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선택하였으며 과거 5년간의 월별 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신용평가 정보사이트인 Kisvalue(http://www.kisvalue.com)를 통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베타 값을 구할 수 있었다.
그림 1-1. 개별주식의 베타값
그림 1-2. 60개 기업 주식의 베타값
두 번째 단계 : 횡단열 회귀분석 단계
앞서 구한 개별 주식의 베타값을 독립 변수로 하고 해당 주식의 평균 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여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단, 여기서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베타 추정치를 계산했으므로 기대수익률 E[m] 대신에 평균수익률 m을 이용하기로 한다.
통계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X축(독립변수)를 앞서 구한 개별 주식들의 베타 값으로 설정하고 Y축(종속변수)를 종목별 평균 수익률로 설정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2-2. SPSS 회귀분석 결과 - 분산분석표
그림 2-3. SPSS 회귀분석 결과 - 계수
분산분석표(ANOVA)와 계수표(Coefficient)를 통해 t값이 3.156으로 1.96(신뢰수준95%) 보다 크고 유의확률이 0.003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분석 결과 얻은 회귀식이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위험프리미엄(베타값)은 1.054로 t의 절대값이 3.156으로 유의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회귀식이 도출된다.
CAPM에서 기업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오직 베타값(그 주식의 체계적인 위험)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0와 f가 유의한 차이가 없고, 1과 ‘m-f ’가 유의한 차이가 없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베타값이다.
우리의 실증분석결과 양(+)의 값의 베타를 도출하여 양의 기울기를 가지는 증권시장선(SML)과 유사한 모양의 그래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체계적 위험(베타)과 수익률 간에 양의 선형관계가 성립한다는 CAPM이론의 설명력을 검증하는 유의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로 인하여 본 실증 분석의 결과의 신뢰도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 검증에 채택된 표본 주식의 수가 60개로 한정되어 있으며 검증 기간 역시 60개월로 비교적 단기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둘째로 이론적으로 시장수익률은 모든 주식 뿐 아니라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위험자산으로부터 산출되어야 하나 본 분석에서는 이에 대한 대용치로 종합주가지수(KOSPI)를 사용하였다.
한국신용평가 정보사이트인 Kisvalue(http://www.kisvalue.com)를 통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베타 값을 구할 수 있었다.
그림 1-1. 개별주식의 베타값
그림 1-2. 60개 기업 주식의 베타값
두 번째 단계 : 횡단열 회귀분석 단계
앞서 구한 개별 주식의 베타값을 독립 변수로 하고 해당 주식의 평균 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여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단, 여기서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베타 추정치를 계산했으므로 기대수익률 E[m] 대신에 평균수익률 m을 이용하기로 한다.
통계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X축(독립변수)를 앞서 구한 개별 주식들의 베타 값으로 설정하고 Y축(종속변수)를 종목별 평균 수익률로 설정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2-2. SPSS 회귀분석 결과 - 분산분석표
그림 2-3. SPSS 회귀분석 결과 - 계수
분산분석표(ANOVA)와 계수표(Coefficient)를 통해 t값이 3.156으로 1.96(신뢰수준95%) 보다 크고 유의확률이 0.003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분석 결과 얻은 회귀식이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위험프리미엄(베타값)은 1.054로 t의 절대값이 3.156으로 유의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회귀식이 도출된다.
CAPM에서 기업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오직 베타값(그 주식의 체계적인 위험)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0와 f가 유의한 차이가 없고, 1과 ‘m-f ’가 유의한 차이가 없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베타값이다.
우리의 실증분석결과 양(+)의 값의 베타를 도출하여 양의 기울기를 가지는 증권시장선(SML)과 유사한 모양의 그래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체계적 위험(베타)과 수익률 간에 양의 선형관계가 성립한다는 CAPM이론의 설명력을 검증하는 유의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로 인하여 본 실증 분석의 결과의 신뢰도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 검증에 채택된 표본 주식의 수가 60개로 한정되어 있으며 검증 기간 역시 60개월로 비교적 단기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둘째로 이론적으로 시장수익률은 모든 주식 뿐 아니라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위험자산으로부터 산출되어야 하나 본 분석에서는 이에 대한 대용치로 종합주가지수(KOSPI)를 사용하였다.
추천자료
소비자 구매 의사 결정 과정 -소비자의 의의,권리, 해동모형, 구매 유형 결정요인, 의사결정
GI(집단탐구모형)협동학습 의미, GI(집단탐구모형)협동학습 특징, GI(집단탐구모형)협동학습 ...
GI(집단탐구)협동학습모형의 개념과 특징, GI(집단탐구)협동학습모형의 의의, GI(집단탐구)협...
[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의 정의, 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의 이론적 ...
STS학습모형(과학기술사회,수업)의 개념과 단계, STS학습모형(과학기술사회,수업)의 지도방법...
[사회복지행정론] 의사결정 - 의사결정의 개념 및 방법, 의사결정의 모형, 의사결정의 기술
사회복지정책론 -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이론모형의 유형, 정책결정 모형에 대한 인식, 정책...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 정책결정의 개념과 특성, 정책결정의 과정, 정책결...
의사결정의 모형_합리성 모형, 제한적 합리성모형, 정치성 모형
[★★평가우수자료★★][앨리슨 Allison의 관료정치모형, 정책분석] Allison의 관료정치모형을 통...
서비스 품질,서비스품질측정모형,서비스품질 평가모형 개발,연구모형의 설계,연구모형의 결정...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 최적모형 엘리트모형 쓰레기통모형 등의 주요개념을 설...
정책결정의 개념과 정책결정의 모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이 어떠한 모형에 해당...
정책결정의 개념과 정책결정의 모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이 어떠한 모형에 해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