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가개요
1-1. 자연환경
1-2. 언어와 종교
1-3. 역사
2. 경제동향
2-1. 경제동향
2-2. 시장규모와 특성
2-3. 스웨덴 수출입 현황
2-4. 투자지로서의 장점
2-5. 외국인 투자에 대한 개방화 정도
2-6. 투자지로서의 단점
3. 비즈니스 상관습
3-1. 문화적 금기사항
3-2. 거래시 유의사항
3-3. 비즈니스 에티켓
3-4. 상담시 유의사항
4. 한국과 스웨덴의 관계
4-1. 양국간 협정 체결 현황
4-2 . 한국-스웨덴 교역 현황
4-3. 한국-스웨덴 무역관련 투자 통계(2008년 5월말 현재)
1-1. 자연환경
1-2. 언어와 종교
1-3. 역사
2. 경제동향
2-1. 경제동향
2-2. 시장규모와 특성
2-3. 스웨덴 수출입 현황
2-4. 투자지로서의 장점
2-5. 외국인 투자에 대한 개방화 정도
2-6. 투자지로서의 단점
3. 비즈니스 상관습
3-1. 문화적 금기사항
3-2. 거래시 유의사항
3-3. 비즈니스 에티켓
3-4. 상담시 유의사항
4. 한국과 스웨덴의 관계
4-1. 양국간 협정 체결 현황
4-2 . 한국-스웨덴 교역 현황
4-3. 한국-스웨덴 무역관련 투자 통계(2008년 5월말 현재)
본문내용
대해 민감한 편이며,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가격이면 구입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문제에 길들어져 있다. 특히, 품질 수준이 낮은 경우, 설사 가격이 낮다 할지라도 선 듯 팔리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그들이 어느 정도 최소한의 품질 수준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3-3. 비즈니스 에티켓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비즈니스 예절이면 충분하다. 신용과 진실을 우대하며, 약속한 것은 꼭 지키도록 노력한다. 하지만, 인간 관계에 있어서 동양식 가치관에 따른 노소간, 남녀간의 차이는 없다. 노인이라고 해서 젊은층이 특별히 우대한다던가, 어려워한다던가 하는 일은 거의 없다. 남존여비사상은 없으며, 오히려 여성들이 더 왕성한 활동력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3-4. 상담시 유의사항
스웨덴 사람은 일반적으로 차분하며, 논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지인과 상담시에는 이를 유의해야 한다. 대화가 논리적이며, 설득력이 있어야 하며, 너무 소란스럽지 않고 조용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서두에 다른 이야기를 할 분위기일 때는 날씨, 스웨덴의 전통행사, 취미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특히 스웨덴인은 대개 2~3개 정도의 취미 생활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제는 처음에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4. 한국과 스웨덴의 관계
한국과 스웨덴은 1953년 3월 11일 공사급 외교관계가 수립되었으며, 그 이듬해 10월 대사급으로 승격되어 한국은 1963년 상주대사를, 스웨덴은 1979년 한국 상주대사를 주재시켰다. 북한과는 1973년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한국과 스웨덴 양국은 1967년 4월 12일 무역에 관한 의정서를 체결하였으며, 그후 교역규모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979년 6월 통상장관 회담이 스톡홀름에서 개최되었으며, 상호 시장조사단 및 대규모 구매사절단 파견으로 양국간의 교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1979년 10월 스웨덴의 수출협력회 주최로 한국관계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양국간 경제 및 무역 관계가 증대되었다.
양국은 1965년 사증수수료 면제협정, 1967년 무역관계에 관한 의정서, 1968년 가족계획에 관한 기술협정, 1969년 사증면제협정, 1978년 섬유쿼터에 관한 각서, 1982년 재입국 사증면제협정, 1982년 이중과세 방지협정, 1985년 경제·산업·기술 및 과학협력 협정, 1997년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였다.
1994년 4월 총리 빌트가 한국을 방문하였고, 1994년 11월에는 국왕 칼 구스타프가 방한하였다. 1999년 통상장관 파그로스키, 2000년 총리 페르손, 외무장관 린드, 2001년 총리 페르손이 방한하였다. 주요수입품은 액정TV, 휴대폰, 승용차, 전자제품, 직물의류, 합성수지 등이다. 주요수출품은 안테나, 계측기, 통신기기 부품, 건설·광산 장비, 기계류 등이다. 2002년 2월 현재 교민은 1,100명이 살고 있다
4-1. 양국간 협정 체결 현황
양국간 주요 협정 체결 현황(2008.6월 현재)
ο 1965.8. 사증수수료 면제협정
ο 1967.4. 무역관계에 관한 의정서
ο 1968.7. 가족계획에 관한 기술협정
ο 1969.10. 사증면제협정
ο 1978.2. 섬유쿼타에 관한 각서
ο 1982.2. 재입국 사증면제협정
ο 1982.9. 이중과세 방지협정
ο 1985.1. 경제·산업·기술 및 과학협력 협정
ο 1997.6. 투자보장협정
4-2 . 한국-스웨덴 교역 현황
ㅇ 스웨덴은 우리나라와 상호 보완적 수출입 산업구조를 이루고 있어 교역규모 확대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ㅇ 특히, 스웨덴은 항공기, 의약품, 통신방비 등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생산품은 수출하고, 일용소비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력상품의 부품/소재, 해외조달 비중이 높은 국가이다.
ㅇ 스웨덴은 우리나라의 제 41 위 수출국이자 31 위 수입 대상 국가로 대 스웨덴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승용차, 선박, 휴대폰, 아연도강판, 타이어 등이 있으며, 대 스웨덴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열연강판, 의약품, 원동기, 화물자동차 등이 있다.
ㅇ 한국은 2007 년도 스웨덴의 주요 수출국 중 24 위로 스웨덴 수출시장 점유율 0.6%
ㅇ 또한 2007 년도 스웨덴의 주요 수입국 중 한국은 21 위로 스웨덴 수입시장 점유율 0.9%
4-3. 한국-스웨덴 무역관련 투자 통계(2008년 5월말 현재)
스웨덴의 대 한국 투자 현황
(단위: 건수, 천불)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5월말 현재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7
30,505
11
310,063
8
93,943
4
12,951
* 자료원 : 지식경제부, Invest Korea
한국의 대 스웨덴 무역 현황
(단위: 백만불)
연도
수출
수입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2005
904
23.5
977
28.1
2006
858
-5.1
988
1.2
2007
950
10.7
1,192
20.6
2008(전망치)
1,008
6.1
1,207
1.3
2008.1-4월
321
-
456
-
* 자료원 : KOTIS
대 스웨덴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불)
순위
품목명
2006년
2007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1
승용차
171
192.9
177
-2.4
2
선 박
128
26.4
151
20.0
3
무선전화기
148
-
107
-
4
아연도강판
17
49.7
49
17.3
5
타이어
34
-3.5
37
25.6
6
무선수신기
25
7.6
28
58.8
7
자동차부품
40
-
28
281.1
8
유선전송장치
6
46.6
25
4.4
* 자료원 : KOTIS 대 스웨덴 주요 수입품목
(단위: 백만불, %)
순위
품목명
2006년
2007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1
열연강판
70
-13.7
70
-0.3
2
의약품
57
16.7
63
11.4
3
원동기(발전기)
49
32.4
54
9.3
4
화물자동차
34
102.9
48
43
5
승용차
32
-23.7
42
30.5
6
화학기계
20
57.2
39
92.9
7
기타 차량류
27
3.2
39
43.5
8
계측기
33
-22.6
37
12.1
* 자료원 : KOTIS
3-3. 비즈니스 에티켓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비즈니스 예절이면 충분하다. 신용과 진실을 우대하며, 약속한 것은 꼭 지키도록 노력한다. 하지만, 인간 관계에 있어서 동양식 가치관에 따른 노소간, 남녀간의 차이는 없다. 노인이라고 해서 젊은층이 특별히 우대한다던가, 어려워한다던가 하는 일은 거의 없다. 남존여비사상은 없으며, 오히려 여성들이 더 왕성한 활동력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3-4. 상담시 유의사항
스웨덴 사람은 일반적으로 차분하며, 논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지인과 상담시에는 이를 유의해야 한다. 대화가 논리적이며, 설득력이 있어야 하며, 너무 소란스럽지 않고 조용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서두에 다른 이야기를 할 분위기일 때는 날씨, 스웨덴의 전통행사, 취미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다. 특히 스웨덴인은 대개 2~3개 정도의 취미 생활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제는 처음에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4. 한국과 스웨덴의 관계
한국과 스웨덴은 1953년 3월 11일 공사급 외교관계가 수립되었으며, 그 이듬해 10월 대사급으로 승격되어 한국은 1963년 상주대사를, 스웨덴은 1979년 한국 상주대사를 주재시켰다. 북한과는 1973년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한국과 스웨덴 양국은 1967년 4월 12일 무역에 관한 의정서를 체결하였으며, 그후 교역규모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979년 6월 통상장관 회담이 스톡홀름에서 개최되었으며, 상호 시장조사단 및 대규모 구매사절단 파견으로 양국간의 교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1979년 10월 스웨덴의 수출협력회 주최로 한국관계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양국간 경제 및 무역 관계가 증대되었다.
양국은 1965년 사증수수료 면제협정, 1967년 무역관계에 관한 의정서, 1968년 가족계획에 관한 기술협정, 1969년 사증면제협정, 1978년 섬유쿼터에 관한 각서, 1982년 재입국 사증면제협정, 1982년 이중과세 방지협정, 1985년 경제·산업·기술 및 과학협력 협정, 1997년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였다.
1994년 4월 총리 빌트가 한국을 방문하였고, 1994년 11월에는 국왕 칼 구스타프가 방한하였다. 1999년 통상장관 파그로스키, 2000년 총리 페르손, 외무장관 린드, 2001년 총리 페르손이 방한하였다. 주요수입품은 액정TV, 휴대폰, 승용차, 전자제품, 직물의류, 합성수지 등이다. 주요수출품은 안테나, 계측기, 통신기기 부품, 건설·광산 장비, 기계류 등이다. 2002년 2월 현재 교민은 1,100명이 살고 있다
4-1. 양국간 협정 체결 현황
양국간 주요 협정 체결 현황(2008.6월 현재)
ο 1965.8. 사증수수료 면제협정
ο 1967.4. 무역관계에 관한 의정서
ο 1968.7. 가족계획에 관한 기술협정
ο 1969.10. 사증면제협정
ο 1978.2. 섬유쿼타에 관한 각서
ο 1982.2. 재입국 사증면제협정
ο 1982.9. 이중과세 방지협정
ο 1985.1. 경제·산업·기술 및 과학협력 협정
ο 1997.6. 투자보장협정
4-2 . 한국-스웨덴 교역 현황
ㅇ 스웨덴은 우리나라와 상호 보완적 수출입 산업구조를 이루고 있어 교역규모 확대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ㅇ 특히, 스웨덴은 항공기, 의약품, 통신방비 등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생산품은 수출하고, 일용소비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력상품의 부품/소재, 해외조달 비중이 높은 국가이다.
ㅇ 스웨덴은 우리나라의 제 41 위 수출국이자 31 위 수입 대상 국가로 대 스웨덴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승용차, 선박, 휴대폰, 아연도강판, 타이어 등이 있으며, 대 스웨덴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열연강판, 의약품, 원동기, 화물자동차 등이 있다.
ㅇ 한국은 2007 년도 스웨덴의 주요 수출국 중 24 위로 스웨덴 수출시장 점유율 0.6%
ㅇ 또한 2007 년도 스웨덴의 주요 수입국 중 한국은 21 위로 스웨덴 수입시장 점유율 0.9%
4-3. 한국-스웨덴 무역관련 투자 통계(2008년 5월말 현재)
스웨덴의 대 한국 투자 현황
(단위: 건수, 천불)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5월말 현재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7
30,505
11
310,063
8
93,943
4
12,951
* 자료원 : 지식경제부, Invest Korea
한국의 대 스웨덴 무역 현황
(단위: 백만불)
연도
수출
수입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2005
904
23.5
977
28.1
2006
858
-5.1
988
1.2
2007
950
10.7
1,192
20.6
2008(전망치)
1,008
6.1
1,207
1.3
2008.1-4월
321
-
456
-
* 자료원 : KOTIS
대 스웨덴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불)
순위
품목명
2006년
2007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1
승용차
171
192.9
177
-2.4
2
선 박
128
26.4
151
20.0
3
무선전화기
148
-
107
-
4
아연도강판
17
49.7
49
17.3
5
타이어
34
-3.5
37
25.6
6
무선수신기
25
7.6
28
58.8
7
자동차부품
40
-
28
281.1
8
유선전송장치
6
46.6
25
4.4
* 자료원 : KOTIS 대 스웨덴 주요 수입품목
(단위: 백만불, %)
순위
품목명
2006년
2007년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1
열연강판
70
-13.7
70
-0.3
2
의약품
57
16.7
63
11.4
3
원동기(발전기)
49
32.4
54
9.3
4
화물자동차
34
102.9
48
43
5
승용차
32
-23.7
42
30.5
6
화학기계
20
57.2
39
92.9
7
기타 차량류
27
3.2
39
43.5
8
계측기
33
-22.6
37
12.1
* 자료원 : KO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