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호과정 사례연구보고서
A. 기초자료
1. 과거력
2. 현병력
3. 신체사정
4. 영양과 대사양상
5. 배설양상
6. 활동과 휴식 양상
7. 역할 / 관계양상
3) 어린이의 사회생활
8. 스트레스 대처능력 : 질병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9. 인지 / 지각 양상 : 어린이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
10. 발달사정
B. 대상자의 의미있는 진단검사
C. 대상자의 투약기록지
D.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문제목록 작성
E. 간호과정 기록지-1
E. 간호과정 기록지-2
A. 기초자료
1. 과거력
2. 현병력
3. 신체사정
4. 영양과 대사양상
5. 배설양상
6. 활동과 휴식 양상
7. 역할 / 관계양상
3) 어린이의 사회생활
8. 스트레스 대처능력 : 질병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9. 인지 / 지각 양상 : 어린이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
10. 발달사정
B. 대상자의 의미있는 진단검사
C. 대상자의 투약기록지
D. 우선순위에 따른 대상자의 간호문제목록 작성
E. 간호과정 기록지-1
E. 간호과정 기록지-2
본문내용
증
진단
기관지 분비물의 과다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6일 이내에 호흡음이 정상 호흡음이 된다.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코 막힘과 콧물이 없어진다.
2. 보호자는 24시간 이내에 교육받은 내용을 시행한다.
간호
중재
1. 매일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날짜
10/31
11/1
11/2
11/3
11/4
11/5
호흡양상
wheezing
wheezing
wheezing
mild wheezing
mild wheezing
(-)
콧물
많음
코 막힘
많음
보통
코 막힘
감소, 코 막힘
감소
2. 하루 2번 처방된 nebulizer를 적용한다.
- 8:00am 6:00pm 살부톨, 풀미칸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진해거담제)
- 8:00am 6:00pm 데오크레 건조시럽 PO
- 8:00am 6:00pm 암브록솔 IV
4. 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한다. (10/31 11:00am)
5. 보호자에게 젖은 수건을 널어놓는 등 방의 습도를 높이도록 교육한다. (10/31 11:00am)
6. 보호자에게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교육한다. (10/31 11:00am)
이론적근거
1. 호흡음을 평가함으로써 감염의 악화여부를 알 수 있다.
2. nebulizer, 진해거담제 등은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3. 흉부물리요법은 기관지 벽에 붙어있는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4. 습기가 많은 주변 환경은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5. 적절한 수분공급은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평가
결과 부분적 달성 : 11/1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흉부물리요법 시행 하는 것 관찰됨.
보호자가 방에 젖은 수건 널어놓는 것 관찰됨.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자주 물을 먹이는 것 관찰됨.
11/5
wheezing (-)
코 막힘, 콧물 약간 있음
E. 간호과정 기록지-2
사정
S : 보호자 - “아기가 열이 나는 것 같아요.”
O : 10/31 11:20am
체온 - 39.0℃
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어 보임
몸을 만져보니 열이 느껴짐
진단
세기관지와 폐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8시간 이내에 체온이 36.0~37.5℃의 범위에 든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땀을 흘린다.
보호자는 1시간 이내에 교육받은 내용을 시행한다.
대상자는 5시간 이내에 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
중재
1. 체온이 떨어질 때 까지 매 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10/31
시간
11:20am
12:20am
1:20pm
2:20pm
5:00pm
T
39.0C
38.1C
37.8C
37.1℃
36.6℃
2. 보호자에게 tepid massage에 대해 설명하고 시행하도록 교육한다. (10/31 11:20am)
3. 해열제(이부날)을 투여한다. (10/31 11:30am)
4. 항생제(아모크라 주)를 투여한다. (10/31 11:30am)
5. 항생제의 부작용을 관찰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10/31 11:30am)
6. 탈수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10/31 11:30am)
7. 정맥으로 수액을 유지한다. (10/31 11:30am)
8.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 이불을 덮지 않도록 한다.
9. 병실을 환기시켜 시원한 환경을 제공한다.
10. 휴식과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위를 도모한다.
이론적근거
1. 매 시간 체온을 측정해 환아의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미온수로 피부를 닦아 주면 기화열로 인해 체온을 낮출 수 있다.
3. 해열제를 투여함으로써 체온을 낮출 수 있다.
4.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열의 원인인 폐의 염증 치료를 돕는다.
5. 항생제의 부작용인 설사, 피부발진 등을 빨리 파악해 대처할 수 있다.
6. 체온상승이 지속되면 탈수가 나타날 수 있다.
7. 정맥 수액을 유지함으로써 탈수를 예방하고 전해질 불균형 위험을 막는다.
8. 주위환경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체온을 낮추는 것을 돕는다.
9. 의복을 제거하며 환기를 유도하는 것은 체온을 낮추는 것을 돕는다.
10. 휴식을 취하게 하여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해 준다.
평가
결과 달성 : 10/31
12:00pm 보호자가 tapid massage 시행하는 것 관찰됨.
12:00pm 보호자가 항생제 부작용인 설사, 피부발진 등이 없다고 말함.
4:00pm 대상자 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음.
5:00pm 체온 - 36.6℃
진단
기관지 분비물의 과다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6일 이내에 호흡음이 정상 호흡음이 된다.
단기목표 : 1.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코 막힘과 콧물이 없어진다.
2. 보호자는 24시간 이내에 교육받은 내용을 시행한다.
간호
중재
1. 매일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날짜
10/31
11/1
11/2
11/3
11/4
11/5
호흡양상
wheezing
wheezing
wheezing
mild wheezing
mild wheezing
(-)
콧물
많음
코 막힘
많음
보통
코 막힘
감소, 코 막힘
감소
2. 하루 2번 처방된 nebulizer를 적용한다.
- 8:00am 6:00pm 살부톨, 풀미칸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진해거담제)
- 8:00am 6:00pm 데오크레 건조시럽 PO
- 8:00am 6:00pm 암브록솔 IV
4. 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한다. (10/31 11:00am)
5. 보호자에게 젖은 수건을 널어놓는 등 방의 습도를 높이도록 교육한다. (10/31 11:00am)
6. 보호자에게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교육한다. (10/31 11:00am)
이론적근거
1. 호흡음을 평가함으로써 감염의 악화여부를 알 수 있다.
2. nebulizer, 진해거담제 등은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3. 흉부물리요법은 기관지 벽에 붙어있는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4. 습기가 많은 주변 환경은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5. 적절한 수분공급은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평가
결과 부분적 달성 : 11/1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흉부물리요법 시행 하는 것 관찰됨.
보호자가 방에 젖은 수건 널어놓는 것 관찰됨.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자주 물을 먹이는 것 관찰됨.
11/5
wheezing (-)
코 막힘, 콧물 약간 있음
E. 간호과정 기록지-2
사정
S : 보호자 - “아기가 열이 나는 것 같아요.”
O : 10/31 11:20am
체온 - 39.0℃
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어 보임
몸을 만져보니 열이 느껴짐
진단
세기관지와 폐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8시간 이내에 체온이 36.0~37.5℃의 범위에 든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땀을 흘린다.
보호자는 1시간 이내에 교육받은 내용을 시행한다.
대상자는 5시간 이내에 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
중재
1. 체온이 떨어질 때 까지 매 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10/31
시간
11:20am
12:20am
1:20pm
2:20pm
5:00pm
T
39.0C
38.1C
37.8C
37.1℃
36.6℃
2. 보호자에게 tepid massage에 대해 설명하고 시행하도록 교육한다. (10/31 11:20am)
3. 해열제(이부날)을 투여한다. (10/31 11:30am)
4. 항생제(아모크라 주)를 투여한다. (10/31 11:30am)
5. 항생제의 부작용을 관찰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10/31 11:30am)
6. 탈수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10/31 11:30am)
7. 정맥으로 수액을 유지한다. (10/31 11:30am)
8. 추위를 느끼지 않으면 이불을 덮지 않도록 한다.
9. 병실을 환기시켜 시원한 환경을 제공한다.
10. 휴식과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위를 도모한다.
이론적근거
1. 매 시간 체온을 측정해 환아의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미온수로 피부를 닦아 주면 기화열로 인해 체온을 낮출 수 있다.
3. 해열제를 투여함으로써 체온을 낮출 수 있다.
4.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열의 원인인 폐의 염증 치료를 돕는다.
5. 항생제의 부작용인 설사, 피부발진 등을 빨리 파악해 대처할 수 있다.
6. 체온상승이 지속되면 탈수가 나타날 수 있다.
7. 정맥 수액을 유지함으로써 탈수를 예방하고 전해질 불균형 위험을 막는다.
8. 주위환경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체온을 낮추는 것을 돕는다.
9. 의복을 제거하며 환기를 유도하는 것은 체온을 낮추는 것을 돕는다.
10. 휴식을 취하게 하여 안정을 찾을 수 있게 해 준다.
평가
결과 달성 : 10/31
12:00pm 보호자가 tapid massage 시행하는 것 관찰됨.
12:00pm 보호자가 항생제 부작용인 설사, 피부발진 등이 없다고 말함.
4:00pm 대상자 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음.
5:00pm 체온 - 36.6℃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소 방문간호 케이스 (방문간호, 간호과정)
[성인간호;성인2] 신부전사례 간호과정 {신부전 사례, 간호 과정}
성인 간호학 위암case/위암문헌고찰/위암병태생리/위암간호진단/위암간호중재/진행성위암/gas...
영화 양들의 침묵 감상 후 이에 대한 간호과정, 양들의 침묵 간호과정, 정신간호학, 정신 cas...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뇌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SOAPIE, 간호...
우측어깨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케이스, 간호진단, 간호과정, 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 스키조간호과정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Acute pancreatits 케이스, Acute pancreatits CASE STUDY, Acute...
A+ 급성 충수염 케이스 (Acute appendicitis, Acute appendicitis 케이스, Acute appendiciti...
Stable angina pectoris(안전형협심증 케이스, 안전형협심증 간호과정, 안전형협심증 사례연...
게실염(diverticulitis) 케이스 스터디 - (게실염 케이스 스터디, 게실염 간호과정, 게실염 ...
심정지/ cardiac arrest/ A+/간호과정/ 김정지 문헌고찰/ 심정지 간호과정/ 성인간호
[간호학] 조현병 간호 - 간호과정 -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