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개
1. 기업소개
2. 선정배경
3. 서비스 소개
Ⅱ. 성공요인
1.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
2. 우수한 통신망
3. 높은 국내 교육열 및 학구열
4. 전문적인 분야에 대해서만 서비스 제공
5.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
Ⅲ. 한계 및 문제점
1. 수익모델 부재
2. 답변수준에 대한 보장이 어려움
3. 상대적으로 부족한 바풀러
4. 무분별한 광고글 등록 우려
Ⅳ. 해결책
1. 미흡한 수익모델에 대한 해결방안
2. 답변에 대한 보장방안
3. 바풀러 유인요인 개발
4. 광고 등 불법 게시물 차단 방안
Ⅴ. 마무리
Ⅶ. 참 조
1. 기업소개
2. 선정배경
3. 서비스 소개
Ⅱ. 성공요인
1.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
2. 우수한 통신망
3. 높은 국내 교육열 및 학구열
4. 전문적인 분야에 대해서만 서비스 제공
5.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
Ⅲ. 한계 및 문제점
1. 수익모델 부재
2. 답변수준에 대한 보장이 어려움
3. 상대적으로 부족한 바풀러
4. 무분별한 광고글 등록 우려
Ⅳ. 해결책
1. 미흡한 수익모델에 대한 해결방안
2. 답변에 대한 보장방안
3. 바풀러 유인요인 개발
4. 광고 등 불법 게시물 차단 방안
Ⅴ. 마무리
Ⅶ. 참 조
본문내용
년별/내용별 카테고리에 분류되어 등록되게 되는데, 이를 활용하여 각 라이선스 마다 답변할 수 있는 상한선을 만들어서 답변자의 능력에 맞게 답변할 수 있는 상황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바풀러 등록을 신청하게 되면 5개의 문제를 통해 실력을 테스트 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최초 등급이 부여된다.
이후 일주일마다 치러지는 승급시험과 라이선스 유지시험 등을 통하여 자신의 등급을 높이거나 유지하며 답변을 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하여, 답변자들의 수준을 보장하는 것과 동시에 답변자들이 더 높은 수준의 답변을 하기 위해 등급을 올리는 등 몰입의 요소가 생기기 때문에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할 것이다.
- 신고제도 강화
라이선스 제도와 동시에 신고제도 또한 운영하게 되는데, 이도 우리가 흔히 쓰는 삼진아웃제도와 동일하게 라이선스의 등급과 무관하게 비속어/무성의한 답변/광고글 등을 개제했을 때 신고를 당하게 되고 이 신고가 3번 이상 받아들여지게 되면 라이선스를 박탈시키는 제도이다.
3. 바풀러 유인요인 개발
- 현금화 포인트제도
누군가를 유인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보상’ 일 것이다. 그 보상이 크든, 작든 많은 사람들은 ‘보상’이 있다는 것 자체에 심리적인 만족을 느끼게 되기에 포인트를 현금화하여 쓸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바풀러를 유인한다.
이 포인트는 앞서 설명한 라이선스 등급제와 연관이 있는데, 자신의 라이선스 등급이 높을수록 더 높은 수준의 답변을 달게 되고 높은 수준의 답변은 당연히 낮은 수준의 답변보다 많은 포인트를 얻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두 제도의 연계는 서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순위제도
이러한 포인트는 단순히 현금화에만 쓰는 것이 아니라 소셜게임과 같이 지인과 경쟁을 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서 단순히 답변을 달고 포인트를 모아서 현금을 보상받는 것이 아니라 포인트 자체를 모으는 재미를 줌으로 더 깊은 몰입과 참여를 유발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보다시피 순위가 등장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경쟁적으로 행동을 하게 된다. 특히, 이후 본인인증에서 나올 카카오톡 인증 시스템과 연계하여 친구목록을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광고 등 불법 게시물 차단 방안
- 본인인증
불법게시물에 대해 약점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서비스 형태는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도 하지만 그것이 다시 약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바로 본인인증이다. 하지만, 주민등록번호 수집이 금지되고, 수많은 인터넷 서비스들이 개인정보 수집을 지양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에 역행하는 것은 방법이 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인증에 대한 거부감과 불편함을 최소화 하면서도, 일정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인 카카오톡 인증방식을 활용한다.
위처럼 카카오톡 가입을 위해선 개인의 전화번호 인증이 필요하다. 즉, 전화번호가 없고서는 카카오톡을 활용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카카오톡 인증제를 실시하게 되면 최소한 무한정 아이디를 만들어서 광고글을 게시하는 악성유저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Ⅴ. 마무리
어렸을 때, 컴퓨터를 켜고 공부를 한다는 이야기는 꽤나 꿈만 같은 이야기였다. 모니터에 선생님이 있고 나는 집에서 컴퓨터를 쳐다보며 공부를 하는 모습은 모든 아이들이 꿈꾸던 모습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고등학생이 되자 그러한 모습은 너무도 흔하게 볼 수 있는 광경이 되었다. 인터넷에는 유명강사들이 나타나 학원을 만들고 강의를 하기 시작했다.
인터넷과 디지털 환경이 공간과 시간이라는 제약을 없애버리며 언제, 어디서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환경을 우리에게 제공해준 것이다.
그리고 다시 5년가량 시간이 흘렀고, 우리는 모바일 기기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라는 과거의 수준을 뛰어넘어 ‘내가 원하는 것을’, ‘1:다수가 아닌 1:1로’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모바일기기는 단순히 제약을 없애주는 차원을 넘어 더 쉽게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우린 모바일기기에 특화된 ‘바로풀기’ 또한 이와 같은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지식만은 전달하는 과거의 e-learning을 넘어서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이 즐거워질 수 있는 진정한 Social-learning의 모습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특히, 단순히 ‘학습서비스를 제공한다.‘ 라는 생각을 넘어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언제든 지적호기심을 해결하고 지식의 전이를 만들어내는 ’즐거운 학습문화‘를 창조한다는 생각을 가진다면 더 큰 기회가 찾아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동통신 가입자 5천만 시대의 대한민국.’
모바일기기는 그들을 모두 이어줄 소통의 도구라고 생각한다. 바로풀기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모바일서비스들이 모바일기기의 기계적 활용성을 넘어 사회/문화적 활용성을 생각해본다면 ‘더욱 가치 있는 서비스들이 탄생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Ⅶ. 참 조
http://www.bapul.net - 바로풀기
www.incombine.co.kr - 아이앤컴바인
http://blog.naver.com/incombine - 아이앤컴바인 블로그
http://www.kakao.com/talk/ - 카카오톡
http://blog.naver.com/uniqlog?Redirect=Log&logNo=160912744유니클로 인터뷰
http://lte.cetizen.com/ - 사용자가 만드는 LTE대동여지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05&aid=0000018852 - 네이버 뉴스 '휴대폰 25년 변천사'
http://www.sen.go.kr/ - 서울 특별시 교육청
http://blog.naver.com/lumoslite?Redirect=Log&logNo=100173696647 - 스마트폰 산업 현황
http://tysmyasset.blog.me/130110039820 - 이동통신의 발전과 현황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5689 - 교육열풍에 대한 시사
기본적으로 바풀러 등록을 신청하게 되면 5개의 문제를 통해 실력을 테스트 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최초 등급이 부여된다.
이후 일주일마다 치러지는 승급시험과 라이선스 유지시험 등을 통하여 자신의 등급을 높이거나 유지하며 답변을 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하여, 답변자들의 수준을 보장하는 것과 동시에 답변자들이 더 높은 수준의 답변을 하기 위해 등급을 올리는 등 몰입의 요소가 생기기 때문에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할 것이다.
- 신고제도 강화
라이선스 제도와 동시에 신고제도 또한 운영하게 되는데, 이도 우리가 흔히 쓰는 삼진아웃제도와 동일하게 라이선스의 등급과 무관하게 비속어/무성의한 답변/광고글 등을 개제했을 때 신고를 당하게 되고 이 신고가 3번 이상 받아들여지게 되면 라이선스를 박탈시키는 제도이다.
3. 바풀러 유인요인 개발
- 현금화 포인트제도
누군가를 유인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보상’ 일 것이다. 그 보상이 크든, 작든 많은 사람들은 ‘보상’이 있다는 것 자체에 심리적인 만족을 느끼게 되기에 포인트를 현금화하여 쓸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바풀러를 유인한다.
이 포인트는 앞서 설명한 라이선스 등급제와 연관이 있는데, 자신의 라이선스 등급이 높을수록 더 높은 수준의 답변을 달게 되고 높은 수준의 답변은 당연히 낮은 수준의 답변보다 많은 포인트를 얻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두 제도의 연계는 서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순위제도
이러한 포인트는 단순히 현금화에만 쓰는 것이 아니라 소셜게임과 같이 지인과 경쟁을 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서 단순히 답변을 달고 포인트를 모아서 현금을 보상받는 것이 아니라 포인트 자체를 모으는 재미를 줌으로 더 깊은 몰입과 참여를 유발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보다시피 순위가 등장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경쟁적으로 행동을 하게 된다. 특히, 이후 본인인증에서 나올 카카오톡 인증 시스템과 연계하여 친구목록을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광고 등 불법 게시물 차단 방안
- 본인인증
불법게시물에 대해 약점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서비스 형태는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도 하지만 그것이 다시 약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바로 본인인증이다. 하지만, 주민등록번호 수집이 금지되고, 수많은 인터넷 서비스들이 개인정보 수집을 지양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에 역행하는 것은 방법이 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인증에 대한 거부감과 불편함을 최소화 하면서도, 일정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인 카카오톡 인증방식을 활용한다.
위처럼 카카오톡 가입을 위해선 개인의 전화번호 인증이 필요하다. 즉, 전화번호가 없고서는 카카오톡을 활용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카카오톡 인증제를 실시하게 되면 최소한 무한정 아이디를 만들어서 광고글을 게시하는 악성유저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Ⅴ. 마무리
어렸을 때, 컴퓨터를 켜고 공부를 한다는 이야기는 꽤나 꿈만 같은 이야기였다. 모니터에 선생님이 있고 나는 집에서 컴퓨터를 쳐다보며 공부를 하는 모습은 모든 아이들이 꿈꾸던 모습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고등학생이 되자 그러한 모습은 너무도 흔하게 볼 수 있는 광경이 되었다. 인터넷에는 유명강사들이 나타나 학원을 만들고 강의를 하기 시작했다.
인터넷과 디지털 환경이 공간과 시간이라는 제약을 없애버리며 언제, 어디서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환경을 우리에게 제공해준 것이다.
그리고 다시 5년가량 시간이 흘렀고, 우리는 모바일 기기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라는 과거의 수준을 뛰어넘어 ‘내가 원하는 것을’, ‘1:다수가 아닌 1:1로’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모바일기기는 단순히 제약을 없애주는 차원을 넘어 더 쉽게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우린 모바일기기에 특화된 ‘바로풀기’ 또한 이와 같은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지식만은 전달하는 과거의 e-learning을 넘어서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이 즐거워질 수 있는 진정한 Social-learning의 모습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특히, 단순히 ‘학습서비스를 제공한다.‘ 라는 생각을 넘어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언제든 지적호기심을 해결하고 지식의 전이를 만들어내는 ’즐거운 학습문화‘를 창조한다는 생각을 가진다면 더 큰 기회가 찾아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동통신 가입자 5천만 시대의 대한민국.’
모바일기기는 그들을 모두 이어줄 소통의 도구라고 생각한다. 바로풀기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모바일서비스들이 모바일기기의 기계적 활용성을 넘어 사회/문화적 활용성을 생각해본다면 ‘더욱 가치 있는 서비스들이 탄생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Ⅶ. 참 조
http://www.bapul.net - 바로풀기
www.incombine.co.kr - 아이앤컴바인
http://blog.naver.com/incombine - 아이앤컴바인 블로그
http://www.kakao.com/talk/ - 카카오톡
http://blog.naver.com/uniqlog?Redirect=Log&logNo=160912744유니클로 인터뷰
http://lte.cetizen.com/ - 사용자가 만드는 LTE대동여지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05&aid=0000018852 - 네이버 뉴스 '휴대폰 25년 변천사'
http://www.sen.go.kr/ - 서울 특별시 교육청
http://blog.naver.com/lumoslite?Redirect=Log&logNo=100173696647 - 스마트폰 산업 현황
http://tysmyasset.blog.me/130110039820 - 이동통신의 발전과 현황
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5689 - 교육열풍에 대한 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