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Ⅰ. 서론 (문제 제기)
[1] 최초의 전통성 논쟁
[2] 김수근 선생의 초기 작품
Ⅱ. 한국 근대~현대 건축의 시대적 배경
[1] 한국전통 건축
[2] 해방이후의 건축
[3] 1960년대 한국건축
[4] 1970년대 한국건축
[5] 1980년대 한국건축
[6] 1990년대 한국건축
Ⅲ. 김수근 선생의 부여박물관 (답사기행-공간적 특성)
[1] 김수근 선생의 건축적 사상
[2] 개요
[3] 배치 (주변성&역사성)
[4] 공간구성
[5] 전시특성
[6] 조형성
[7] 용도의 변천
Ⅳ. 부여박물관의 전통성에 관한 논란과 역사적 관점의 의미
[1] 전통성과 한국성
[2] 왜색시비 논란
[3] 소결
Ⅴ. 한국근대건축 전통성의 변모와 부여박물관 이후, 김수근 선생의 작품 활동
[1] 1970년대 김수근의 건축 (공간사옥, 문예회관, 미술회관)
[2] 1980년대 김수근의 건축 (서울올림픽 주경기장, 국립청주박물관)
Ⅵ. 결론 (전통성의 시각과 舊 부여박물관이 남긴 의미)
[1] 일반인들의 건축적 의식 고양
[2] 전통논의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논점의 중심 도출
[1] 최초의 전통성 논쟁
[2] 김수근 선생의 초기 작품
Ⅱ. 한국 근대~현대 건축의 시대적 배경
[1] 한국전통 건축
[2] 해방이후의 건축
[3] 1960년대 한국건축
[4] 1970년대 한국건축
[5] 1980년대 한국건축
[6] 1990년대 한국건축
Ⅲ. 김수근 선생의 부여박물관 (답사기행-공간적 특성)
[1] 김수근 선생의 건축적 사상
[2] 개요
[3] 배치 (주변성&역사성)
[4] 공간구성
[5] 전시특성
[6] 조형성
[7] 용도의 변천
Ⅳ. 부여박물관의 전통성에 관한 논란과 역사적 관점의 의미
[1] 전통성과 한국성
[2] 왜색시비 논란
[3] 소결
Ⅴ. 한국근대건축 전통성의 변모와 부여박물관 이후, 김수근 선생의 작품 활동
[1] 1970년대 김수근의 건축 (공간사옥, 문예회관, 미술회관)
[2] 1980년대 김수근의 건축 (서울올림픽 주경기장, 국립청주박물관)
Ⅵ. 결론 (전통성의 시각과 舊 부여박물관이 남긴 의미)
[1] 일반인들의 건축적 의식 고양
[2] 전통논의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논점의 중심 도출
본문내용
[1] 한국 전통 건축:
ㆍ 지형조건에 따라 자연환경을 중시
ㆍ 단위건물과 전체, 그리고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
ㆍ 단위건물 그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주변과의 관계속에서 본래의 의미 찾음
[2] 해방이후 한국건축 (사상의 변혁기):
ㆍ 전통과 현대의 모순개념이 혼재된 시기
ㆍ 정치적 이데올로기
ㆍ 맹목적인 서구 국제주의 양식의 도입
[3] 1960년대의 한국건축 (전통에 관한 논의의 시작):
ㆍ 해방공간의 연장선상
ㆍ 내부의 정치적 요구와 외부의 문화적 변화에 대한 전통의 현대건축화
(김중업 – 프랑스 대사관 / 이희태 – 절두산교기념관)
ㆍ 전통에 대한 논잰쟁을 일으킨 건축물 : 형태적인 모사와 차용만을 시도
(강봉진 – 국립박물관 / 김수근 – 국립부여박물관)
[4] 1970년대의 한국건축 (형태에서 공간으로의 이동)
ㆍ 전통건축양식의 모사에 의한 현식주의 자각
ㆍ 통요소의 유형화와 근대적 법안을 시도
(임덕문 – 세종문화회관)
ㆍ 전통을 형태적으로 계승한 절충적 성향 (과도기적 성격)
3] 1960년대의 한국건축 (전통에 관한 논의의 시작):
ㆍ 해방공간의 연장선상
ㆍ 내부의 정치적 요구와 외부의 문화적 변화에 대한 전통의 현대건축화
(김중업 – 프랑스 대사관 / 이희태 – 절두산교기념관)
ㆍ 전통에 대한 논잰쟁을 일으킨 건축물 : 형태적인 모사와 차용만을 시도
(강봉진 – 국립박물관 / 김수근 – 국립부여박물관)
[4] 1970년대의 한국건축 (형태에서 공간으로의 이동)
ㆍ 전통건축양식의 모사에 의한 현식주의 자각
ㆍ 통요소의 유형화와 근대적 법안을 시도
(임덕문 – 세종문화회관)
ㆍ 전통을 형태적으로 계승한 절충적 성향 (과도기적 성격)
[5] 1980년대의 한국건축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료주의):
ㆍ 신군부와 민주화 운동세력간의 대립으로 정치적, 사회적 혼란 (관료주의)
ㆍ 세계건축의 표현 언어가 일정한 여과장치 없이 공유되어 우리의 건축미학을 찾아볼 수 없게 하여 도시의 특색 상실시킴
ㆍ 서구화 & 관료주의의 폐해
(김기웅 – 독립기념관 / 김기철 – 예술의 전당)
ㆍ 긍정적 측면
(김수근 – 서울올림픽 주 경기장, 국립청주 박물관)
[6] 1990년대의 한국건축 (한국성의 태동과 한국건축을 위한 노력)
ㆍ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이전 시대보다 더욱 다변화된 모습
ㆍ 전통을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임 (한국성의 발전)
ㆍ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건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음
ㆍ 지형조건에 따라 자연환경을 중시
ㆍ 단위건물과 전체, 그리고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
ㆍ 단위건물 그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주변과의 관계속에서 본래의 의미 찾음
[2] 해방이후 한국건축 (사상의 변혁기):
ㆍ 전통과 현대의 모순개념이 혼재된 시기
ㆍ 정치적 이데올로기
ㆍ 맹목적인 서구 국제주의 양식의 도입
[3] 1960년대의 한국건축 (전통에 관한 논의의 시작):
ㆍ 해방공간의 연장선상
ㆍ 내부의 정치적 요구와 외부의 문화적 변화에 대한 전통의 현대건축화
(김중업 – 프랑스 대사관 / 이희태 – 절두산교기념관)
ㆍ 전통에 대한 논잰쟁을 일으킨 건축물 : 형태적인 모사와 차용만을 시도
(강봉진 – 국립박물관 / 김수근 – 국립부여박물관)
[4] 1970년대의 한국건축 (형태에서 공간으로의 이동)
ㆍ 전통건축양식의 모사에 의한 현식주의 자각
ㆍ 통요소의 유형화와 근대적 법안을 시도
(임덕문 – 세종문화회관)
ㆍ 전통을 형태적으로 계승한 절충적 성향 (과도기적 성격)
3] 1960년대의 한국건축 (전통에 관한 논의의 시작):
ㆍ 해방공간의 연장선상
ㆍ 내부의 정치적 요구와 외부의 문화적 변화에 대한 전통의 현대건축화
(김중업 – 프랑스 대사관 / 이희태 – 절두산교기념관)
ㆍ 전통에 대한 논잰쟁을 일으킨 건축물 : 형태적인 모사와 차용만을 시도
(강봉진 – 국립박물관 / 김수근 – 국립부여박물관)
[4] 1970년대의 한국건축 (형태에서 공간으로의 이동)
ㆍ 전통건축양식의 모사에 의한 현식주의 자각
ㆍ 통요소의 유형화와 근대적 법안을 시도
(임덕문 – 세종문화회관)
ㆍ 전통을 형태적으로 계승한 절충적 성향 (과도기적 성격)
[5] 1980년대의 한국건축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료주의):
ㆍ 신군부와 민주화 운동세력간의 대립으로 정치적, 사회적 혼란 (관료주의)
ㆍ 세계건축의 표현 언어가 일정한 여과장치 없이 공유되어 우리의 건축미학을 찾아볼 수 없게 하여 도시의 특색 상실시킴
ㆍ 서구화 & 관료주의의 폐해
(김기웅 – 독립기념관 / 김기철 – 예술의 전당)
ㆍ 긍정적 측면
(김수근 – 서울올림픽 주 경기장, 국립청주 박물관)
[6] 1990년대의 한국건축 (한국성의 태동과 한국건축을 위한 노력)
ㆍ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이전 시대보다 더욱 다변화된 모습
ㆍ 전통을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임 (한국성의 발전)
ㆍ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건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음
추천자료
한국 근대소설사
한국 근대 여성화단 30년에 대한 연구
[한국 근대사 개설]『고종시대의 재조명』 요약 및 비평
한국 근대음악의 변천사
한국문학사의 근대와 현대 구분 기준에 관한 고찰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1909년~1910년 《대한민보(大韓民報)》의 삽화를 중심으로
한국 전-근대사회에서의 사회와 교육
한국의 근대적 관료제 형성과 과정
동도서기론과 한국의 근대화 문제에 대한 성찰
[한국건축][현대건축][건축기준성립][한국건축의 미래]한국건축의 위치인식, 한국건축의 구조...
한국어문학, 한국 전통건축에서 들어난 한국 철학사상과 현대건축에 나타난 한국전통건축
한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
한국 디자인사 (제 1장 - 한국의 근대화와 디자인 요약)
[한국현대소설론] 개화기 문학 - 시대개관(개화기, 한국 근대소설의 기점에 관한 견해, 개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