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내 물류 동향
(1)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2) 업종별 물류산업 현황
(3) 국내 내륙물류기지 현황
(4) 국내 물류 기업의 해외 진출
(5) 국가 물류비 추이
(6) 향후 물류계획
2. 세계 물류 동향
■ 업종별 세계물류
(1)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2) 업종별 물류산업 현황
(3) 국내 내륙물류기지 현황
(4) 국내 물류 기업의 해외 진출
(5) 국가 물류비 추이
(6) 향후 물류계획
2. 세계 물류 동향
■ 업종별 세계물류
본문내용
세계 물류 동향
세계은행(WB)이 최근 실시한 무역물류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세계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지난 2년간의 무역 물류실적 개선속도가 둔화되었다고 밝혔다. 세계은행은 <2012년 세계 경제 중 무역 물류> 보고서에서 물류 실적지수(LPI)를 기준으로 물류실적 순위를 발표하였다. 싱가포르, 호주가 각각 1,2위를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물류 강국임을 밝혔다. 한국은 21위를 기록했다.
출처 : 국제물류지원단
■ 업종별 세계물류
1) 해상운송
지난 해 전 세계적으로 폐선 처리된 선박이 약 5천 9000만 DWT에 달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올해 역시 지난해에 버금가는 규모의 선박이 폐선 처리될 것으로 전망되며 10년밖에 안된 선박도 폐선장으로 향하는 등 폐선 되는 선박의 연령은 낮아지고 있다. 건조한 지 오래되지 않은 선박들의 폐선 비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우선적으로 해운 시장의 침체와 친환경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한때 싱가포르 항, 홍콩 항에 이어 세계 3대 컨테이너 물동량을 자랑하던 부산항이 월간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7위로 추락했다. 부산항의 위상이 흔들리면서 앞으로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세계 5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해졌다.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월간 기준 간혹 6위로 떨어질 때도 있었지만 줄곧 세계 5위를 유지해왔다.
출처 : 네이버 뉴스
<해적사고 발생동향>
국토해양부는 지난 해 소말리아 해역은 물론 전 세계 해역에서 해적행위가 크게 줄었으며, 우리 선박의 경우 한척도 해적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2006년부터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국적선 9척이 피랍되고 삼호주얼리호, 한진텐진호 등이 피랍 직전 우리 해군함정에 의해 구출된 바 있음
전 세계적으로 지난해 해적공격 건수는 297건으로 전년보다 (2011년, 439건) 32.3% 줄었으며, 선박 피랍 또한 45척에서 28척으로 37.7% 감소하였다. 이 기간 중 선원 585명이 인질로 붙잡히고 6명이 사망하였으며 32명이 부상을 당했다.
지난해 소말리아 해적공격 건수는 75건으로 전년보다 (2011년, 237건) 68.3% 줄었으며, 선박 피랍 역시 28척에서 14척으로 절반이 감소하였다.
이 기간 중 선원 220명이 인질로 붙잡혔고 2명이 사망하였으며 1명이 부상을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4.30 피랍된 싱가포르 선적 제미니호호의 한국 선원 4명은 2012.12.1에 무사히 석방되었다.
최근 해적퇴치 활동 강화로 소말리아 해적행위는 위축되었지만,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 해역의 해적행위는 크게 증가하였다. 지난해 나이지리아 해역에서 발생한 해적행위는 27건으로 전년보다(2011년, 10건) 170% 증가했고, 이 가운데 3척이 피랍되었으며 인도네시아 해역에서는 81건이 발생해, 2011년 (46건)보다 43.2% 증가하였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해적행위가 크게 위축된 것은 해적활동이 가장 빈번했던 소말리아 해적행위의 급격한 감소에 기인하며 주요 해운국에서 아덴만에 해군함정(18개국 43척)을 파견하여 해적소탕 활동을 벌이고 선사에서 무장보안요원을 승선시키는 한편, 철저한 해적피해 대응요령 이행 등 다각적인 해적퇴치 노력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국토해양부
2) 항공운송
지난해 우리나라 항공실적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종합 세계 6위를 달성했다.
국토해양부와 한국항공진흥협회는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최근 발표한 ‘Annual Report of the Council 2010’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국제선과 국내선을 합친 전체 항공운송실적이 여객부문 세계 13위, 화물부문 세계 3위로 종합 6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운송실적은 160억5,900만톤킬로에서 211억7,500만톤킬로로 31.9% 증가했다.
<한-적도기니 항만개발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의 3대 원유 생산국이자, 아프리카의 최고의 소득 수준을 보유한 적도기니와 항만 분야의 협력 사업이 시작된다. 대한민국 국토해양부와 적도기니 GE프로젝트부는 적도기니 수도 말라보에서 양국간 항만 협력사업 추진에 합의하고 "항만개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적도기니는 아프리카 서부 기니만에 위치한 인구 70만의 작은 나라이지만, 1995년 이후 유전개발로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어 왔다. 또한 석유 뿐 아니라 천연가스, 철광석 등 광물자원이 상당히 매장되어 있는 자원부국으로, 풍부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주요 인프라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국내 기업도 적도기니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특히 석유개발, 상하수도, 건축 부분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후 인프라 확충에 많은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항만분야의 정부 간 협력구축을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해양부는 앞으로도 우리 기업의 해외 항만 시장 진출을 위해 항만마스터플랜 수립 또는 타당성 조사 지원을 통한 정부 간 협력 관계 강화하고, 초청 연수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인적 교류를 활성화 하는 등 직·간접적인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출처 : datanews 및 국토해양부
3) 복합운송
DHL의 항공·해상 화물 사업부인 DHL 글로벌 포워딩이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새로운 복합운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해상운송보다 공급망 비용을 낮추고 운송시간을 단축하려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앞으로 세계 시장으로 도약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을 비롯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을 늘리고 있는 일본 기업들의 화물 운송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 한국과 일본 간 DHL 복합운송 서비스는 해상운송 서비스만을 이용할 경우와 비교해 운송 시간을 최대 3일 정도 단축 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0피트 또는 40피트 컨테이너보다 작은 12피트(3.6미터) 소형 컨테이너를 사용함으로써 트럭, 철도, 페리 등 모든 교통수단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완벽한 운송이 가능토록 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세계은행(WB)이 최근 실시한 무역물류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세계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지난 2년간의 무역 물류실적 개선속도가 둔화되었다고 밝혔다. 세계은행은 <2012년 세계 경제 중 무역 물류> 보고서에서 물류 실적지수(LPI)를 기준으로 물류실적 순위를 발표하였다. 싱가포르, 호주가 각각 1,2위를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물류 강국임을 밝혔다. 한국은 21위를 기록했다.
출처 : 국제물류지원단
■ 업종별 세계물류
1) 해상운송
지난 해 전 세계적으로 폐선 처리된 선박이 약 5천 9000만 DWT에 달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올해 역시 지난해에 버금가는 규모의 선박이 폐선 처리될 것으로 전망되며 10년밖에 안된 선박도 폐선장으로 향하는 등 폐선 되는 선박의 연령은 낮아지고 있다. 건조한 지 오래되지 않은 선박들의 폐선 비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우선적으로 해운 시장의 침체와 친환경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한때 싱가포르 항, 홍콩 항에 이어 세계 3대 컨테이너 물동량을 자랑하던 부산항이 월간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7위로 추락했다. 부산항의 위상이 흔들리면서 앞으로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세계 5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해졌다.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월간 기준 간혹 6위로 떨어질 때도 있었지만 줄곧 세계 5위를 유지해왔다.
출처 : 네이버 뉴스
<해적사고 발생동향>
국토해양부는 지난 해 소말리아 해역은 물론 전 세계 해역에서 해적행위가 크게 줄었으며, 우리 선박의 경우 한척도 해적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2006년부터 소말리아 해적에 의해 국적선 9척이 피랍되고 삼호주얼리호, 한진텐진호 등이 피랍 직전 우리 해군함정에 의해 구출된 바 있음
전 세계적으로 지난해 해적공격 건수는 297건으로 전년보다 (2011년, 439건) 32.3% 줄었으며, 선박 피랍 또한 45척에서 28척으로 37.7% 감소하였다. 이 기간 중 선원 585명이 인질로 붙잡히고 6명이 사망하였으며 32명이 부상을 당했다.
지난해 소말리아 해적공격 건수는 75건으로 전년보다 (2011년, 237건) 68.3% 줄었으며, 선박 피랍 역시 28척에서 14척으로 절반이 감소하였다.
이 기간 중 선원 220명이 인질로 붙잡혔고 2명이 사망하였으며 1명이 부상을 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4.30 피랍된 싱가포르 선적 제미니호호의 한국 선원 4명은 2012.12.1에 무사히 석방되었다.
최근 해적퇴치 활동 강화로 소말리아 해적행위는 위축되었지만, 나이지리아, 인도네시아 해역의 해적행위는 크게 증가하였다. 지난해 나이지리아 해역에서 발생한 해적행위는 27건으로 전년보다(2011년, 10건) 170% 증가했고, 이 가운데 3척이 피랍되었으며 인도네시아 해역에서는 81건이 발생해, 2011년 (46건)보다 43.2% 증가하였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해적행위가 크게 위축된 것은 해적활동이 가장 빈번했던 소말리아 해적행위의 급격한 감소에 기인하며 주요 해운국에서 아덴만에 해군함정(18개국 43척)을 파견하여 해적소탕 활동을 벌이고 선사에서 무장보안요원을 승선시키는 한편, 철저한 해적피해 대응요령 이행 등 다각적인 해적퇴치 노력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국토해양부
2) 항공운송
지난해 우리나라 항공실적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종합 세계 6위를 달성했다.
국토해양부와 한국항공진흥협회는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최근 발표한 ‘Annual Report of the Council 2010’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국제선과 국내선을 합친 전체 항공운송실적이 여객부문 세계 13위, 화물부문 세계 3위로 종합 6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운송실적은 160억5,900만톤킬로에서 211억7,500만톤킬로로 31.9% 증가했다.
<한-적도기니 항만개발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의 3대 원유 생산국이자, 아프리카의 최고의 소득 수준을 보유한 적도기니와 항만 분야의 협력 사업이 시작된다. 대한민국 국토해양부와 적도기니 GE프로젝트부는 적도기니 수도 말라보에서 양국간 항만 협력사업 추진에 합의하고 "항만개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적도기니는 아프리카 서부 기니만에 위치한 인구 70만의 작은 나라이지만, 1995년 이후 유전개발로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루어 왔다. 또한 석유 뿐 아니라 천연가스, 철광석 등 광물자원이 상당히 매장되어 있는 자원부국으로, 풍부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주요 인프라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국내 기업도 적도기니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특히 석유개발, 상하수도, 건축 부분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후 인프라 확충에 많은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항만분야의 정부 간 협력구축을 통해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해양부는 앞으로도 우리 기업의 해외 항만 시장 진출을 위해 항만마스터플랜 수립 또는 타당성 조사 지원을 통한 정부 간 협력 관계 강화하고, 초청 연수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인적 교류를 활성화 하는 등 직·간접적인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출처 : datanews 및 국토해양부
3) 복합운송
DHL의 항공·해상 화물 사업부인 DHL 글로벌 포워딩이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새로운 복합운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해상운송보다 공급망 비용을 낮추고 운송시간을 단축하려는 시장의 요구를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앞으로 세계 시장으로 도약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을 비롯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을 늘리고 있는 일본 기업들의 화물 운송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 한국과 일본 간 DHL 복합운송 서비스는 해상운송 서비스만을 이용할 경우와 비교해 운송 시간을 최대 3일 정도 단축 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0피트 또는 40피트 컨테이너보다 작은 12피트(3.6미터) 소형 컨테이너를 사용함으로써 트럭, 철도, 페리 등 모든 교통수단을 복합적으로 이용한 완벽한 운송이 가능토록 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추천자료
전자상거래하에서 사이버 물류시스템 구현방안
경의선 개통에 대비한 남북한 물류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 남북경협
국내 제3자 물류의 발전방안(Development way of domestic third party logistics)
디지털 경제시대에 국내 물류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월마트와델의 물류관리, 물류용어정리
3자물류와 외주물류 비교
물류 허브터미날의 이해 및 기업물류 전략 고찰
[국제물류, 국제물류 유형, 국제물류 중요성, 국제물류 현황, 국제물류 대표업체 사례]국제물...
동북아시아 물류중심국가(동북아물류중심국가)를 위한 항만개발, 철도개발, 동북아시아 물류...
물류관리(물적유통관리, 유통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종류, 물류관리(물적유통관리, 유통관리...
물적유통관리(유통관리, 물류관리)의 의미, 유형, 물적유통관리(유통관리, 물류관리)의 정보...
주요항공사(케세이퍼시픽,대한항공,중국남방항공,에미레이트,루프트한자) 경영전략과 글로벌 ...
항공물류론 - 해외직구, 해외직구가 항공물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의, 유...
[국제물류론] 한진물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