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밀 모티프들은 예수의 메시아 직분의 발전적인 성격을 마가가 독자들에게 전하려는 의도 외에 다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레이제넨과 페쉬도 브레데의 주장을 반대했다. 이처럼 브레데의 입장에 많은 학자들은 다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과연 브레데의 입장은 정당한 것인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① 브레데는 마가복음에 나타난 다양한 비밀 모티프들을 메시아 비밀로 지나치게 축소했다. 마가복음에 열 세 개의 기적 이야기가 나오는데 세 개를 제외한 열 개에서는 침묵을 요구하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세 가지 경우만 고려하여 메시아 비밀을 위한 근거로 삼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② 브레데는 무리를 피하는 예수의 모습을 보고 메시아 비밀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수가 무리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휴식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3:20 ; 6:31)
③ 베드로에게 요구한 경계(8:30)도 예수의 메시아 직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예수의 메시아직의 역할에 대한 오해에 관련된 것이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일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사람의 일을 생각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결국 예수는 베드로의 수난을 거부한 영광지향적인 오해를 꾸짖었다. 또한 14장62절에 산헤드린 재판시 대제사장에 물음에 예수는 “내가 그니라” 대답하고 있고 바디매오를 치유하거나 중풍병자를 치유할 때도 혈루증 앓는 여인을 치료할 때도 예수는 공개적으로 함으로 자신이 메시아임을 감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폭로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마가에서 예수는 자신이 메시아임을 분명히 공개했다. 비밀은 예수의 메시아직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그 메시아직의 독특한 역할과 그 역할이 마가 공동체에 갖는 기능과 관련된 것이었다 할 수 있다. 마가 공동체는 예수가 고난당하고 십자가 지신 메시아로 바로 영광중에 다시 와서 구원해 주실 분임이 확실했지만 그 당시 극심한 핍박을 당했기 때문에 이를 비밀로 해야 했다. 이러한 공동체의 상황 비밀 모티프로 마가는 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마가 공동체는 위로를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서중석, 복음서해석, p.33-51
8. 참고 문헌
- J. 그닐카, 국제 성서 주석
- 박수암, 성서주석 마가복음
- 호크마 주석
- 게르트 타이센. 아네테 메르츠, 역사적 예수
- 키트 F. 니클, 공관복음서 이해
- 베르너 H. 켈버, 마가의 예수 이야기
- 서중석, 복음서해석
- 김득중, 복음서 신학
① 브레데는 마가복음에 나타난 다양한 비밀 모티프들을 메시아 비밀로 지나치게 축소했다. 마가복음에 열 세 개의 기적 이야기가 나오는데 세 개를 제외한 열 개에서는 침묵을 요구하고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세 가지 경우만 고려하여 메시아 비밀을 위한 근거로 삼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② 브레데는 무리를 피하는 예수의 모습을 보고 메시아 비밀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수가 무리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휴식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3:20 ; 6:31)
③ 베드로에게 요구한 경계(8:30)도 예수의 메시아 직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예수의 메시아직의 역할에 대한 오해에 관련된 것이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일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사람의 일을 생각한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결국 예수는 베드로의 수난을 거부한 영광지향적인 오해를 꾸짖었다. 또한 14장62절에 산헤드린 재판시 대제사장에 물음에 예수는 “내가 그니라” 대답하고 있고 바디매오를 치유하거나 중풍병자를 치유할 때도 혈루증 앓는 여인을 치료할 때도 예수는 공개적으로 함으로 자신이 메시아임을 감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폭로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마가에서 예수는 자신이 메시아임을 분명히 공개했다. 비밀은 예수의 메시아직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그 메시아직의 독특한 역할과 그 역할이 마가 공동체에 갖는 기능과 관련된 것이었다 할 수 있다. 마가 공동체는 예수가 고난당하고 십자가 지신 메시아로 바로 영광중에 다시 와서 구원해 주실 분임이 확실했지만 그 당시 극심한 핍박을 당했기 때문에 이를 비밀로 해야 했다. 이러한 공동체의 상황 비밀 모티프로 마가는 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마가 공동체는 위로를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서중석, 복음서해석, p.33-51
8. 참고 문헌
- J. 그닐카, 국제 성서 주석
- 박수암, 성서주석 마가복음
- 호크마 주석
- 게르트 타이센. 아네테 메르츠, 역사적 예수
- 키트 F. 니클, 공관복음서 이해
- 베르너 H. 켈버, 마가의 예수 이야기
- 서중석, 복음서해석
- 김득중, 복음서 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