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휴의 『유정무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영휴의 『유정무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With or Without Love
1. 연애의 기원
2. 1920년대 전후의 연애관
3. 정(情)은 Love의 개념일까

Ⅲ. 텍스트에 나타난 연애관
영호가 느끼는 감정의 혼란을 중심으로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하는 사람에게 쓰진 않듯이 영호는 여전히 순희를 설레는 마음으로 사랑하지는 않는 것 같다. 어쩌면 근대적 연애의 감정과는 무관하게, 전근대적 제도에 따라 부부라는 연으로 맺어져 ‘천륜’대로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는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영호의 갑작스런 유학행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영호는 부부관계에서의 단맛을 맛보고 싶어하는 인물인만큼(텍스트2 참조) 자신의 감정에 대해 더 공부하고 그로써 관계개선의 단초를 얻고자 했을 가능성이 크다. 1910년대의 지식인들은 국권을 침탈당한 비극적 분위기 속에서 현실을 헤쳐나갈 수 있는 길을 유학과 교육과 계몽에서 찾았다. 특히 이광수는 소설 ‘무정’을 통해 주인공의 갈등을 해결할 단 하나의 실마리로 새로운 학문을 위한 유학을 꼽았다. 윤창수, “신문 연재소설로 본 시대상”, <서울신문>, 2007. 07. 19, 38면
유학이 전통적으로 가지는 모티프가 깨달음과 자아의 성찰이라는 점에서 볼 때, 영호는 유학을 통해 ‘연애’라는 신문물을 어떻게 수용해야하는지 깨닫고자 했을 수도 있겠다.
Ⅳ. 결론
영호가 자신의 아내를 못생겼다고 생각하며 보기 싫어하는 것은 자유연애적 사고에서 배태되었다고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유를 자유연애의 기류가 생겨난 근원적 요소-여성의 지위 상승, 남녀평등사상의 발아(Ⅱ-2참조)-에서 찾기는 어렵다. 영호가 지식청년으로서 신문명적 사랑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과는 달리 순희는 지아비에게 순종하는 것을 당연한 미덕으로 삼는데, 이것을 여성 지위의 상승으로 볼 수는 없는 노릇인 까닭이다.
1910년대 초창기 근대 문인들이 ‘연애’라는 사랑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며, 감정과 욕망을 통제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았던 유교적 인간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에서 ‘인간’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지만 김지영(2007), 앞의 글, 15쪽.
여전히 사회에는 수많은 ‘순희’들이 존재했다. 그렇기에 ‘순희’와 ‘춘원’ 춘원 이광수를 예로 든 것은 그가 개화 지식인으로서 ‘연애’를 주창한 대표적인 문인이기 때문.
사이에서 고뇌하는 ‘영호’들 역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영호’의 중간자적 입장을 고려해서 일까.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영호가 자신의 아이를 안으며 끝나는 소설의 결말 역시 다소 애매한 ‘중간’의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결국 아내와 아이, 이렇게 단란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것으로 보아, 영호가 뜨거운 사랑보다는 천륜의 정을 가지고 부단히 살아가기로 마음먹었으리라 결론을 지어본다. 어떤 방향으로든, 3년 동안 고심참담하게 지아비를 기다렸을 순희와, 스스로의 깨달음을 위해 정진했을 영호를 위해서 그들 부부가 어떤 해답을 얻었기를 바랄 뿐이다.
* 참고문헌
김지영(2005), 「‘연애’의 형성과 초기 근대소설」, 『현대소설연구』제27호.
김지영(2007), 『연애라는 표상』, 소명출판.
박경(2012), 「개화 지식인들의 조혼(早婚)에 대한 인식」,『여성과 역사』제16권.
발터 리제 쉐퍼(2002), 이남복 옮김,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사상』, 백의.
서은경(2010), 「1910년대 후반 미적 감수성의 분화와 “감정”이 부상되는 과정」,『현대소설연구』제45권.
양건식 외(2004), 김복순 책임편집, 『슬픈모순(외)』, 파주: 범우비평판 한국문학.
윤창수, “신문 연재소설로 본 시대상”, <서울신문>, 2007. 07. 19, 38면
이상호(2012), 「유교의 부부 소통(疏通)에 관한 연구」, 『유교사상문화연구』제47권.
최영진 외(2009), 『한국철학사』, 새문사.
최혜실(1999), 「개화기 근대 정신과 자유 연애 결혼」,『現代文學理論硏究』제10권.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2.07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