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대구 10미란?
2. 대구음식 맛 브랜드 \'대찬맛\'
3. 달서구 모범음식점 \'깨친맛\'
Ⅱ. 본론
1. 대구 10미 음식 소개
-1味 따로국밥
-2味 누른국수
-3味 동인동찜갈비
-4味 뭉티기
-5味 납작만두
-6味 복어불고기
-7味 무침회
-8味 논메기매운탕
-9味 막창구이
-10味 야끼우동
Ⅲ. 결론
1. 현재 대구의 10미 홍보현황
2. 사람들의 10미 인지도 (설문조사)
3. 10미의 확산실패이유 / 분석
4. 다른지역의 음식 홍보 성공사례
5. 대구 먹거리 활성화 및 홍보방안 및 나의의견
Ⅳ. 참고문헌
1. 대구 10미란?
2. 대구음식 맛 브랜드 \'대찬맛\'
3. 달서구 모범음식점 \'깨친맛\'
Ⅱ. 본론
1. 대구 10미 음식 소개
-1味 따로국밥
-2味 누른국수
-3味 동인동찜갈비
-4味 뭉티기
-5味 납작만두
-6味 복어불고기
-7味 무침회
-8味 논메기매운탕
-9味 막창구이
-10味 야끼우동
Ⅲ. 결론
1. 현재 대구의 10미 홍보현황
2. 사람들의 10미 인지도 (설문조사)
3. 10미의 확산실패이유 / 분석
4. 다른지역의 음식 홍보 성공사례
5. 대구 먹거리 활성화 및 홍보방안 및 나의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 황금막창(현재 남구 앞산관광호텔 맞은편으로 이전)을 출발로, 서울, 상동 막창 시대를 거쳐 IMF 환란 직후 두산동 아리조나 막창 등 식당들이 '막창붐 릴레이'를 벌였다.
< 9味 대구막창구이>
-10味 야끼우동 ; 일본 음식중에서 야끼소바라고 하는 볶음우동이 있다. 이것과는 조금 다른 대구에서 30년전에 개발된 음식인 야끼우동은 고운 고추가루 마늘로 기본적인 매운 맛을 낸 후, 양파, 배추, 호박, 숙주나물, 목이버섯 등의 갖은 채소가 들어간다. 계절별로 여름에는 부추, 겨울에는 시금치 등을 넣을 수도 있으며 여기에 오징어, 돼지고기를 넣어 센 불에 즉석에서 볶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대구의 대부분의 중화요리 전문점에서 취급을 하는 메뉴로서 매콤 달콤해서 한번 맛보면 계속 먹고 싶은 약간의 중독성이 있다.
< 10味 야끼우동 >
Ⅲ. 결론
1. 현재 대구의 10미 홍보현황
- 대구시는 스토리 텔링 및 영상홍보물을 제작해 서울 등 수도권 대상으로 집중적인 홍보를 펼쳤다.
- 또한 표준화 개량화된 조리법을 개발 보급하고 매운맛을 세분화시켜 메뉴를 개발하는 한편 용기와 그릇에도 변화를 주는 등 대표음식 고급화에 나설 예정이다.
- 대구시는 현대적 감각에 맞는 퓨전음식 개발과 영양학적 분석을 고려해 대표음식을 과학적으로 발굴 육성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혔다.
- 대구음식관광박람회를 통한 홍보
- 기차역 홍보 간판(동대구역, 서울역 ) , ktx매거진 대찬맛 홍보
- 식객단 모집을 통한 맛집홍보
- 홈페이지를 통한 대구 음식소개< http://www.daegufood.go.kr/>
2. 사람들의 10味 인지도 (설문조사)
대구사람들은 대구의 공식적인 대표 먹거리 10味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계명대학교 학생을 비롯해 대구 시민들을 통하여 간단한 설문조사를 해 보았다.
대구의 공식적인 대표 먹거리 10味에 대한 설문조사
1) 가장 대표적인 대구 음식이라고 생각하는 1~3위를 표기.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막창
납작만두
동인동찜갈비
곱창
따로국밥
대구통닭
신천떡볶이
족발
김파사
칼제비
25표
20표
18표
12표
11표
7표
3표
2표
1표
1표
결과로 1위는 25표 막창, 2위 20표 납작 만두, 3위 18표 동인동찜갈비
이외에 곱창12표, 따로국밥11표 대구통닭7표, 신천떡볶이3표, 족발2표 김파사1표, 칼제비1표 등 순서
2) 공식적인 대표음식 10味에 대해 들어봤던 음식이 있었습니까?
사람들 대부분 10味를 잘 모르고 있었으며, 10味라고 들어봤던 음식 중에는 막창이 압도적인 표를 받았으며, 그다음으로는 동인동 찜갈비가 있었다.
3) 아래 음식은 대구 10味입니다. 그렇다면, 10味인줄 몰랐던 음식은 무엇입니까?
논메기 매운탕
누른국수
복어불고기
23표
18표
14표
논메기매운탕 23표, 누른 국수 18표, 야끼우동 16표, 복어불고기 14표, 였으며 생고기나 무침회가 대구10味가 아닌줄 알았다며 ‘진짜?’ ‘의외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3. 10미의 확산실패이유 / 분석
- 하나하나 중요하지만 너무 많은 대구음식
- 하나라도 홍보의 중요성 음식의 전문화성이 필요
- 대구사람들도 잘 모르는 음식역사와 인지부족
- 장소 인지도 ( 곱창이나 막창 찜갈비 등은 같이 모여 있는 장소가 있다)
4. 다른 지역의 음식 홍보 성공사례
-통영: 통영에는 충무김밥이 유명하다. "통영거제가자" 라는 통영의 맛이 소개되는 책도 따로 있으며 무엇보다 1박2일등과 같은 예능프로그램에서 소개된 통영의유명한 동피랑마을(벽화그림)이 tv프로그램에 나오면서 그 주변의 음식인 충무김밥도 같이 유명해졌다. 물론 아직 모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사람들이 통영을 다녀온 블로거나 영상매체를 통한 홍보로 인해 동피랑마을과 함께 충무김밥도 유명해졌다. ( 간접홍보를 통한 장소홍보였지만 그 주변지역에 있는 음식이나 문화가 성공적으로 같이 홍보됨)
-부산 남포동 호떡: 씨앗호떡이라고 불리는 호떡은 부산을 대표하는 토속 음식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길거리에서 시작해서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고 "~카더라" 라는 소문이 점차 퍼지면서 유명한 연예인이 부산을 방문해 그 장소에 호떡을 사먹는 방송이 보여 주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산을 방문해 호떡을 먹었으며, 점차 사진도 SNS를 통해 퍼지면서 성공적인 홍보효과를 이루었다. 이로써 부산하면 남포동 씨앗호떡을 사람들은 떠올리게 된다.
5. 대구 먹거리 활성화 및 홍보방안 및 나의의견
- 대구 푸드의 적극 홍보성 ( 페이스북, 트위터 홍보부족)
- 음식관광박람회 또한 시민들에게 인지부족 (다양한 이벤트 필요)
- 적게는 하나 많게는 3개정도 음식부터 대구고유음식으로 브랜드화시킨후 성공하면 점차 늘리는 식으로 대책이 필요함
- 소셜 커머스를 통해 대구 근교탐방이 늘고 있음 -> 대구 10미음식을 접목시키기
- 대구 치맥(치킨*맥주) 페스티벌은 대구음식이 아님에도 치맥 이라는 이유로 관심을 받고있음 대구10미도 페스티벌을 개최해 적극적 홍보필요
- 간접광고 -> (신문이나 tv를 통해 간접광고 기회를 가진다면 홍보효과 높아짐)
-지자체등 기관을 통한 홍보 ( 각 지방마다 지자체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것들을 홍보하기 위해서 동아리모임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진다고 한다)
예)안동-하회마을알리미, 청도-특산물을 이용한 포스터 등.
<참고문헌>
‘대구여행 - 대구 10미 ’ blog.naver.com/kotour21/30126523773
대구 푸드 홈페이지 - http://www.daegufood.go.kr/kor/
대구음식관광박람회 홈페이지 - http://www.colorfulfood.co.kr/
네이버 블로그 - http://npcmin.blog.me/10096201411
네이버블로그http://blog.naver.com/jijixix?Redirect=Log&logNo=60117357513<뭉티기사진>
http://blog.naver.com/59hjh?Redirect=Log&logNo=40145621513<복어사진>
http://blog.naver.com/process30?Redirect=Log&logNo=150125080195<야끼우동>
< 9味 대구막창구이>
-10味 야끼우동 ; 일본 음식중에서 야끼소바라고 하는 볶음우동이 있다. 이것과는 조금 다른 대구에서 30년전에 개발된 음식인 야끼우동은 고운 고추가루 마늘로 기본적인 매운 맛을 낸 후, 양파, 배추, 호박, 숙주나물, 목이버섯 등의 갖은 채소가 들어간다. 계절별로 여름에는 부추, 겨울에는 시금치 등을 넣을 수도 있으며 여기에 오징어, 돼지고기를 넣어 센 불에 즉석에서 볶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대구의 대부분의 중화요리 전문점에서 취급을 하는 메뉴로서 매콤 달콤해서 한번 맛보면 계속 먹고 싶은 약간의 중독성이 있다.
< 10味 야끼우동 >
Ⅲ. 결론
1. 현재 대구의 10미 홍보현황
- 대구시는 스토리 텔링 및 영상홍보물을 제작해 서울 등 수도권 대상으로 집중적인 홍보를 펼쳤다.
- 또한 표준화 개량화된 조리법을 개발 보급하고 매운맛을 세분화시켜 메뉴를 개발하는 한편 용기와 그릇에도 변화를 주는 등 대표음식 고급화에 나설 예정이다.
- 대구시는 현대적 감각에 맞는 퓨전음식 개발과 영양학적 분석을 고려해 대표음식을 과학적으로 발굴 육성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혔다.
- 대구음식관광박람회를 통한 홍보
- 기차역 홍보 간판(동대구역, 서울역 ) , ktx매거진 대찬맛 홍보
- 식객단 모집을 통한 맛집홍보
- 홈페이지를 통한 대구 음식소개< http://www.daegufood.go.kr/>
2. 사람들의 10味 인지도 (설문조사)
대구사람들은 대구의 공식적인 대표 먹거리 10味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계명대학교 학생을 비롯해 대구 시민들을 통하여 간단한 설문조사를 해 보았다.
대구의 공식적인 대표 먹거리 10味에 대한 설문조사
1) 가장 대표적인 대구 음식이라고 생각하는 1~3위를 표기.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막창
납작만두
동인동찜갈비
곱창
따로국밥
대구통닭
신천떡볶이
족발
김파사
칼제비
25표
20표
18표
12표
11표
7표
3표
2표
1표
1표
결과로 1위는 25표 막창, 2위 20표 납작 만두, 3위 18표 동인동찜갈비
이외에 곱창12표, 따로국밥11표 대구통닭7표, 신천떡볶이3표, 족발2표 김파사1표, 칼제비1표 등 순서
2) 공식적인 대표음식 10味에 대해 들어봤던 음식이 있었습니까?
사람들 대부분 10味를 잘 모르고 있었으며, 10味라고 들어봤던 음식 중에는 막창이 압도적인 표를 받았으며, 그다음으로는 동인동 찜갈비가 있었다.
3) 아래 음식은 대구 10味입니다. 그렇다면, 10味인줄 몰랐던 음식은 무엇입니까?
논메기 매운탕
누른국수
복어불고기
23표
18표
14표
논메기매운탕 23표, 누른 국수 18표, 야끼우동 16표, 복어불고기 14표, 였으며 생고기나 무침회가 대구10味가 아닌줄 알았다며 ‘진짜?’ ‘의외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3. 10미의 확산실패이유 / 분석
- 하나하나 중요하지만 너무 많은 대구음식
- 하나라도 홍보의 중요성 음식의 전문화성이 필요
- 대구사람들도 잘 모르는 음식역사와 인지부족
- 장소 인지도 ( 곱창이나 막창 찜갈비 등은 같이 모여 있는 장소가 있다)
4. 다른 지역의 음식 홍보 성공사례
-통영: 통영에는 충무김밥이 유명하다. "통영거제가자" 라는 통영의 맛이 소개되는 책도 따로 있으며 무엇보다 1박2일등과 같은 예능프로그램에서 소개된 통영의유명한 동피랑마을(벽화그림)이 tv프로그램에 나오면서 그 주변의 음식인 충무김밥도 같이 유명해졌다. 물론 아직 모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사람들이 통영을 다녀온 블로거나 영상매체를 통한 홍보로 인해 동피랑마을과 함께 충무김밥도 유명해졌다. ( 간접홍보를 통한 장소홍보였지만 그 주변지역에 있는 음식이나 문화가 성공적으로 같이 홍보됨)
-부산 남포동 호떡: 씨앗호떡이라고 불리는 호떡은 부산을 대표하는 토속 음식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길거리에서 시작해서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고 "~카더라" 라는 소문이 점차 퍼지면서 유명한 연예인이 부산을 방문해 그 장소에 호떡을 사먹는 방송이 보여 주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산을 방문해 호떡을 먹었으며, 점차 사진도 SNS를 통해 퍼지면서 성공적인 홍보효과를 이루었다. 이로써 부산하면 남포동 씨앗호떡을 사람들은 떠올리게 된다.
5. 대구 먹거리 활성화 및 홍보방안 및 나의의견
- 대구 푸드의 적극 홍보성 ( 페이스북, 트위터 홍보부족)
- 음식관광박람회 또한 시민들에게 인지부족 (다양한 이벤트 필요)
- 적게는 하나 많게는 3개정도 음식부터 대구고유음식으로 브랜드화시킨후 성공하면 점차 늘리는 식으로 대책이 필요함
- 소셜 커머스를 통해 대구 근교탐방이 늘고 있음 -> 대구 10미음식을 접목시키기
- 대구 치맥(치킨*맥주) 페스티벌은 대구음식이 아님에도 치맥 이라는 이유로 관심을 받고있음 대구10미도 페스티벌을 개최해 적극적 홍보필요
- 간접광고 -> (신문이나 tv를 통해 간접광고 기회를 가진다면 홍보효과 높아짐)
-지자체등 기관을 통한 홍보 ( 각 지방마다 지자체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것들을 홍보하기 위해서 동아리모임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진다고 한다)
예)안동-하회마을알리미, 청도-특산물을 이용한 포스터 등.
<참고문헌>
‘대구여행 - 대구 10미 ’ blog.naver.com/kotour21/30126523773
대구 푸드 홈페이지 - http://www.daegufood.go.kr/kor/
대구음식관광박람회 홈페이지 - http://www.colorfulfood.co.kr/
네이버 블로그 - http://npcmin.blog.me/10096201411
네이버블로그http://blog.naver.com/jijixix?Redirect=Log&logNo=60117357513<뭉티기사진>
http://blog.naver.com/59hjh?Redirect=Log&logNo=40145621513<복어사진>
http://blog.naver.com/process30?Redirect=Log&logNo=150125080195<야끼우동>
추천자료
(사업계획서) 한국 먹거리 누룽지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웰빙 도시락전문업체
일본의 식문화
세계를 바꾼 어느 물고기 북 리뷰
포도(음식점) 외식 컨설팅
봉창이 해물칼국수 분석보고서
[푸드뱅크]유럽의 푸드뱅크(푸드뱅크사업) 사례로 본 푸드뱅크(푸드뱅크사업)의 추진배경, 운...
19세기 동화문학작가와 대표작품 분석 -안데르센의 성냥팔이소녀를 중심으로-
창업 - MIES 컨테이너
유비쿼터스 관광 안내 정보 서비스를 통한 전라북도 관광촉진
미즈,여성마케팅,마케팅전략,외식산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농심 새우깡][해태제과 에이스크래커][대상 청정원][CJ제일제당][삼양][동양제과]농심 새우...
뿌까레스토랑,뿌까레스토랑마케팅전략,뿌까레스토랑분석,레스토랑분석
관광자원 또는 관광대상의 가치평가-관광통역안내사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