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대단원
● 대단원의 목표
● 대단원 개념분석도
● 본시학습 개념구조도
● 대단원 지도시의 유의점
● 본시학습개요
(첨부#1-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지구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4차시)
(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 대단원의 목표
● 대단원 개념분석도
● 본시학습 개념구조도
● 대단원 지도시의 유의점
● 본시학습개요
(첨부#1-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지구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4차시)
(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본문내용
하나요? 이제 두 대륙을 맞대어보세요. 어떻게 보이나요?
그리고 탐구황동 3번까지 조원끼리 힘을 모아서 해결해보세요 . 각자의 탐구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봅시다.
--------------------------
(조별로 한명씩 발표시키기)
교사의 설명을 듣고 탐구실험을 실시한다.
시범보이기
(실물화상기
이용)
4.학습지도
10
②지질구조의 연속성
지금은 떨어져 있는 양 대륙의 산맥들의 지층이 연속적으로 이어짐을 설명한다.
③ 빙하의 분포와 방향의 일치
극지방(추운지방)에 있는 빙하의 흔적이 각 대륙에 일치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찰흔 사진을 보여준다)
④화석의 분포일치
고생물인 글로솝테리스와 메조사우르스의 화석이 각 대륙에 분포하는 사실을 설명한다.(화석에 관해 질문)
(글로솝테리스 화석 사진을 보여준다.)
글로솝테리스-고생대의 식물화석
지금까지 대륙이동의 증거에 대해서 살펴보았지요? 하지만,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의 증거가 이렇게 많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
선생님이 처음에 했던 말 기억나지요?
대륙이동설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대륙이 움직이는 원동력을 베게너는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
베게너가 설명하지 못했던 대륙이동의 원동력을 홈즈라는 학자가 맨틀대류설을 통해서 설명했어요. 맨틀대류설이란 지구의 맨틀 내부에서 일어나는 대단히 느린 대류에 의하여 대륙 이동이나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는 학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 내용에 관한 학설이나 이론이 더 발전하고 있습니다.
필기를 하고
주의집중한다.
필기
(슬라이드5,6연속제시)
(▶판서①)
빙하의 흔적인 ‘찰흔’의 설명을 더한다.
찰흔:빙하가 이동하면서 암석의 표면에 만든 긁힌 자국
(▶판서②)
(▶판서③)
▶판서
맨틀대류설
슬라이드제시
6.정리
2
지금까지 대륙이동에 대해서 배워보았고, 그 증거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ppt에 슬라이드11을 띄운다. 판서를 손으로 가리키면서 정리한다)
그리고 탐구활동지의 마지막 부분에 탐구활동[5]는 집에서 숙제로 해서 내일 아침까지 반장이 걷어 오도록 해요.
지금까지 모두들 수고했습니다.
과제내용를 숙지한다.
탐구활동[5]는 과제로 다음시간에 과제로 제
출.
형
성
평
가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그림과 같은 현상이 일어 날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① 맨틀의 대류
② 지구의 자전
③ 계절의 변화
④ 빈번한 화산과 지진
⑤ 지구와 운석과의 충돌
답:1
2. 다음 중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에 대해서 옳지 않은 발표를
하는 학생을 고르시오.
① 석렬 : 남아메리카대륙 동해안과 아프리카대륙 서해안이 일치하잖아!
② 성환 : 멀리 떨어진 대륙사이의 지층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도 맞아!.
③ 은영 : 빙하의 흔적과 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④ 병걸 : 식물화석인 글로솝테리스화석의 분포가 일치하고 있어!
⑤ 송희 : 지진파의 전파 모양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답:5
판
서
계
획
6.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6-8. 지구는 살아있다 - 대륙이동설
1) 대륙이동설이란?
약 3억 년 전 하나의 큰 대륙이었던 지구상의 대륙(판게아)이 나누어져 이동하면서 현재와 같은 분포를 이루었다는 설
2)대륙이동설의 증거
1.지형적증거-아메리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의
해안선모양의 일치
2.지질구조의 연속-멀리 떨어진 두 대륙의 산맥
3.빙하의 분포와 이동방향의 일치 - 열대지방에서의 빙하의 흔적
4.고생물의 분포일치 - 글로솝테리스 화석분포가 일치
3)대륙이동설의 원동력
맨틀대류설(홈즈)-맨틀의 대류로 대륙의 이동을 설명가능하다는 학설
학년
반
번호
이름
(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2.대륙이동과 판구조
①실험목표 : 대륙이동의 증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앞으로 일어날 대륙이동상상화를 그릴 수 있다.
②실험준비물 : 가위, 풀, 기름종이, 지구본, 필기도구
[탐구1]
가.실험순서
1) 지구본 위에 얇은 종이를 올려놓고 연필로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모양을 그린다.
2) 두 대륙의 모양을 가위로 오려내어 서로 맞추어 보자.
나.실험결과
① 두 대륙의 해안선이 잘 들어맞습니까?
② 잘 들어맞는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각자의 생각을 적어 봅시다.
[탐구2]
북아메리카 대륙의 고대 애팔래치아 산맥은 스코틀랜드의 칼레도니아 산맥에서 보여지는 지질 구조가 연속적이다. 이 사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과거 두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을 때 연결되어 있던 산맥이 대륙이 분리되면서 서로 떨어져 나온 것이다.
[탐구3]
오늘 날 서로 떨어져 있는 대륙에 빙하의 흔적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빙하가 생기기 어려운 지역에서 고생대 무렵의 빙하의 흔적이 남아 있다.
①빙하가 만들어지는 지방의 기후는 어떻습니까?
②왼쪽그림에서 빙하의 흔적은 주로 어디에서 나타납니까?
③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겠는가?
각 대륙이 남극 부근에 서로 붙어 있었다고 가정하면 빙하의 분포 및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4]
서로 떨어진 대륙의 해안선 모양을 보고 비슷한 것끼리 찾아 붙여봅시다. 이를 통해 과거 대륙이 한덩어리 였음을 이해하도록 해요.
(1) 현재 분포하고 있는 대륙의 윤곽을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두꺼운 종이를 덧대어 붙인 후 가위로 오려내자.
(2) 각 대륙에서 발견되는 글리솝테리스와 메조사우르스화석의 분포 지역을 참고하여 빈틈이 최소가 되도록 대륙을 서로 맞추어 보자.
1) 대륙이 서로 잘 들어맞는가? 잘 들어맞는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 과거에 각 대륙들이 한 덩어리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2) 대륙을 서로 맞추었을 때 글리솝테리스 화석과 메조사우르스 화석의 분포 지역은 서로 연결되는가? 연결된다면 현재 두 화석이 각 대륙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는 사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화석의 분포 지역은 서로 연결된다. 이것은 과거 이들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글리솝테리스의 경우 양치 식물의 일종으로 현재 다양한 기후대의 대륙에 퍼져 있는 것으로 볼 때 과거에 이들 대륙이 하나로 모여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탐구황동 3번까지 조원끼리 힘을 모아서 해결해보세요 . 각자의 탐구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봅시다.
--------------------------
(조별로 한명씩 발표시키기)
교사의 설명을 듣고 탐구실험을 실시한다.
시범보이기
(실물화상기
이용)
4.학습지도
10
②지질구조의 연속성
지금은 떨어져 있는 양 대륙의 산맥들의 지층이 연속적으로 이어짐을 설명한다.
③ 빙하의 분포와 방향의 일치
극지방(추운지방)에 있는 빙하의 흔적이 각 대륙에 일치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찰흔 사진을 보여준다)
④화석의 분포일치
고생물인 글로솝테리스와 메조사우르스의 화석이 각 대륙에 분포하는 사실을 설명한다.(화석에 관해 질문)
(글로솝테리스 화석 사진을 보여준다.)
글로솝테리스-고생대의 식물화석
지금까지 대륙이동의 증거에 대해서 살펴보았지요? 하지만,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의 증거가 이렇게 많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
선생님이 처음에 했던 말 기억나지요?
대륙이동설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대륙이 움직이는 원동력을 베게너는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
베게너가 설명하지 못했던 대륙이동의 원동력을 홈즈라는 학자가 맨틀대류설을 통해서 설명했어요. 맨틀대류설이란 지구의 맨틀 내부에서 일어나는 대단히 느린 대류에 의하여 대륙 이동이나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는 학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 내용에 관한 학설이나 이론이 더 발전하고 있습니다.
필기를 하고
주의집중한다.
필기
(슬라이드5,6연속제시)
(▶판서①)
빙하의 흔적인 ‘찰흔’의 설명을 더한다.
찰흔:빙하가 이동하면서 암석의 표면에 만든 긁힌 자국
(▶판서②)
(▶판서③)
▶판서
맨틀대류설
슬라이드제시
6.정리
2
지금까지 대륙이동에 대해서 배워보았고, 그 증거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ppt에 슬라이드11을 띄운다. 판서를 손으로 가리키면서 정리한다)
그리고 탐구활동지의 마지막 부분에 탐구활동[5]는 집에서 숙제로 해서 내일 아침까지 반장이 걷어 오도록 해요.
지금까지 모두들 수고했습니다.
과제내용를 숙지한다.
탐구활동[5]는 과제로 다음시간에 과제로 제
출.
형
성
평
가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그림과 같은 현상이 일어 날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① 맨틀의 대류
② 지구의 자전
③ 계절의 변화
④ 빈번한 화산과 지진
⑤ 지구와 운석과의 충돌
답:1
2. 다음 중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에 대해서 옳지 않은 발표를
하는 학생을 고르시오.
① 석렬 : 남아메리카대륙 동해안과 아프리카대륙 서해안이 일치하잖아!
② 성환 : 멀리 떨어진 대륙사이의 지층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도 맞아!.
③ 은영 : 빙하의 흔적과 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④ 병걸 : 식물화석인 글로솝테리스화석의 분포가 일치하고 있어!
⑤ 송희 : 지진파의 전파 모양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답:5
판
서
계
획
6.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6-8. 지구는 살아있다 - 대륙이동설
1) 대륙이동설이란?
약 3억 년 전 하나의 큰 대륙이었던 지구상의 대륙(판게아)이 나누어져 이동하면서 현재와 같은 분포를 이루었다는 설
2)대륙이동설의 증거
1.지형적증거-아메리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의
해안선모양의 일치
2.지질구조의 연속-멀리 떨어진 두 대륙의 산맥
3.빙하의 분포와 이동방향의 일치 - 열대지방에서의 빙하의 흔적
4.고생물의 분포일치 - 글로솝테리스 화석분포가 일치
3)대륙이동설의 원동력
맨틀대류설(홈즈)-맨틀의 대류로 대륙의 이동을 설명가능하다는 학설
학년
반
번호
이름
(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2.대륙이동과 판구조
①실험목표 : 대륙이동의 증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앞으로 일어날 대륙이동상상화를 그릴 수 있다.
②실험준비물 : 가위, 풀, 기름종이, 지구본, 필기도구
[탐구1]
가.실험순서
1) 지구본 위에 얇은 종이를 올려놓고 연필로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모양을 그린다.
2) 두 대륙의 모양을 가위로 오려내어 서로 맞추어 보자.
나.실험결과
① 두 대륙의 해안선이 잘 들어맞습니까?
② 잘 들어맞는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각자의 생각을 적어 봅시다.
[탐구2]
북아메리카 대륙의 고대 애팔래치아 산맥은 스코틀랜드의 칼레도니아 산맥에서 보여지는 지질 구조가 연속적이다. 이 사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과거 두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을 때 연결되어 있던 산맥이 대륙이 분리되면서 서로 떨어져 나온 것이다.
[탐구3]
오늘 날 서로 떨어져 있는 대륙에 빙하의 흔적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빙하가 생기기 어려운 지역에서 고생대 무렵의 빙하의 흔적이 남아 있다.
①빙하가 만들어지는 지방의 기후는 어떻습니까?
②왼쪽그림에서 빙하의 흔적은 주로 어디에서 나타납니까?
③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겠는가?
각 대륙이 남극 부근에 서로 붙어 있었다고 가정하면 빙하의 분포 및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4]
서로 떨어진 대륙의 해안선 모양을 보고 비슷한 것끼리 찾아 붙여봅시다. 이를 통해 과거 대륙이 한덩어리 였음을 이해하도록 해요.
(1) 현재 분포하고 있는 대륙의 윤곽을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두꺼운 종이를 덧대어 붙인 후 가위로 오려내자.
(2) 각 대륙에서 발견되는 글리솝테리스와 메조사우르스화석의 분포 지역을 참고하여 빈틈이 최소가 되도록 대륙을 서로 맞추어 보자.
1) 대륙이 서로 잘 들어맞는가? 잘 들어맞는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 과거에 각 대륙들이 한 덩어리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2) 대륙을 서로 맞추었을 때 글리솝테리스 화석과 메조사우르스 화석의 분포 지역은 서로 연결되는가? 연결된다면 현재 두 화석이 각 대륙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는 사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화석의 분포 지역은 서로 연결된다. 이것은 과거 이들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글리솝테리스의 경우 양치 식물의 일종으로 현재 다양한 기후대의 대륙에 퍼져 있는 것으로 볼 때 과거에 이들 대륙이 하나로 모여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ICT 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중등과학
자기주도적학습 개념, 자기주도적학습 조건, 자기주도적학습 특징, 자기주도적학습 원리, 과...
수학과와 국어과 자기주도적학습자료(수업자료), 사회과와 과학과 자기주도적학습자료(수업자...
수학과 성취도평가, 영어과 멀티미디어 지도자료(교수자료), 국어과 독서교육, 과학과 수준별...
국어과와 영어과 웹기반교육 수업자료(교수자료), 과학과 웹기반교육 수업자료(교수자료), 컴...
수학과교육(수학과교육과정)의 변천과정, 과학과교육(과학과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미술과교...
[학교환경교육]학교환경교육의 정의, 학교환경교육의 과정, 학교환경교육의 역할, 학교환경교...
국어과와 수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사회과와 과학과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방침과 운영방침,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대상...
[교육행정A+]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제 현장의 적용과 변화 -미래산업 과학고등학교를 ...
수준별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STS(과학기술사회)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
[교육학] 중1 <(지구과학)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지도안> Ⅲ.지각의 물질 - 1.광물과 암석 / ...
<도덕 교수학습지도안> 중2 단원 : Ⅳ. 문화와 도덕 / 주제 : 과학 기술과 현대인의 삶
(현장실습A+)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알고보면 재미있는 신기한 과학세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