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man Hertzberger(헤르만 헤르쯔버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erman Hertzberger(헤르만 헤르쯔버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H_ Herzberger

Transition Region

Architectural Philosophy

Introduction and Review of the Building

Conclustion

본문내용

전이공간 :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관찰자가 이동함에 있어서 공간의 인식이 변화되어지는 것을 전이영여이라 말하며 공간의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적인 것이라 말한다.
.
+ 공간적 전이 : 인간행위에 시간적 요소가 개입되어 ‘공가적 상태의 시간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공간간의 결합 단계에서 볼 수 있는 전이의 양상
+ 전이영역의 기능 : 완충기능 – 성격, 기능, 구조가 서로 다른 공간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키고, 여기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형태의 흐름을 부드럽게 만든다.
한정기능 – 독자적인 기능, 성격, 구조를 갖는 공간영역의 경계를 설정함으로서 공간 범위 구획
연계기능 :- 독립된 공간과 공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인간 형태의 루트를 제공함으로서 서로 다른 공간사이의 이동체계를 설정
다양성 기능 – 독자적으로 존재하여 단위공간의 다양성 관계와 성격을 부여하면서,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간체험의 풍요로움을 제공
BS(Brede School) : 네덜란드의 교육 시스템
1990년대부터 발달하기 시작
교육적인 성향은 내적인 정규학습에 외적인 비정규 학습을 도입
+ 교육공간의 구분 : 내재공간 – 교육의 내재율이 구현
-교육만의 순수하고 배타적인 공간
-교육의 주체가 교육에 참여하는 공간

외재공간 – 교육을 둘러싼 외적 환경으로서의 공간
(물리적 / 심리적 / 사회적 / 예술적 공간)

건축적 특성 :
ㆍ형태의 특성 : 다양한 특성을 가진 잠재적 매개체 / 원시부락에서 형태유추하여 현대적 재해석
ㆍ구조적 특성 : 고정된 의미의 형태가 아닌 여러 사용자들의 생각에 의해 변화, 사용자의 해석을 위환 미완성 건축물
ㆍ분절된 특성 : 조합과 분리는 자유로운 확장과 축소를 가짐
ㆍ재료의 특성 : 내/외부의 재료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연결성을 주며, 재료들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


+ 공간적 특성 :
ㆍ 내/외부의 연결 및 분절성 : 분절성은 큰 규모의 한공간으로서 사용자들과 맺는 관계를 한정 짓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소규모 공간을 생성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형태들을 적용할 가능성을 만들어 내는 것
ㆍ 창의 배치: 건물의 외벽 모서리를 창으로 열어두거나 단절되어져야 하는 부분의 벽을 창으로 열어두어소통과 내/왜부가 같이 느껴지는 모호한 공간을 연출
ㆍ 수평과 수직의 특성: 수직적인 것은 보이드 부분에서 위와 아래를 원활하게 볼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가짐
ㆍ 선과 면의 구조: 전체적인 건축 및 공간의 형태는 누구나 쉽게 인지하는 선과 면의 기본적인 형태를 가지며, 모든 장소의 건축요소에 사용자들은 쉽게 의미를 적용함
건축적 특성 :
ㆍ형태의 특성 : 다양한 특성을 가진 잠재적 매개체 / 원시부락에서 형태유추하여 현대적 재해석
ㆍ구조적 특성 : 고정된 의미의 형태가 아닌 여러 사용자들의 생각에 의해 변화, 사용자의 해석을 위환 미완성 건축물
ㆍ분절된 특성 : 조합과 분리는 자유로운 확장과 축소를 가짐
ㆍ재료의 특성 : 내/외부의 재료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연결성을 주며, 재료들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


+ 공간적 특성 :
ㆍ 내/외부의 연결 및 분절성 : 분절성은 큰 규모의 한공간으로서 사용자들과 맺는 관계를 한정 짓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소규모 공간을 생성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형태들을 적용할 가능성을 만들어 내는 것
ㆍ 창의 배치 : 건물의 외벽 모서리를 창으로 열어두거나 단절되어져야 하는 부분의 벽을 창으로 열어두어
소통과 내/왜부가 같이 느껴지는 모호한 공간을 연출
ㆍ 수평과 수직의 특성 : 수직적인 것은 보이드 부분에서 위와 아래를 원활하게 볼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가짐
ㆍ 선과 면의 구조 : 전체적인 건축 및 공간의 형태는 누구나 쉽게 인지하는 선과 면의 기본적인 형태를 가지며,
모든 장
  • 가격2,500
  • 페이지수57페이지
  • 등록일2013.10.30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89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