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양문학의 이해] 일본 - 가부키かぶき(歌舞伎(가무기))
-가부키음악, 가부키의 무대와 연출
『* 가부키란?
1.가부키의 음악
1)게자음악
2)관객으로부터 보이는 장소에서 연주하는 음악
2.가부키의 무대
1)마와리부타이 (回り舞台) --- 그림에서 ④
2)하나미치 (花道) --- 그림에서 ①
3)세리 (せり) --- 그림에서 ⑤⑥⑦②
3.가부키의 연출
-가부키음악, 가부키의 무대와 연출
『* 가부키란?
1.가부키의 음악
1)게자음악
2)관객으로부터 보이는 장소에서 연주하는 음악
2.가부키의 무대
1)마와리부타이 (回り舞台) --- 그림에서 ④
2)하나미치 (花道) --- 그림에서 ①
3)세리 (せり) --- 그림에서 ⑤⑥⑦②
3.가부키의 연출
본문내용
다 들어갔다 하는 것처럼 등장인물이 들락날락 한다 하여 그런 명칭이 붙었다 한다. 슷폰으로 들락날락하는 인물은 보통 사람 역할이 아니고 대체로 유령이나 요괴로 정해져 있다.
<가부키의 무대사진>
3.가부키의 연출
가부키는 무엇보다도 형태를 중요시한다. 그러니까 진행중인 무대의 어느 한 순간을 잘라서 들여다보아도, 배우의 개개의 모습으로부터 다른 배우와의 균형·위치, 또 의복·가발·소도구·무대장치 등과 어울려서 항상 한폭의 그림이 되어 있게 마련이다.
가부키의 연출에서 일관되고 있는 것은 그 양식성이다. 더욱이 대사는 리드미컬한 표현 형태를 취한 채, 소위 게자음악(下座音樂)을 수반하고, 무대 효과에 해당하는 비·바람·물소리, 또 눈 내리는 소리마저도 음악화해서 표현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가부키는 일종의 뮤지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양식적이라고 해도 그 연출 내용은 매우 복잡하다. 그 연극사(演劇史)가 보여주듯이, 민속예능, 노, 노교겐, 닝교조루리의 영향을 받아 그것이 가부키 속에서 발전해 감과 동시에, 가부키 자체에서도 시대의 움직임이라든가 배우·작가에 따라서 끊임없이 새로운 경향을 지닌 연출이 생겨나고, 또한 이것이 전개되어 갔다.
<가부키의 무대사진>
3.가부키의 연출
가부키는 무엇보다도 형태를 중요시한다. 그러니까 진행중인 무대의 어느 한 순간을 잘라서 들여다보아도, 배우의 개개의 모습으로부터 다른 배우와의 균형·위치, 또 의복·가발·소도구·무대장치 등과 어울려서 항상 한폭의 그림이 되어 있게 마련이다.
가부키의 연출에서 일관되고 있는 것은 그 양식성이다. 더욱이 대사는 리드미컬한 표현 형태를 취한 채, 소위 게자음악(下座音樂)을 수반하고, 무대 효과에 해당하는 비·바람·물소리, 또 눈 내리는 소리마저도 음악화해서 표현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가부키는 일종의 뮤지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양식적이라고 해도 그 연출 내용은 매우 복잡하다. 그 연극사(演劇史)가 보여주듯이, 민속예능, 노, 노교겐, 닝교조루리의 영향을 받아 그것이 가부키 속에서 발전해 감과 동시에, 가부키 자체에서도 시대의 움직임이라든가 배우·작가에 따라서 끊임없이 새로운 경향을 지닌 연출이 생겨나고, 또한 이것이 전개되어 갔다.
추천자료
일본중세문학속의 무상
(일본문학) 쇼트쇼트 스토리 또는 원페이지 스타일의 소설-도둑회사를 중심으로
[일본문학] 양을 둘러싼 모험
2009년 1학기 일본문학산책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A-E
2010년 1학기 일본문학산책 기말시험 핵심체크
1Q84 독후감 - 무라카미 하루키, 일본문학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J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H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D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B
[동양문학] 경극 (京劇)
일본문학작품 소설 ‘설국(雪國)’의 여자주인공 고마코의 인물상에 대한 고찰
한눈팔기줄거리와감상(일본문학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