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화(失花)』의 시공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화(失花)』의 시공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실화』의 시공간의 서술 구조
2. 『실화』 각 장의 시공간 분석 : 사건 발생의 시간 순서에 따라.
(1) 1장 : 프롤로그
(2) 3장 : 서울. 10월 23일~24일
(3) 5장 : 서울. 10월 24일
(4) 7장 : 서울. 10월 24일
(5) 9장 : 동경. 12월 23일 아침
(6) 2장 : 동경 C양의 방. 12월 23일 밤
(7) 4장 : 동경 C양의 방. 12월 23일
(8) 6장 : 동경의 거리
(9) 8장 : 동경
3. 『실화』 시공간 전이의 매개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넘어갈 때 항상 매개체가 나온다. 2장에서 이상은 C양의 목소리에서 연이와 S와 나 사이의 삼각관계를 연상하고, 파이프를 통해 서울에서 연이와의 사이에서 있었던 일까지를 생각하게 된다. 4장의 중간 부분에서는 C양의 푸른 입술에서 연이의 푸른 입술을 연상한 후 다시 C양의 이야기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C양의 방을 나오면서 C양이 준 국화를 주머니에 꽂고 나오면서 여자의 배웅을 받는 장면을 연상하여 연이와 헤어져 방을 나온 기억을 환기하게 된다. 즉 3장에서 4장으로, 서울에서 도쿄로의 서술의 전이를 매개하는 사물은 국화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
『실화』에서 이상은 현실을 도피하듯이 아픈 몸으로 동경에 갔지만 그는 이내 실망해 버리고 그의 내면세계는 여전히 서울 어느 곳을 헤매고 있는 듯하다. 1939년 3월 [문장]에 유고로 발표된 이 소설은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의식의 흐름에 의해 쓰여 졌으며 서울의 공간과 동경의 공간을 동시화하여 표현했으며 또한 시간을 공간화 하였다. 어지럽도록 시공간이 뒤섞여 있지만 자세히 보면 절묘한 연결 고리를 가지고 있어 작품의 매력을 더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진석, 이상문학연구, 1989, 서원대학
김주현, 이상소설연구, 1999, 소명출판
박향서, 이상문학의 시간의식 연구, 1989
김종건, 이상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
김윤식, 이상연구, 2001, 문학사상사
김윤식, 이상 문학 텍스트 연구, 1998,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성수, 상소설의 해석, 1999, 태학사
문흥술, 한국 모더니즘 소설, 2003, 청동거울
임종국, 이상문학의 본질, 1966, 문성사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1.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