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경계, 신경외과 사정 및 간호
1. 의식상태 사정
2 수술 전 후 간호
1. 의식상태 사정
2 수술 전 후 간호
본문내용
정(근력 운동상태 사정)
(1) Motor grade I: 근육의 수축만 있는 상태
(2) Motor grade II: 근력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는 상태(팔이나 다리를 들어 올릴 때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그대로 아래로 떨어지는 상태)
(3) Motor grade III : 근력이 중력을 이길 수 있는 상태(팔이나 다리를 중력을 이기고 들어 올릴 수 있는 상태)
(4) Motor grade IV: 근력이 중력을 이길 수 있고 정상보다는 근력이 약한 상태
(5) Motor grade V : 정상
4. Emotional care
- 환자의 불안과 고통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함
- 현재 경과에 대한 상황 설명 및 앞으로 시행될 검사와 처치에 대해 설명.
(환자의 지식부족에 대해 교육과 설명을 해 줄때 환자는 안심하고 불안이 감소할 수 있다.)
- 병원의 낯선 환경에 대해 설명함(필요한 위치, 장소, 사용법 등)
2) 수술 후 간호
1. 신경학적 사정
1) 의식상태를 사정
2) GCS를 측정
3) 근력정도의 기능을 사정
4) 감각정도를 사정
5) 반응정도를 사정
2. 활력징후 측정 및 산소포화도 측정
- BP(Blood Pressure) (mmHg)
- Pulse (회/분)
- Respiration (회/분)
- Temperature (도)
- Saturation (%)
3. Intake/Output 및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확인한다.
1) 수술 중 BL(blood Loss) 및 투여된 수액량 확인.
2) 수술 후 충분한 수액을 공급한다.
3) NPO(금식)기간이 지나면 SOW(Sips of water)부터 시작하여 미음, 죽, 밥 순으로 식이를 섭취한다.
3. Position change
(1) 목적
- 수술 후 순환기능을 촉진하여 정맥혈전증, 욕창, 사지부종 예방
- 근육이 위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 뼈의 탈무기질화를 방지한다.
- 욕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2) 방법
- 체위변경은 매 2시간마다 시행하며 침대시트가 구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소화기계 및 비뇨기계 사정
- 필요시 유치도뇨관을 삽관한다.
- 소변의 양과 양상, 색깔 등을 확인한다.
- 필요시 소변을 채취하여 소변검사를 나간다.
- 장음, gas out 등의 여부를 확인 한다.
5. 검사
1) 혈액검사: 수술 후 BC, CBC, PT/PTT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한다.
2) CT, MRI, X-ray 등의 검사를 추가로 할 수 있다.
(1) Motor grade I: 근육의 수축만 있는 상태
(2) Motor grade II: 근력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는 상태(팔이나 다리를 들어 올릴 때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그대로 아래로 떨어지는 상태)
(3) Motor grade III : 근력이 중력을 이길 수 있는 상태(팔이나 다리를 중력을 이기고 들어 올릴 수 있는 상태)
(4) Motor grade IV: 근력이 중력을 이길 수 있고 정상보다는 근력이 약한 상태
(5) Motor grade V : 정상
4. Emotional care
- 환자의 불안과 고통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함
- 현재 경과에 대한 상황 설명 및 앞으로 시행될 검사와 처치에 대해 설명.
(환자의 지식부족에 대해 교육과 설명을 해 줄때 환자는 안심하고 불안이 감소할 수 있다.)
- 병원의 낯선 환경에 대해 설명함(필요한 위치, 장소, 사용법 등)
2) 수술 후 간호
1. 신경학적 사정
1) 의식상태를 사정
2) GCS를 측정
3) 근력정도의 기능을 사정
4) 감각정도를 사정
5) 반응정도를 사정
2. 활력징후 측정 및 산소포화도 측정
- BP(Blood Pressure) (mmHg)
- Pulse (회/분)
- Respiration (회/분)
- Temperature (도)
- Saturation (%)
3. Intake/Output 및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확인한다.
1) 수술 중 BL(blood Loss) 및 투여된 수액량 확인.
2) 수술 후 충분한 수액을 공급한다.
3) NPO(금식)기간이 지나면 SOW(Sips of water)부터 시작하여 미음, 죽, 밥 순으로 식이를 섭취한다.
3. Position change
(1) 목적
- 수술 후 순환기능을 촉진하여 정맥혈전증, 욕창, 사지부종 예방
- 근육이 위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 뼈의 탈무기질화를 방지한다.
- 욕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2) 방법
- 체위변경은 매 2시간마다 시행하며 침대시트가 구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소화기계 및 비뇨기계 사정
- 필요시 유치도뇨관을 삽관한다.
- 소변의 양과 양상, 색깔 등을 확인한다.
- 필요시 소변을 채취하여 소변검사를 나간다.
- 장음, gas out 등의 여부를 확인 한다.
5. 검사
1) 혈액검사: 수술 후 BC, CBC, PT/PTT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한다.
2) CT, MRI, X-ray 등의 검사를 추가로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