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차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제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차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문제아에 관한 사회적 시각
2. 연구주제

(2.) 본론
1. 문제행동의 진단 시 유의점
2. 선행 연구
① 문제행동 정의
② 문제행동의 원인

3.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 행동

4. 학생이 인식하는 문제 행동

(3.) 참고 문헌 및 첨부자료

< 첨부 자료 >
1. 선생님의 인터뷰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의 문제행동 인터뷰(1)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의 문제행동 인터뷰(2)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의 문제행동 인터뷰(3)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의 문제행동 인터뷰(4)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의 문제행동 인터뷰(5)

2. 학생 설문지

(4. ) 결론 및 생각

본문내용

여야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한 조별 발표를 하면서 참 많은 것을 깨달았습니다. 조원들끼리 협동을 하면서 무엇인가 해냈을 때의 기쁨을 배웠고, 무지한 영역에서 오아시스와 같은 지식을 얻었을 때의 기쁨도 얻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조별 발표를 통해 배운 가장 큰 기쁨은 제 자신이 성숙해져간다는 것을 느꼈을 때의 기쁨입니다.
주제 선정 역시 힘들었지만, 자료를 찾고, 설문지를 만들고,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고, 제 자신의 의견을 붙여가면서 원고를 써나갈 때의 그 긴 시간의 고통을 함께한 조원들이 있어서 힘든 시간이었지만, 얻은 것이 더 많은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그런 사회에서 인간은 교육을 받아 가며 성장하게 된다. 즉, 사회와 교육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지금 배우고 있는 교육 사회학은 바로 그런 관계를 배우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시각에서 우리 교육에 대하여 어떤 주제를 선정하는지가 관건이었다. 우리 조는 먼저 주제 선정을 위해 까페까지 만들며 토론을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문제아’라는 주제를 가지고 논의해 보기로 결정했다. 흔히 우리 머릿속에는 문제아라면 항상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에 잘 가지 않는 아이, 수업시간에 조는 아니, 담배 피는 아이 등등 학교에서 하면 안 되는 그런 행동을 하는 아이들이 바로 문제아라고 여겨졌었다. 그런데 문제아라는 주제로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정의를 찾아보게 되었다. 따라서 국회도서관에 원문 자료를 찾았는데 문제아의 정의에 대하여 문제행동을 하는 아이라고 정의되어 있었다. 따라서 문제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문제 행동 또한 알아보아야 했다. 그래서 우리 조는 교사가 바라보는 문제행동과 학생이 바라보는 문제행동에 대해서 2조로 나뉘어서 조사하기로 했다. 나는 문제행동에 있어 학생이 생각하는 쪽으로서 국회도서관에서 자료 검색을 하여 나와 같은 조에 속한 사람들과 토론을 하여 설문지를 만들었다. 또한 설문지를 만들어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부 1학년에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실제로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고 범위가 넓어서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또한 1학년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얼마 되지 않아 문제아에 대해 좀더 쉽게 접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조사결과 학생들은 반사회적 행동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만큼 학생들 사이에서는 사회적으로 하면 안 되는 행동을 했을 때 문제아라고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교사들은 맞서서 버티는 행동, 과잉행동을 했을 때 문제아라고 보는 경향이 짙었다. 또한 곤란한 질문에서는 대답을 꺼리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결론을 내리자면 교사나 학생이 바라보는 문제아에 있어서 차이는 있다. 다만 언급하고 싶은 것은 그런 문제아에게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따뜻한 시선을 보내주었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 수업을 듣는 모든 이의 목표는 교사일 것이다. 교사가 되고자 한다면 한번쯤 이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제아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보다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아서 올바른 지도를 해야 참된 교사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사회학적인 입장에서 교육에 대한 주제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주제선택이 가장 어려운 것 이였다. 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현상들을 살펴보다가 어려운 주제를 선택하기 보다는 우리가 먼저 관심과 흥미가 갈 수 있는 것을 선택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많이 다루어진 주제지만 문제아에 대한 것을 다루기로 했다. 처음에는 문제아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아를 만드는 사회와 그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었지만 그렇게까지 하기엔 능력이 모자라는 것 같아 주제를 좁히기로 했다. 문제아라고 주제를 정해놓고 보니까 조원끼리도 문제아가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행동을 하는 아이를 문제아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 문제행동인지에 대한 것이 문제아에 대한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다가 사회학 시간에 해석학적 입장으로 연구한 것을 배우고 나서 지식이 모자라는 우리의 입장에서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보다는 문제아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기로 했다. 그래서 교육에 주축인 학생과 교사가 어떤 것을 문제행동으로 보는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다.
자료가 적어 이 내용을 가지고서 학생과 교사가 어떤 것을 문제행동이라고 보는지에 대한 판단은 할 수는 없지만 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가지고 살펴보면 교사는 맞서서 버티는 행동을 가장 문제시 된다고 생각 하였고, 과잉행동, 반사회적 행동, 비사회적 행동 순으로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은 반사회적인 행동을 가장 문제시 된다고 생각하였고, 맞서서 버티는 행동, 과잉행동, 비사회적인 행동 순으로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교사는 수업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학생은 폭력, 갈취 등을 가장 문제 행동이라고 보는 것을 보아 교사나 학생 모두 자신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문제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문제아라는 것도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자신들에게 피해가 오는 것을 가장 문제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학생에 대해 교사들의 입장을 살펴보면 다들 이해한다, 그럴 수 있다는 입장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문제아에 대한 이야기는 기피하는 것을 보면 교사가 문제아나 문제 행동에 대해 많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조사를 하면서 문제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나 사회의 입장이 주가 되어 학생의 입장을 알아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행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도 교사, 학부모 등의 입장을 위주로 알아보고 그것을 문제행동이라 하고 학생들의 생각은 알아보지 않은 것이 많았다. 문제행동을 하는 것은 학생이고 그에 대한 원인이나 해결책은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보아야만 제대로 알 수 있을것이다. 문제에 대해 교사나 사회의 입장에서만 바라보지 말고 그들의 생각을 알아보고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겠다.
  • 가격3,6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3.10.30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