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 현장연구의 과제와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교육 현장연구의 과제와 방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2
8
6
1
4
38

1
1
1
1
2
2
2
3








12(42.9)




16(57.1)


6(28.6)





8(38.1)





7(33.3)

3(25.0)
4(33.4)
2(16.7)



1(8.3)
1(8.3)





1(8.3)

3
10
2



1
9
12




24


50(100)
13(100)
9(100)
72
28(100)
21(100)
12(100)
61(100)
- 연구자는 연구 주제의 성격과 방법, 내용에 알맞은 연구 대상을 선정하여 연구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이론적 배경
♣ 이론적 배경이란?
: 연구를 추진해가는 데 있어서 연구의 논리적 객관적 기저가 되는 이론.
(1) 문헌 연구
- 문헌 연구의 목적
: 해당 분야의 연구 현황 파악
: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 탐색
: 연구의 이론적 기초와 가설 설정의 근거를 찾는데 있다.
- 1981년, 「개념 학습을 통한 역사의식의 신장」의 이론적 배경
① 역사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② 역사 서술의 기준
③ 역사교육의 심리적 기초
④ 역사교육의 목적
⑤ 국사과 교육 목표
⑥ 국사교육의 기본 태도
⑦ 역사의식의 문제
⑧ 구조론과 개념학습
⑨ 중심 개념의 기능
⑩ 개념 학습의 방법
→ 이 중 개념 학습과 관련 있는 것은 ⑧⑨⑩, 역사의식과 관련 있는 것은 ⑦
그러나 이것마저도 추상적이어서 이론적 근거가 되지 못하고, 여타의 항목들은 주제
해결의 직접적인 바탕이 되지 않는다.
(2) 선행 연구
- 주제 해결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지금까지 연구된 연구물을 수집하여 분석.
- ① 연구 문제와 가설은 명확히 설정되었는가?
② 연구 방법은 문제 해결에 적절한가?
③ 검증 도구 및 수집 자료는 타당하고 신뢰로운가?
④ 검증에 알맞은 통계적 방법을 채택하였는가?
⑤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⑥ 이 연구의 결과와 다른 연구에서 얻은 결과나 기존의 이론과 불일치되는 점은
없는가?
⑦ 연구의 결론은 타당성이 있는가?
→ 비판적 사고를 하며 파악하고, 자기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 있는 것을 정리하여 구체적으로 서술.
《 참고 문헌 》
김한식 외, 『역사교육 자료집』, 신서원, 1999.
송춘영,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1999.
양호환, 『역사 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10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