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택적 함묵증 p. 3
2. 선택적 함묵증의 정의 p. 3
3. 선택적 함묵증의 특징 pp. 3~4
4. 선택적 함묵증의 유형 p. 4
5. 선택적 함묵증의 치료 pp. 4~5
6.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사회성 p. 5
7, 진단준거 및 심리검사 ( 검사도구와 척도 ) pp. 5~7
① 대상 선별 검사 도구
1) DSM-Ⅳ의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진단 기준
2) Christiansen의 교사 관찰 검목표
3) 선택적 함묵증 아동 판별 및 특성 파악 체크리스트
8. 치료 대상 pp. 8~9
9. 심리적 중재(치료) 방법 프로그램 계획 - 집단 놀이치료 pp. 9~12
10. 참고문헌 p. 13
2. 선택적 함묵증의 정의 p. 3
3. 선택적 함묵증의 특징 pp. 3~4
4. 선택적 함묵증의 유형 p. 4
5. 선택적 함묵증의 치료 pp. 4~5
6.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사회성 p. 5
7, 진단준거 및 심리검사 ( 검사도구와 척도 ) pp. 5~7
① 대상 선별 검사 도구
1) DSM-Ⅳ의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진단 기준
2) Christiansen의 교사 관찰 검목표
3) 선택적 함묵증 아동 판별 및 특성 파악 체크리스트
8. 치료 대상 pp. 8~9
9. 심리적 중재(치료) 방법 프로그램 계획 - 집단 놀이치료 pp. 9~12
10. 참고문헌 p. 13
본문내용
있다.
♡ 학습특성 : 모든 교과에서 성취가 저조하다. 기억력이 매우 낮고 학습속도가 느리다. 체육교과를 매우 좋아하고 다른 교과는 싫어한다.
♡ 사회성 발달 : 친구들과 전혀 어울리지 않고 혼자 놀기를 좋아한다. 5학년인 형과는 집에서 가끔씩 말을 주고 받을 때가 많다고 하지만, 학교에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는다. 수업시간이 되어도 밖에서 혼자 노는 경우가 있다.
9. 심리적 중재(치료) 방법 프로그램 계획 - 집단놀이치료
회기
목표
내용
활동
1회기
교우들과 어울리기
“선생님 안녕하세요?”, “친구야 안녕?“ 하며, 만났을 때와 헤어졌을 때 서로 웃으며 인사를 주고 받는다.
서로 인사하기
2회기
친구들의 이름을 외우고 서로 불러주기.
회기
목표
내용
활동
3회기
친사회적 행동 -
“ 감정표현하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줄넘기 할 사람 여기 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미리 준비해 둔 놀이도구를 보여주며 놀이방법을 설명한다. ③ 가위 바위 보를 통해 두편으로 나눈다. ④ 먼저 진 편이 줄을 돌리고 이긴 편은 한 사람씩 차례로 안에 들어갔다가 차례로 나온다.
⑤ (노래)
“김서방은 들어오세요. 들어와서 인사하세요” 이렇게 해서 모두 차례로 들어오면
(노래)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만세를 불러라, 꼬마야 꼬마야 잘 가거라.”
이 노래를 차례대로 모두 하고 나서 “잘 가거라”에 한 사람씩 나온다.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긴 줄넘기 놀이
4회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할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실험자들에게 놀이 방법과 규칙을 설명한다.
③ 가위 바위 보를 통해 술래를 정하도록 한다.
④ 술래는 머리를 대고 눈을 감은 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자기 생각대로 속도를 조절하며 외치다가 말을 마치는 순간 고개를 돌려 아이들을 쳐다본다.
⑤ 교사도 함께 놀이에 참가하고 놀이를 수행하다가 시비가 일어날 때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5회기
6회기
회기
목표
내용
활동
7회기
친구들과 상호작용 하기 - 신체접촉하는 다양한 게임하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여우야 할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아동들에게 놀이 방법과 규칙을 설명한다.
③ 가위 바위 보를 통해 술래를 정하도록 한다.
④ 술래는 여우 역할을 하고 아이들은 손님처럼 여우에게 말을 걸듯 이야기를 한다.
⑤ 아이들은 옆으로 한 줄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잠잔다~~잠꾸러기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세수한다~~멋쟁이~~여우야, 여우야, 뭐하니?~~밥 먹는다.~~무슨 반찬~~개구리반찬~~죽었니? 살았니? 살았다~~주고 받다가 마지막에 술래가 아이들을 잡고 아이들은 출발선까지 뛰어서 돌아간다.
⑥ 돌아가다가 술래에게 잡힌 아이가 술래가 되고 같은 놀이를 반복한다.
⑦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8회기
9회기
① 운동장에 오징어 모양의 놀이판을 그린다.
② 이긴 편과 진편으로 나누어 각각 자기 집으로 들어가 시작한다.
③ 이긴 편은 바깥마당으로 나올 때 앙감질로 다녀야 한다. 다만 오징어 목에 해당하는 곳을 어느 쪽으로든지 건너면 그 때부터 두발로 다닐 수 있다. 이때 진편은 다리를 못 지나게 막을 수 있다.
④ 이긴 편은 진편의 문을 통과해 진편의 집을 지나(두발로 다님) 자기 편 집으로 다시 들어가면 이긴다.
⑤ 이 때 바깥마당과 진 편 집에서 상대편을 쓰러뜨린다. 그러다가 앙감질한 다리가 땅에 닿으면 죽는다.
⑥ 이긴 편이나 진 편 모두 금을 밟으면 죽는다.
⑦ 이와 같은 방법으로 놀이를 반복해서 한다.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오징어 놀이
회기
목표
내용
활동
10 회기
더 많은 아이들을 참여하여 여자 아이들과 남자 아이들이 함께 놀이하며 상호작용하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얼음 땡 할 사람 여기 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아동들에게 놀이 방법과 규칙을 설명한다.
③ 운동장에 얼음 땡을 할 직사각형 판을 그린다.
④ 가위, 바위, 보로 술래를 정하고 술래는 숫자는 1에서 20까지 센다. 그리고 술래는 아이들을 잡는다.
⑤ 잡히려는 아이는 잡히려는 순간 “얼음”을 외칠 수 있다.
⑥ “얼음”을 외친 아이는 움직이지 못하고 서 있는다. 그 때 다른 아동이 서 있는 아동을 손으로 닿으면 그 아동은 다시 움직이면서 게임을 할 수 있다.
⑦ 술래는 게임을 하는 아이들이 다 ‘얼음’을 외칠 때까지 한다.
⑧ 이와 같은 방법으로 놀이를 반복해서 한다.
⑨ 이 때 교사도 함께 놀이에 참가하고 놀이를 수행하다가 시비가 일어날 때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⑩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얼음땡
11 회기
12 회기
치료 대상 아동들이 모두 남아이므로 집단놀이치료를 할 때 여아들도 함께 참여하여 놀이와 게임을 함께 하며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고 배우도록 한다. 친구들과 놀이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선생님께서 내주신 과제도 서로 모르는 것을 함께 질문하고 해결하도록 장려하고, 실수를 하거나 틀렸을 때에 서로를 격려하고 치료대상 아동들이 발표를 잘 하거나 감정 표현을 잘했을 때 칭찬을 해주도록 한다.
친구들과 함께 도움을 주고받으며 숙제하기.
칭찬하기.
격려하기.
10. 참고문헌
www.riss4u.net 학위논문 검색 / 교육학석사학위 논문/ 집단놀이 활동이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김향옥
♡ 학습특성 : 모든 교과에서 성취가 저조하다. 기억력이 매우 낮고 학습속도가 느리다. 체육교과를 매우 좋아하고 다른 교과는 싫어한다.
♡ 사회성 발달 : 친구들과 전혀 어울리지 않고 혼자 놀기를 좋아한다. 5학년인 형과는 집에서 가끔씩 말을 주고 받을 때가 많다고 하지만, 학교에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는다. 수업시간이 되어도 밖에서 혼자 노는 경우가 있다.
9. 심리적 중재(치료) 방법 프로그램 계획 - 집단놀이치료
회기
목표
내용
활동
1회기
교우들과 어울리기
“선생님 안녕하세요?”, “친구야 안녕?“ 하며, 만났을 때와 헤어졌을 때 서로 웃으며 인사를 주고 받는다.
서로 인사하기
2회기
친구들의 이름을 외우고 서로 불러주기.
회기
목표
내용
활동
3회기
친사회적 행동 -
“ 감정표현하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줄넘기 할 사람 여기 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미리 준비해 둔 놀이도구를 보여주며 놀이방법을 설명한다. ③ 가위 바위 보를 통해 두편으로 나눈다. ④ 먼저 진 편이 줄을 돌리고 이긴 편은 한 사람씩 차례로 안에 들어갔다가 차례로 나온다.
⑤ (노래)
“김서방은 들어오세요. 들어와서 인사하세요” 이렇게 해서 모두 차례로 들어오면
(노래)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만세를 불러라, 꼬마야 꼬마야 잘 가거라.”
이 노래를 차례대로 모두 하고 나서 “잘 가거라”에 한 사람씩 나온다.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긴 줄넘기 놀이
4회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할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실험자들에게 놀이 방법과 규칙을 설명한다.
③ 가위 바위 보를 통해 술래를 정하도록 한다.
④ 술래는 머리를 대고 눈을 감은 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자기 생각대로 속도를 조절하며 외치다가 말을 마치는 순간 고개를 돌려 아이들을 쳐다본다.
⑤ 교사도 함께 놀이에 참가하고 놀이를 수행하다가 시비가 일어날 때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5회기
6회기
회기
목표
내용
활동
7회기
친구들과 상호작용 하기 - 신체접촉하는 다양한 게임하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여우야 할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아동들에게 놀이 방법과 규칙을 설명한다.
③ 가위 바위 보를 통해 술래를 정하도록 한다.
④ 술래는 여우 역할을 하고 아이들은 손님처럼 여우에게 말을 걸듯 이야기를 한다.
⑤ 아이들은 옆으로 한 줄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잠잔다~~잠꾸러기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세수한다~~멋쟁이~~여우야, 여우야, 뭐하니?~~밥 먹는다.~~무슨 반찬~~개구리반찬~~죽었니? 살았니? 살았다~~주고 받다가 마지막에 술래가 아이들을 잡고 아이들은 출발선까지 뛰어서 돌아간다.
⑥ 돌아가다가 술래에게 잡힌 아이가 술래가 되고 같은 놀이를 반복한다.
⑦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8회기
9회기
① 운동장에 오징어 모양의 놀이판을 그린다.
② 이긴 편과 진편으로 나누어 각각 자기 집으로 들어가 시작한다.
③ 이긴 편은 바깥마당으로 나올 때 앙감질로 다녀야 한다. 다만 오징어 목에 해당하는 곳을 어느 쪽으로든지 건너면 그 때부터 두발로 다닐 수 있다. 이때 진편은 다리를 못 지나게 막을 수 있다.
④ 이긴 편은 진편의 문을 통과해 진편의 집을 지나(두발로 다님) 자기 편 집으로 다시 들어가면 이긴다.
⑤ 이 때 바깥마당과 진 편 집에서 상대편을 쓰러뜨린다. 그러다가 앙감질한 다리가 땅에 닿으면 죽는다.
⑥ 이긴 편이나 진 편 모두 금을 밟으면 죽는다.
⑦ 이와 같은 방법으로 놀이를 반복해서 한다.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오징어 놀이
회기
목표
내용
활동
10 회기
더 많은 아이들을 참여하여 여자 아이들과 남자 아이들이 함께 놀이하며 상호작용하기.
① 놀이를 시작할 때 “얼음 땡 할 사람 여기 여기 붙어라!”를 외치며 아이들과 함께 중재를 시작한다.
② 교사는 아동들에게 놀이 방법과 규칙을 설명한다.
③ 운동장에 얼음 땡을 할 직사각형 판을 그린다.
④ 가위, 바위, 보로 술래를 정하고 술래는 숫자는 1에서 20까지 센다. 그리고 술래는 아이들을 잡는다.
⑤ 잡히려는 아이는 잡히려는 순간 “얼음”을 외칠 수 있다.
⑥ “얼음”을 외친 아이는 움직이지 못하고 서 있는다. 그 때 다른 아동이 서 있는 아동을 손으로 닿으면 그 아동은 다시 움직이면서 게임을 할 수 있다.
⑦ 술래는 게임을 하는 아이들이 다 ‘얼음’을 외칠 때까지 한다.
⑧ 이와 같은 방법으로 놀이를 반복해서 한다.
⑨ 이 때 교사도 함께 놀이에 참가하고 놀이를 수행하다가 시비가 일어날 때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⑩ 놀이 활동을 마칠 때 놀이 활동을 하면서 느낀 생각을 발표하는 기회를 주도록 한다.
얼음땡
11 회기
12 회기
치료 대상 아동들이 모두 남아이므로 집단놀이치료를 할 때 여아들도 함께 참여하여 놀이와 게임을 함께 하며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친사회적인 행동을 보고 배우도록 한다. 친구들과 놀이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선생님께서 내주신 과제도 서로 모르는 것을 함께 질문하고 해결하도록 장려하고, 실수를 하거나 틀렸을 때에 서로를 격려하고 치료대상 아동들이 발표를 잘 하거나 감정 표현을 잘했을 때 칭찬을 해주도록 한다.
친구들과 함께 도움을 주고받으며 숙제하기.
칭찬하기.
격려하기.
10. 참고문헌
www.riss4u.net 학위논문 검색 / 교육학석사학위 논문/ 집단놀이 활동이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김향옥
추천자료
『상담심리학의 기초이론』요약 정리
교육정책
우생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그 가능성에 대한 논란들
의료정보학의 발전사 및 의과대학에서의 의료정보학 교육
평등 교육과 엘리트 교육
[문예사조사] 사실주의(Realism)의 개념과 양상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고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선정 이유와 주제에 따...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2012년 1학기 지역개발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의 동향
★정보관리의 중요성★.
[의식, 동양적 의식]의식과 동양적 의식, 의식과 도교의식, 의식과 유권자의식, 의식과 노동...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평가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