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 및 수액준비 - 투약과 간호 (투약경로, 투약부위, 5right)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약 및 수액준비 - 투약과 간호 (투약경로, 투약부위, 5righ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투약간호
 1) 투약간호
 2) 5 Right
  - Right medicine,
  - Right dose,
  - Right time,
  - Right route,
  - Right patient

2. 투약경로
 1) 근육주사(IM) : intramuscular
 2) 정맥주사(IV) : intravenous
 3) 피내주사(ID) : intradermal
 4) 피하주사(SC) : subcutaneous
 5) 기타 경로

본문내용

다.)
<피내주사 주사부위>
- 전완의 내측면
- 상완의 측후면
- 상흉부
- 견갑골
4) 피하주사(SC): subcutaneous
<피하주사의 목적>
근육주사나 정맥주사보다 약물흡수를 느리게 하고자 하는 약물을 투여할 때.
<피하주사 주사부위>
- 상완의 외측후면
- 늑골연 아래에서 장골능까지 해당하는 복부
- 둔부의 복면, 배면
- 대퇴전면
- 견갑골
* 피하주사의 예) Insulin, heparin
** 주의 사항
1) 인슐린과 헤파린은 마사지 금기약물임.
- 인슐린은 조직의 과잉 흡수를 유발시키고,
- 헤파린은 조직 손상 또는 멍을 유발한다.
2) 주사 부위를 바꾸지 않고 같은 부위에 계속 투여 할 경우 지방세포가
커져 지방비대에 의해 딱딱해 질 수 있고, 복부의 경우 주사약의 흡수가
잘되므로 인슐린 투여에 가장 적합하다.
5) 기타 경로
(1) 동맥 내 주사
조직 장기에 국한하여 고농도의 약물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을 때 그 조직 장기로 분포되는 동맥에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 동맥 내 주사는 출혈에 대비하여 주의를 요함.
(2) 뇌척수강 내 주사
척수 마취에서와 같이 약물을 직접 뇌 척수강 내에 투여하는 방법
주로 척수 마취 때 또는 드물게 뇌막염 치료 시 약물투여를 위해 사용.
(3) 복강 내 주사
복강 내로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복막은 흡수 면적이 넓어 약물이 신속히 흡수됨.
(4) 설하 투여
약물(예: nitroglycerine) 을 혀 밑에 투여하는 방법
구강 점막으로부터 약물을 흡수함
: 구강 점막은 일반 상피세포막과 같이 지방층이므로 지방 용해성인 약물은 신속히 흡수됨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2.0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