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의 개념
1) 가족에 대한 여러 개념들
2) 가족이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특징
3) 사회복지사가 가족을 보는 이해의 눈
2. 가족과 관련된 용어들
1) 가정 (home)
2) 가구 (household)
3) 세대 (household, family)
4) 집
5) 친족
6) 동족
7) 종족
참고문헌
1) 가족에 대한 여러 개념들
2) 가족이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특징
3) 사회복지사가 가족을 보는 이해의 눈
2. 가족과 관련된 용어들
1) 가정 (home)
2) 가구 (household)
3) 세대 (household, family)
4) 집
5) 친족
6) 동족
7) 종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적 배경
‘그 집안과는 혼인할 수 없다.’ 가족의 범위는 넘어 친족까지
5) 친족
- 혈연과 인척관계에 의하여 결합된 사람들로서 긴밀한 접촉관계를 유지함
- 민법 :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배우자
6) 동족 : 동일 조상으로부터 태어난 모든 후예. 실제적 집단이기 보다는 상징성
7) 종족 : 종중, 문중
가족의 개념
보통 전통적으로 혈연, 결혼, 출생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나 개념은 변화하고 있음
변화의 방향 : 혈연, 결혼, 출생 >> 입양 >> 정서적 유대(친밀감, 책임감)
건강기정기본법 : 가족-사회의 기본단위, 가정-생활공동체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사회복지사는 세 가지 관점을 가져야 함 : ‘누가 가족구성원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개별적으로 가족을 정의할 때 누가 의미있는 사람일까?’ ‘이 가족을 통해 수행되는 역할과 관계는 무엇인가
가족과 관련된 용어들
가정 : 생활공동체 또는 공동생활하는 공간. 단, 심리정서적 부분 포함
가구 : 함께 거주하며 생활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
‘집’에 대한 다양한 언어 패턴 : 경우에 따라 family member, residence, house, family background, relative의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이영실, 김재경 외 저, 가족복지론, 양서원 2013
이기영, 송선회 외 저, 가족복지와 상담, 화학사 2010
이원숙 저,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2
김경자, 임선영 저, 가족복지의 이해, 구상 2008
문혁준, 김진이 외 저, 가족복지, 창지사 2010
박주희 저, 현대가족의 이해와 가족복지의 실천, 구상 2007
‘그 집안과는 혼인할 수 없다.’ 가족의 범위는 넘어 친족까지
5) 친족
- 혈연과 인척관계에 의하여 결합된 사람들로서 긴밀한 접촉관계를 유지함
- 민법 :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배우자
6) 동족 : 동일 조상으로부터 태어난 모든 후예. 실제적 집단이기 보다는 상징성
7) 종족 : 종중, 문중
가족의 개념
보통 전통적으로 혈연, 결혼, 출생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나 개념은 변화하고 있음
변화의 방향 : 혈연, 결혼, 출생 >> 입양 >> 정서적 유대(친밀감, 책임감)
건강기정기본법 : 가족-사회의 기본단위, 가정-생활공동체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사회복지사는 세 가지 관점을 가져야 함 : ‘누가 가족구성원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개별적으로 가족을 정의할 때 누가 의미있는 사람일까?’ ‘이 가족을 통해 수행되는 역할과 관계는 무엇인가
가족과 관련된 용어들
가정 : 생활공동체 또는 공동생활하는 공간. 단, 심리정서적 부분 포함
가구 : 함께 거주하며 생활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분류
‘집’에 대한 다양한 언어 패턴 : 경우에 따라 family member, residence, house, family background, relative의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이영실, 김재경 외 저, 가족복지론, 양서원 2013
이기영, 송선회 외 저, 가족복지와 상담, 화학사 2010
이원숙 저,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2
김경자, 임선영 저, 가족복지의 이해, 구상 2008
문혁준, 김진이 외 저, 가족복지, 창지사 2010
박주희 저, 현대가족의 이해와 가족복지의 실천, 구상 2007
키워드
추천자료
한부모가정 - 모자가정 현황과 대책 정리
가정문제의 사례,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가정정책과 가정복지의 발전방향에 관한 논의
[은퇴][은퇴기가정][은퇴기][은퇴기 가정설계][은퇴기 가정 특성][우리나라 은퇴현황][은퇴 ...
건강가정을 만들기 위하여 본인가정에 필요한 건강가정 대책
가정기본계획과 건강가정기본법과의 비교
한부모가정지원정책,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빈곤가정 지원방안
[빈곤가족][빈곤가정][결식아동][구빈정책][가족해체]빈곤가족(빈곤가정)의 특성, 빈곤가족(...
[아동건강교육] 가정에서의 안전 - 가정, 가정환경과 안전, 가정에서의 안전한 놀잇감, 장소...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체계론적 자원관리]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자원관리,다문화가정의 자원...
[가족정책론] 건강가정기본법(建康家庭基本法) -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배경, 건강가정기본법...
한부모가족의 정의와 현황 및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한부모가족의 정의, 한부모가족의 현황, ...
조손가정아동의 특성(특징), 조손가정아동 문제의 원인, 조손가정아동의 치료와 상담적 접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