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이탈리아

Ⅱ 이탈리아 디자인 특징

Ⅲ 이탈리아 자동차 특징

Ⅳ 자동차 브랜드

Ⅴ 국가별 자동차비교

Ⅵ 마치며

본문내용

깊고 F1 GP가 시작된 1950년부터 F1 GP의 정규 레이스로 열려 왔다. 라틴 민족 특유의 열광적인 성원 속에 대접전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음 해 국립몬차 자동차 경주장에서 열리는 경주와 합쳐졌다.
▣ 밀레 밀리아
이탈리아 북부 브레시아에서 열리는 밀레 밀리아 클래식카 랠리이다. 밀레 밀리아는 ‘1,000마일’이라는 뜻으로 이탈리아의 브레시아에서 로마까지 왕복하는 랠리이다. 브레시아에서 온 사람들은 몸에 피 대신 오일이 흐른다고 할 정도로 자동차에 열광적이다.
Ⅳ 자동차 브랜드
이탈리아는 총 8개의 자동차 브랜드(페라리, 알파로메오, 람보르기니, 파가니, 치제타, 피아트, 란치아, 마세라티)를 가지고 있다. 이 브랜드 회사들은 자동차의 희소성과 명품자동차라는 특징이 있다. 명품자동차 라는 것을 증명하듯 세계에서 가장 비싼차 TOP10에 1위 람보르기니 베네노, 5위 파가니 존다 신크 로스터, 6위 람보르기니 레벤톤, 9위 페라리 라페라리가 올랐다. 또한 유명 브랜드 평가 컨설 팅업체인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world’s most powerful brand)’로 페라리가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 페라리
자동차에 대해 처음 관심을 갖는 사람이라면 페라리의 멋진 스타일을 보면 누구나 감탄사를 내뱉는다. 자동차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차로 평가받는 페라리는 창업주인 엔초 페라리의 이름을 따서 만든 자동차로 단순한 운송 수단을 넘어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으로 빛나는 명성을 쌓았다. 페라리는 놀랄 만큼 날렵하고 뚜렷한 스타일링을 자랑한다. 보디의 치장까지 상당한 노력의 결과를 보인 흔적인 선명하다. 페라
리는 슈퍼카답게 진정으로 스포티하게 보이면서 첫눈에 페라리라고 인식될 수 있게 하였다. 그 근본원리가 단순성·감각과 기술의 결합·절묘한 조화이다. 그러나 페라리 디자인 가장 기본적 개념은 전통에 대한 고집이다. 페라리의 어느 모델도 신차가 아니고 그 뿌리가 되었던 모델이 꼭 1-2대가 있었으며, 거기에서 좀 더 기능적인 면을 추구하고 스타일을 다듬어 왔다. 색상도 이태리 전통의 빨간색을 유지하고 있으며(예외가 되는 모델도 있지만, 그것들보다 빨간색의 자동차가 더 선호되었다), 소재서도 F1의 첨단 소재와 전통적인 가죽을 적절히 섞어 페라리의 전통과 명성에 맞추고 있다. 또한 페라리는 붉은 야생마로 비유되며 페라리의 붉은 스포츠카는 남자들의 로망이다.
▣알파로메오
이탈리아에서 붉은색의 스포츠카를 처음으로 만들어 낸 회사는 95년의 긴 역사와 레이스의 전통을 자랑하는, 알파 로메오 자동차 회사이다.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지금도 멋있는 스포츠카와 승용차를 생산하는 곳이다. 이곳의 스포츠카가 붉은색이 된 것에는 사연이 있다. 1920년대에서 30년대까지 이탈리아 국내와 유럽의 레이스를 주름 잡았던 알파 로메오 레이스팀의 에이스 드라이버였던 빅토리오 야노는 레이스에 열광하는 이탈리아 사람들의 취미를 살려주기 위해 정열적인 붉은색 스포츠카를 설계했고, 오늘날 스포츠카의 시조인 샘이다.
▣ 람보르기니
람보르기니의 탄생은 엔초 페라리의 말 한 마디에서 비롯됐다.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1916년 레나초라는 작은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기계에 관심을 보인 그는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한 뒤 2차 세계대전 당시 자동차 정비공으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 직후 트랙터 제조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이 성공해 부유한 기업가로 성공한 람보르기니는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기업가 중 한 명이었지만 1948년 밀레 밀리아라는 자동차 경주에 직접 참가할 정도로 빠른 자동차에 관심이 많았고 명차를 수집하는 취미도 갖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람보르기니는 자신이 구입한 페라리의 클러치에 문제가 생기자 이를 건의하기 위해 엔초 페라리를 찾아갔다. 애정을 갖고 한 일이었지만 오히려 굴욕적인 말만 들었다. 엔초 페라리는 “트랙터나 만들던 사람이 수퍼카를 어떻게 알겠소? 트랙터나 운전하시오.” 라고 말했다. 페라리의 결함을 인정하지 않은 페라리의 이 말 한마디에 람보르기니는 “수퍼카가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겠다” 라고 말했다. 이것은 또 다른 수퍼카의 명가가 탄생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Ⅴ국가별 자동차비교
이탈리아 : 숙련공을 통한 명품제작, 맞춤제작 방식으로 안락한 승차감과 날카로운 핸들링을 보여준다. 신들린 듯, 예술적인 자동차 디자인이 특징이다. 단점은 돈 많은 사람 아니면 구경도 못할 비싼 가격이다.
일본 : 성능도 괜찮고 편안한 승차감이 특징이다. 그러나 디자인에 개성이 없다.
미국 : 적당한 가격에 나쁘지 않을 승차감이 있다. 대중적인 디자인이지만 어설프고 투박스러운 듯한 면이 있다.
독일 : 엔진의 완성도, 내구성, 승차감의 밸런스가 최고라고 불린다. 세련된 디자인과 안전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 : 여러 나라의 장점을 조합해서 만들면서 국산이여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한국자동차의 아이덴티티가 없다는 평이 있다.
Ⅵ 마치며
이탈리아 자동차에 대하여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준비를 했다. 이탈리아라는 나라와 이탈리아 자동차의 상호관계, 문화적 특징과 자동차가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 조사를했다. 중간고사 때는 문화적 연관이 별로 없다고 느꼈었다. 그런데 이탈리아의 문화를 알면 알수록 이탈리아 문화와 자동차사이에 유기적인 연관이 상당히 많은 것을 알았다. 또한 가시적으로 인터넷에 나와 있는 연관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단, 그것을 토대로 내가 배우고 느끼면서 내 생각에 이런 연관이 가능하겠다는 결론이 나왔
다. 한 학기동안 한 가지 주제에 대해 계속해서 조사해 보면서 수박 겉 핥기 식이 아닌 나름 깊이 있는 공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이탈리아가 ‘메이드 인 이탤리(Made in Italy)’ 라는 가치가 그냥 단순히 생긴 것이 아닌 오랜 역사와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형성된 문화라는 것을 배웠다. 예전에는 이탈리아 제품이 왜 이렇게 비싼지, 단순히 이름 값 때문은 아닌지 의심을 했는데, 이제는 이유가 있는 럭셔리 문화의 대표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 좋은 기회였다.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12.1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