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이 단층이라는 점과 옥개석의 층급받침이 4단인 점으로 미루어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탑 앞에 놓인 석등 또한 이와 비슷한 시대의 양식을 띠고 있다. 몇 년 전 석탑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불상들이 출토되었다. 이 불상들은 현재 유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보물 제467호로 지정돼 있다.
삼층석탑과 석등
기단은 2단으로 된 여섯 매의 지대석 위에 다섯 매의 면석을 세우고 그 위에 다시 네 개의 판석으로 갑석을 짠 단층기단이다. 면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하나씩 있어 각 면을 구분하고 있다. 탑신부는 몸체 부분인 옥신과 지붕돌인 옥개석이 각각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고 1층 옥신이 비교적 크다는 느낌을 준다. 옥신에는 다소 넓어 보이게 우주가 모각되어 있고 조식을 하지 않았으며, 옥개석은 얇은 편으로 하단에 4단의 층급받침을 마련했다. 각 층 옥개석 모서리에는 풍탁구를 뚫어 실제로 풍탁을 매달았다. 상륜부는 밑에서부터 노반ㆍ복발ㆍ앙화ㆍ보륜ㆍ수연 등을 차례로 올리고 그 위에 찰주를 세웠는데, 후대에 부재를 보충해 섞어 보충한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석등의 전체 높이는 2.4m로 현재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길쭉한 기둥 위로 받침돌과 화사석, 지붕돌을 차례대로 올린 일반적인 형태로 각 부재가 8각을 이루고 있다. 상부 받침돌에는 연화를 새겨 장식하였고, 화사석은 사방으로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모서리 부분의 파손이 심하고 꼭대기에는 간략한 구조의 머리장식을 올리고 있다.
가람배치도
삼층석탑과 석등
기단은 2단으로 된 여섯 매의 지대석 위에 다섯 매의 면석을 세우고 그 위에 다시 네 개의 판석으로 갑석을 짠 단층기단이다. 면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하나씩 있어 각 면을 구분하고 있다. 탑신부는 몸체 부분인 옥신과 지붕돌인 옥개석이 각각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고 1층 옥신이 비교적 크다는 느낌을 준다. 옥신에는 다소 넓어 보이게 우주가 모각되어 있고 조식을 하지 않았으며, 옥개석은 얇은 편으로 하단에 4단의 층급받침을 마련했다. 각 층 옥개석 모서리에는 풍탁구를 뚫어 실제로 풍탁을 매달았다. 상륜부는 밑에서부터 노반ㆍ복발ㆍ앙화ㆍ보륜ㆍ수연 등을 차례로 올리고 그 위에 찰주를 세웠는데, 후대에 부재를 보충해 섞어 보충한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석등의 전체 높이는 2.4m로 현재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길쭉한 기둥 위로 받침돌과 화사석, 지붕돌을 차례대로 올린 일반적인 형태로 각 부재가 8각을 이루고 있다. 상부 받침돌에는 연화를 새겨 장식하였고, 화사석은 사방으로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모서리 부분의 파손이 심하고 꼭대기에는 간략한 구조의 머리장식을 올리고 있다.
가람배치도
추천자료
한국음식문화
역사 속 문화교류와 한국문화 특징 드러내기
한국문화에 대하여
[세시풍속][계절별 세시풍속][월별 세시풍속][띠별 세시풍속][12지신][12간지 세시풍속]세시...
[문화연구입문A+] 한국문화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본 혼종성
한국전통문화 활동화를 위한 정부에서의역할
한국다문화교육 정책현황
[문화심리] 한국문화 맞춤 상담
[전통문화] 숫자라는 코드 - 한국의전통문화.ppt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다문화가정,한국사회문화변화
한국문화체험행사(한글, 태극기, 무궁화 등) 기획서
한국문화자원이해
2017년 2학기 한국문화자원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B형(문화자원 직접체험)
한국복식문화)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각 시대의 공복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