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지구과학)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지도안> 6.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6-8. 지구는 살아있다 - 대륙이동설 (대륙이동설 학습지도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2 <(지구과학)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지도안> 6.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6-8. 지구는 살아있다 - 대륙이동설 (대륙이동설 학습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대단원
● 대단원의 목표
● 대단원 개념분석도
● 본시학습 개념구조도
● 대단원 지도시의 유의점
● 본시학습개요

(첨부#1-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지구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4차시)

(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본문내용

하나요? 이제 두 대륙을 맞대어보세요. 어떻게 보이나요?
그리고 탐구황동 3번까지 조원끼리 힘을 모아서 해결해보세요 . 각자의 탐구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봅시다.
--------------------------
(조별로 한명씩 발표시키기)
교사의 설명을 듣고 탐구실험을 실시한다.
시범보이기
(실물화상기
이용)
4.학습지도
10
②지질구조의 연속성
지금은 떨어져 있는 양 대륙의 산맥들의 지층이 연속적으로 이어짐을 설명한다.
③ 빙하의 분포와 방향의 일치
극지방(추운지방)에 있는 빙하의 흔적이 각 대륙에 일치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찰흔 사진을 보여준다)
④화석의 분포일치
고생물인 글로솝테리스와 메조사우르스의 화석이 각 대륙에 분포하는 사실을 설명한다.(화석에 관해 질문)
(글로솝테리스 화석 사진을 보여준다.)
글로솝테리스-고생대의 식물화석
지금까지 대륙이동의 증거에 대해서 살펴보았지요? 하지만,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의 증거가 이렇게 많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
선생님이 처음에 했던 말 기억나지요?
대륙이동설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대륙이 움직이는 원동력을 베게너는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
베게너가 설명하지 못했던 대륙이동의 원동력을 홈즈라는 학자가 맨틀대류설을 통해서 설명했어요. 맨틀대류설이란 지구의 맨틀 내부에서 일어나는 대단히 느린 대류에 의하여 대륙 이동이나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는 학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 내용에 관한 학설이나 이론이 더 발전하고 있습니다.
필기를 하고
주의집중한다.
필기
(슬라이드5,6연속제시)
(▶판서①)
빙하의 흔적인 ‘찰흔’의 설명을 더한다.
찰흔:빙하가 이동하면서 암석의 표면에 만든 긁힌 자국
(▶판서②)
(▶판서③)
▶판서
맨틀대류설
슬라이드제시
6.정리
2
지금까지 대륙이동에 대해서 배워보았고, 그 증거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
(ppt에 슬라이드11을 띄운다. 판서를 손으로 가리키면서 정리한다)
그리고 탐구활동지의 마지막 부분에 탐구활동[5]는 집에서 숙제로 해서 내일 아침까지 반장이 걷어 오도록 해요.
지금까지 모두들 수고했습니다.
과제내용를 숙지한다.
탐구활동[5]는 과제로 다음시간에 과제로 제
출.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그림과 같은 현상이 일어 날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① 맨틀의 대류
② 지구의 자전
③ 계절의 변화
④ 빈번한 화산과 지진
⑤ 지구와 운석과의 충돌
답:1
2. 다음 중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에 대해서 옳지 않은 발표를
하는 학생을 고르시오.
① 석렬 : 남아메리카대륙 동해안과 아프리카대륙 서해안이 일치하잖아!
② 성환 : 멀리 떨어진 대륙사이의 지층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도 맞아!.
③ 은영 : 빙하의 흔적과 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④ 병걸 : 식물화석인 글로솝테리스화석의 분포가 일치하고 있어!
⑤ 송희 : 지진파의 전파 모양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답:5




6.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6-8. 지구는 살아있다 - 대륙이동설
1) 대륙이동설이란?
약 3억 년 전 하나의 큰 대륙이었던 지구상의 대륙(판게아)이 나누어져 이동하면서 현재와 같은 분포를 이루었다는 설
2)대륙이동설의 증거
1.지형적증거-아메리카 동해안과 아프리카 서해안의
해안선모양의 일치
2.지질구조의 연속-멀리 떨어진 두 대륙의 산맥
3.빙하의 분포와 이동방향의 일치 - 열대지방에서의 빙하의 흔적
4.고생물의 분포일치 - 글로솝테리스 화석분포가 일치
3)대륙이동설의 원동력
맨틀대류설(홈즈)-맨틀의 대류로 대륙의 이동을 설명가능하다는 학설
학년

번호
이름
(지구과학과 탐구활동 학생자료) 2.대륙이동과 판구조
①실험목표 : 대륙이동의 증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앞으로 일어날 대륙이동상상화를 그릴 수 있다.
②실험준비물 : 가위, 풀, 기름종이, 지구본, 필기도구
[탐구1]
가.실험순서
1) 지구본 위에 얇은 종이를 올려놓고 연필로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모양을 그린다.
2) 두 대륙의 모양을 가위로 오려내어 서로 맞추어 보자.
나.실험결과
① 두 대륙의 해안선이 잘 들어맞습니까?
② 잘 들어맞는다면, 그 까닭이 무엇인지 각자의 생각을 적어 봅시다.
[탐구2]
북아메리카 대륙의 고대 애팔래치아 산맥은 스코틀랜드의 칼레도니아 산맥에서 보여지는 지질 구조가 연속적이다. 이 사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과거 두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을 때 연결되어 있던 산맥이 대륙이 분리되면서 서로 떨어져 나온 것이다.
[탐구3]
오늘 날 서로 떨어져 있는 대륙에 빙하의 흔적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빙하가 생기기 어려운 지역에서 고생대 무렵의 빙하의 흔적이 남아 있다.
①빙하가 만들어지는 지방의 기후는 어떻습니까?
②왼쪽그림에서 빙하의 흔적은 주로 어디에서 나타납니까?
③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겠는가?
각 대륙이 남극 부근에 서로 붙어 있었다고 가정하면 빙하의 분포 및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4]
서로 떨어진 대륙의 해안선 모양을 보고 비슷한 것끼리 찾아 붙여봅시다. 이를 통해 과거 대륙이 한덩어리 였음을 이해하도록 해요.
(1) 현재 분포하고 있는 대륙의 윤곽을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두꺼운 종이를 덧대어 붙인 후 가위로 오려내자.
(2) 각 대륙에서 발견되는 글리솝테리스와 메조사우르스화석의 분포 지역을 참고하여 빈틈이 최소가 되도록 대륙을 서로 맞추어 보자.
1) 대륙이 서로 잘 들어맞는가? 잘 들어맞는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 과거에 각 대륙들이 한 덩어리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2) 대륙을 서로 맞추었을 때 글리솝테리스 화석과 메조사우르스 화석의 분포 지역은 서로 연결되는가? 연결된다면 현재 두 화석이 각 대륙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는 사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화석의 분포 지역은 서로 연결된다. 이것은 과거 이들 대륙이 서로 붙어 있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특히, 글리솝테리스의 경우 양치 식물의 일종으로 현재 다양한 기후대의 대륙에 퍼져 있는 것으로 볼 때 과거에 이들 대륙이 하나로 모여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11.0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