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의이론과실제] 교육복지 정책과 평가 - 교육복지의 의의, 교육복지청책의 대상과 추진방안, 교육복지정책의 평가와 대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복지의이론과실제] 교육복지 정책과 평가 - 교육복지의 의의, 교육복지청책의 대상과 추진방안, 교육복지정책의 평가와 대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복지의 의의
2. 교육복지 정책의 대상
3. 교육복지정책의 추진방안
4. 교육복지정책의 평가
5. 대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의 연계와 조정을 담당하는 중핵기구 기능을 수행하고, 서비스 수요자의 발굴, 진단 및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를 원스톱으로 연결시켜 주는 가칭 ‘지역교육복지센터’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셋째, 모든 학교는 교육소외를 예방하고 해소하는 역량을 갖춘 ‘교육복지학교’가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복지는 교육과 별개가 아니며 교육체제가 교육소외에 대항하여 싸우기 위해 그 안에 지니고 있어야 할 일종의 면역기능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교육복지 전문 인력의 양성 또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우선,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복지 소양 및 전문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업운영 방식 및 서비스 질 개선이다. 교육복지사업 추진은 기본적으로 민간중심, 현장중심, 고객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지역 리더십의 구축이다. 교육복지체제를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교육복지 비전과 마스터플랜을 수립 제시하고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을 주도하며, 지역 차원의 문제를 제기하고 공동의 해결방안 모색을 이끌어가는 리더십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일곱째, 국가 및 지역수준의 교육복지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인적, 물적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법안들이 발전적으로 보완되고 통합되어 명실상부한 교육복지법이 제정되고 필요한 후속 법령과 자치법규들이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우리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복지정책을 세우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정부의 내세우고 있는 다양한 교육복지정책들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이유가 정부가 사회적 약자가 피부로 느끼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단순히 국민들에게 ‘보여주기 식’ 정책을 펼치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되는 바이다. 이런 교육복지정책의 불신을 잠재우려면 하루가 일 년같이 변해가는 사회의 변화를 빨리 알아채고 사회적 약자의 현실을 직접 몸으로 느끼며 한발 더 앞서가는 교육복지정책이 되어야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민간사업 등이 자기가 맡은 역할만큼은 충실히 이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영일 저,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3
교육복지의 이해, 임연기, 이병승 외 저, 학지사 2013
안병영, 김인희 저, 교육복지정책론, 다산출판사 2009
원석조 저,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2
김학만 저, 핵심 사회복지정책, 신정 2013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09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