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이를 적출 한 후, 마지막으로 sternum을 열고 심장의 바로 위에 존재하는 Thymus를 적출하였다. 다 적출후에 페트리 접시같은 곳에 물을 넣은 뒤 적출한 것을 넣어보니 LN과 fat이 구분되었다.
MTT 결과는 ConA가 높을수록 그리고 초기의 cell수가 많을수록 증식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육안으로도 보라색이 더 짙게 나타나야하고 570nm 파장 빛의 흡광도도 더 크게 나타나야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우리조의 실험 데이터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 방에서 실험이 가장 잘된 다른 조의 결과를 보면 정확하게 예상한대로 초기 cell 수가 많을수록 ConA의 농도가 클수록 육안으로도 더 짙은 보라색을 나타내었고, 흡광도의 경우에도 더 크게 나타났다. 표에서 media만 넣어 cell 증식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control의 데이터를 보게 되면 평균 0.097가 나왔다. cell 수가 적은 경우에는 이 control의 흡광도보다도 작은 데이터가 몇 개밖에 관찰되지 않는다. 왜 control보다 더 작은 흡광도가 나타난 것일까? 그 이유는 아마도 control의 media에 비해 죽은 splenocyte가 부유물로 작용하여 그 농도를 희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종합해보면 MTT 결과의 오차는 우선 spleen 적출시 공기 중에 노출되어 splenocyte가 오염되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클린벤치의 문을 너무 크게 열어놓아 밖의 오염된 공기가 안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실험 도중에도 파이펫을 사용하는 등의 과정에서 contamination이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contamination으로 인해 splenocyte가 죽게되어 ConA를 통한 정상적인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다른 요인으로는 MTT assay 시에 배지를 먼저 제거하는 과정이 있었는데 이때 cell이 같이 제거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요인이라면 전체 well에서 전혀 증식이 일어나지 않은 control의 흡광도보다 낮게 나오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아마도 contamination에 의해 splenocyte가 죽은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된다.
Ⅵ. Reference.
1. Abul K. Abba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ed., 2011, Elsevier.
2. Wikipedia
MTT 결과는 ConA가 높을수록 그리고 초기의 cell수가 많을수록 증식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육안으로도 보라색이 더 짙게 나타나야하고 570nm 파장 빛의 흡광도도 더 크게 나타나야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우리조의 실험 데이터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 방에서 실험이 가장 잘된 다른 조의 결과를 보면 정확하게 예상한대로 초기 cell 수가 많을수록 ConA의 농도가 클수록 육안으로도 더 짙은 보라색을 나타내었고, 흡광도의 경우에도 더 크게 나타났다. 표에서 media만 넣어 cell 증식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control의 데이터를 보게 되면 평균 0.097가 나왔다. cell 수가 적은 경우에는 이 control의 흡광도보다도 작은 데이터가 몇 개밖에 관찰되지 않는다. 왜 control보다 더 작은 흡광도가 나타난 것일까? 그 이유는 아마도 control의 media에 비해 죽은 splenocyte가 부유물로 작용하여 그 농도를 희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종합해보면 MTT 결과의 오차는 우선 spleen 적출시 공기 중에 노출되어 splenocyte가 오염되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클린벤치의 문을 너무 크게 열어놓아 밖의 오염된 공기가 안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실험 도중에도 파이펫을 사용하는 등의 과정에서 contamination이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contamination으로 인해 splenocyte가 죽게되어 ConA를 통한 정상적인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다른 요인으로는 MTT assay 시에 배지를 먼저 제거하는 과정이 있었는데 이때 cell이 같이 제거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요인이라면 전체 well에서 전혀 증식이 일어나지 않은 control의 흡광도보다 낮게 나오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아마도 contamination에 의해 splenocyte가 죽은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 생각된다.
Ⅵ. Reference.
1. Abul K. Abba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7/ed., 2011, Elsevier.
2. Wikipedi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