관이 파열되어 발생
-하순 호발 (협점막.구강저.혀 전방부.구개)
-설하선.악하선등 대타액선의 도관이 폐쇄.절단
-구강저에 발생
-점액류보다 大
Ⅱ. 연조직낭 : 점액류. 하마종. 새열낭. 갑상샘설관낭. 유피낭. 유표피낭
제 9장 종양
★양성종양. 악성종양의 특성
특성
양성종양
악성종양
발육양식
확장성(팽창성)
침윤성
발육속도
느림
빠름
피막형성
O
X
세포분열
X.적음
많음
재발
X
O
전이
X
O
제 10장 구강영역의 종양
★종양의 분류
양성 상피성
악성 상피성 (암종)
양성 비상피성
악성 비상피성 (육종)
유두종. 선종
편평세포암종
선암
지방종. 골종. 섬유종
연골종.혈관종림프관종. 근육종
섬유육종. 연골육종
지방육종. 혈관육종
지방육종
치성종양
양성치성
악성치성
상피성: 법랑모세포종. 선양치성종양
석회화 상피성치성 종양. 편평치성종양
혼합성: 법랑모세포성 섬유종. 법랑모세포섬유치아종
복합치아종. 복잡치아종
간엽성: 치성섬유종. 치성점액종. 양성 백악모세포종
상피성(암종): 악성법랑모세포종. 법랑모세포종성 암종
원발성 골내암. 치성낭피의 악성변화
복합성(육종): 치성암육종. 법랑보세포섬유육종
* 법랑모세포종 : 무통성. 양성종양이지만 침윤성증식. 전이O
* 치아종 : 치배의 형성이상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치성종양 (20대 이전의 젊은사람. 증상X. 상악전치부.하악구치부)
비치성종양
양성 비치성
악성 비치성
유두종. 멜라닌성 모반. 섬유종. 골종.
치은종. 양성 타액선 종양
편평세포암종. 골육종. 악성 흑생종
악성 타액선종. 상악동의 암종
* 섬유종 : 구강내 가장흔안 양성 비상피성 종양 (협점막 호발)
★편평세포암종 - 구강 내 암종95%
- 치은. 혀. 협점막. 구강저에 흔히 발생. 침윤성
- 40~70세 남성
- 외인성 인자 : 흡연. 음주. 매독. 부적절한 보철물. 우식치아의 날카로운 경계
내인성 인자 : 영양부족. 철 결핍성 빈혈
♥Tip
* 매복치연관 - 낭종 : 함치성낭. 치성각화낭
- 종양 : 법랑모세포종. 선양치성종양
* 치판에의해 증식 - 신생아 치은낭. 성인 치은낭. 측방치주낭
* 구강내 가장 흔한 낭종 - 악골낭 : 치근단 낭종 종양 - 치성 : 치아종 (치배형성 이상)
- 연조직낭 : 점액류 (점액장) 비치성 : 섬유종 (양성비상피성 종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