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족들이 당하는 배고품 때문에 자신에게 가해지는 원인모를 고통 때문에 그 모든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며 아버지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의식조차 없던 그 나이 또래의 소년에 불과했다.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쫓겨 다니는 아버지일망정 그래도 아버지가 있고, 아직은 보호받을 울타리가 있다고 잠재의식 속에서 아버지를 의지하고 있던 그 나이 또래의 소년이었다. →아버지의 죽음을 확인하고 난후 → 자상했던 아버지와의 추억을 기억하고 아버지로서도 불가항력적인 상황이었음을 어렴풋이 이해하게 되며 이제는 자신을 가둬두었던 알을 깨고 나오게 된다. 정신적으로 성숙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이데올로기의 대립 갈등을 갑해가 포함되어 있는 가족이라는 또 다른 이데올로기로 회복 하려는 것도 성장소설의 한 면이다.
* 갑해라는 소년의 눈을 통해서 본 이념의 갈등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것은 갑해라는 소년이기에 가능한 생각인 것 같다. 어떤 이념을 가지고 있는가의 원인이 사회와 역사에게는 책임이 없단 말인가? 오직 개인의 선택의 문제일 뿐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독자에게 맡겨지는 것 같다.
<장마 - 윤흥길>
* ‘나’의 의식의 성장
① 낯선 남자의 꼬임은 세상의 무서움을 인식시켜주고 악을 경험하게 한다. 이로써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의식의 성숙이 생겼다.
② 외삼촌, 할머니의 죽음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인간은 죽을 수밖에 없는 나약한 존재로 측은하게 생각하여 다른 사람을 용서할 수 있는 마음의 성숙이 생겼다.
* 소년인 ‘나’를 통하여 본 6.25는 어른들처럼 심각한 것이 아니었다. 소년의 눈에 전쟁은 놀이로 보였다. 이것은 6.25 전쟁에 대해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것으로 이념을 가지고 있는 어른들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보다는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 이념의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로 우리 민족의 정서에 거부감이 없는 샤머니즘을 사용했다.
* 사투리의 사용으로 할머니와 외할머니와의 싸움이 거칠게 느껴지지 않고 두 분의 사이가 멀지 않고 정감 있게 느껴지고 두 사람 모두가 같은 말을 쓰는 한 핏줄이라는 인식을 갖게 해 준다.
* 장마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갈등이 장마의 끝과 함께 마무리되어짐을 통해 ‘나’는 장마라는 통과의례를 마치고 성숙한 인격체가 되고, 이념의 갈등도 해결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참고문헌
-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세계 (최현주) <박이정>
- 소설이란 무엇인가 (조정래·나병철) <평민사>
- 소설연구의 첫걸음 (제레미 호손)<동인>
- 한국 현대소설 비평 (김윤식) <일지사>
- 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 (최인자) <소명출판>
-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이보영) <청예원>
-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나병철) <문예출판사>
- 한국 소설사 (김윤식·정호웅) <문학동네>
-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유형연구 / 허선화/ 신라대학교
- 한국 성장소설의 유형연구 / 김민령/ 한양대대학원 2002
- 윤흥길 성장소설 연구 (악의 체험과 죽음의 체험을 중심으로) / 박정은/ 홍익대교육대학원 2006
* 이데올로기의 대립 갈등을 갑해가 포함되어 있는 가족이라는 또 다른 이데올로기로 회복 하려는 것도 성장소설의 한 면이다.
* 갑해라는 소년의 눈을 통해서 본 이념의 갈등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것은 갑해라는 소년이기에 가능한 생각인 것 같다. 어떤 이념을 가지고 있는가의 원인이 사회와 역사에게는 책임이 없단 말인가? 오직 개인의 선택의 문제일 뿐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독자에게 맡겨지는 것 같다.
<장마 - 윤흥길>
* ‘나’의 의식의 성장
① 낯선 남자의 꼬임은 세상의 무서움을 인식시켜주고 악을 경험하게 한다. 이로써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의식의 성숙이 생겼다.
② 외삼촌, 할머니의 죽음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인간은 죽을 수밖에 없는 나약한 존재로 측은하게 생각하여 다른 사람을 용서할 수 있는 마음의 성숙이 생겼다.
* 소년인 ‘나’를 통하여 본 6.25는 어른들처럼 심각한 것이 아니었다. 소년의 눈에 전쟁은 놀이로 보였다. 이것은 6.25 전쟁에 대해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것으로 이념을 가지고 있는 어른들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보다는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 이념의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로 우리 민족의 정서에 거부감이 없는 샤머니즘을 사용했다.
* 사투리의 사용으로 할머니와 외할머니와의 싸움이 거칠게 느껴지지 않고 두 분의 사이가 멀지 않고 정감 있게 느껴지고 두 사람 모두가 같은 말을 쓰는 한 핏줄이라는 인식을 갖게 해 준다.
* 장마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갈등이 장마의 끝과 함께 마무리되어짐을 통해 ‘나’는 장마라는 통과의례를 마치고 성숙한 인격체가 되고, 이념의 갈등도 해결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참고문헌
-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세계 (최현주) <박이정>
- 소설이란 무엇인가 (조정래·나병철) <평민사>
- 소설연구의 첫걸음 (제레미 호손)<동인>
- 한국 현대소설 비평 (김윤식) <일지사>
- 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 (최인자) <소명출판>
-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이보영) <청예원>
-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 (나병철) <문예출판사>
- 한국 소설사 (김윤식·정호웅) <문학동네>
-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유형연구 / 허선화/ 신라대학교
- 한국 성장소설의 유형연구 / 김민령/ 한양대대학원 2002
- 윤흥길 성장소설 연구 (악의 체험과 죽음의 체험을 중심으로) / 박정은/ 홍익대교육대학원 2006
키워드
추천자료
소설과 영화의 서사구조에 관한 고찰
소설과 영화의 미적(美的) 차연(差延)
현대소설작가, 이인직과 그의 작품경향 분석
[문학][6월항쟁][TV드라마][뷔히너문학상][판타지소설][최수철문학]문학의 정의, 문학의 사회...
고전소설(김만중의 구운몽)
[장끼전] 우화소설 장끼전의 줄거리, 시대적 배경, 장끼전의 특징, 장끼전을 통해 살펴본 우...
1980년대의 노동문학, 1980년대의 모더니즘, 1980년대의 소설문학, 1980년대의 독일소설, 198...
근대소설의 변화와 2000년대 문학을 통해 알아본 앞으로 소설 모습
단편소설의 미학을 보여주는 액자소설, 김동인『배따라기』
[교육심리] 안철수의 성장과정을 살펴보고, 어떤 사건이 안철수의 어떤 면에 영향을 끼켬 되...
소설의 양식적 속성과 국어교육
소설의 시점과 화자 - 천운영, 명랑
서유기 [명대 문학 주류, 세정 소설, 신마 소설]
[한국고전소설론] 고전소설의 천편일률성에 대한 인식과 권선징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