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론] 장애 유형 _ 심장, 신장, 간장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복지론] 장애 유형 _ 심장, 신장, 간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심장장애
1. 심장장애의 개념 및 정의
2. 심장장애의 원인
3. 심장장애의 특징
4. 심장장애인 현황
5. 심장장애판정 시기 및 등급기준
6. 심장장애인을 위한 에티켓

Ⅱ. 신장장애
1. 신장장애의 정의
2. 신장장애의 원인
3. 신장장애의 증상
4. 신장장애의 범주 및 등급기준
5. 신장장애의 등록현황

Ⅲ. 간 장애
1. 간장애의 정의
2. 간장애의 원인
3. 간장애의 증상
4. 간장애의 판정 및 등급기준
5. 간장애의 등록현황
6. 간장애인을 위한 에티켓

Ⅳ.참고자료

본문내용

월 이상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사람
-5급 : 신장을 이식 받은 사람
5. 신장장애의 등록현황
Ⅲ. 간 장애
1. 간장애의 정의
간의 만성적 기능부전과 그에 따른 합병증 등으로 인한 간 기능의 장애로 일상생활을 하는데 상당한 제안을 받는 사람을 말합니다.
2. 간장애의 원인
간 장애는 간단히 말해 간세포에 염증이 있는, 쉽게 말해 간세포가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간 장애
원 인
급성간염
급격한 증상으로 발병되지만 꽤 단기간에 치료되는 간염으로 대개 술이나 약물, 그리고 간염바리어스가 원인이다.
만성간염
만성간염은 가장 흔한 원인은 B형 간염바이러스이다. 만성적으로 간에 염증이 지속되는 상태로 B, C형 바이러스성 간염이 흔한 원인이며 그 외에도 자가 면역성 간염, 원발성 담관 경화증 등이 있을 수 있다.
간경변증
B형 간염바이러스와 술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간실질세포가 변성되거나 괴사된 후 세포재생이 일어날 때 결합조직의 증식이 심해져 간의 경변이 심해지는 것을 일컫는다.
지방간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축적되면 지방간이라 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식이로 인한 원인, 술, 내분비 이상, 약물로 인한 원인 등을 들 수 있다.
간암
대부분의 간암은 간경변 환자에게서 발병하지만 만성 B형 간염의 경우 간경화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간암은 간자체에서 발생한 간암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과 타기관의 암이 전이되어 발생한 전이암 등이 있다.
3. 간장애의 증상
●○ 몸이 갑자기 나른함
-특별한 이유 없이 지속적인 피로감과 상복부에 둔통을 느끼게 됩니다.
●○ 식욕 부진
-소화기능이 떨어지고 구토증세(기름기 있는 음식이 싫어짐)를 느끼며 특히 급성 간염의 경우 심하게 나타납니다.
●○ 황달 증세
-피부의 점막이 누렇게 물들고 적혈구가 파괴되면 빌리루빈이 생기는데 이것을 담즙을 통해 배설합니다. 간세포가 파괴되면 배설 기능에 이상이 생겨 과잉축적으로 황달이 나타나고 그 증세로 보통 눈의 흰자위가 가장 먼저 황색으로 변하고 심할 경우는 가려움증도 유발됩니다. 이것은 피하조직에 담즙산이 생기기 때문이며 예외적으로는 담즙통로가 담석 등을 막혔을 때에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 소변과 대변의 이상
-소변색이 콜라색처럼 변하고 대변은 정상적인 경우는 갈색인데 이것은 담도를 통하여 장을 흘러 내려간 담즙이 장을 원활하게 소통하지 않으면 색깔이 옅어질 뿐 아니라 합병증으로 식도 정맥류가 파열 될 경우는 피를 토하기도 하고 대변 색깔은 콜타르 색깔처럼 까맣게 됩니다.
●○ 잇몸에서 피가 남
-간에서 혈액 응고 인자를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면 간 밖에서 나타나는데 칫솔 사용 시에 잇몸이나 코에서 피가 나며 또는 작은 충격에도 멍이 잘 듭니다.
●○ 피부 등 이상 증세
-손바닥이 지나치게 붉어짐(수장훙반이라고도 함). 몸에 반점이 생김(가슴, 목, 팔 윗부분 등). 얼굴은 흙갈색으로 변하는데 햇볕에 그을린 경우와는 달리 얼굴에 실핏줄이 돋아 있으며 여드름이나 기미가 생길 때도 있습니다.
4. 간장애의 판정 및 등급기준
1)간장애의 판정
장애인 복지 법에서는 간 기능의 손상이나 이상으로 일상생활 활동이 어려워지는 질병으로 소관 전문의의 최초 진단 이후 1년 이상 지나고, 2개월 이상의 적극적인 치료에도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는 경우를 만성 간질환자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간 장애 등급 기준
등급
장애정도
1급
만성 간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잔여 간 기능이 Child-Pugh 평가상 등급 C이면서 다음의 합병증 중 하나 이상을 보이는 사람 1)만성 간성뇌증, 2)내과적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복수
2급
만성 간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잔여 간 기능이 Child-Pugh 평가상 등급 C이면서 다음의 병력 중 하나 이상을 보이는 사람 1)간성뇌증의 병력, 2)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의 병력
3급
만성 간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잔여 간 기능이 Child-Pugh 평가상 등급 C인 사람
5급
만성 간질환으로 간이식을 시술 받은 사람
5. 간장애인 등록현황
<전국 간장애 등록현황>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장애
7,920
1,796
474
341
375
211
229
156
1,948
283
242
318
243
325
441
435
103
6. 간장애인을 위한 에티켓
-음주는 금물이므로 술을 절대로 권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식도정맥에서 출혈이 있는 경우 간장애인이 어지러워하거나, 식은땀, 창백한 혈색,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이런 경우 가까운 응급실로 이송해야 합니다.
-간장애인은 복수가 찰 수 있는데 복수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염식 위주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업무로 인해 과로나 수면부족이 되지 않도록 배려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업무 중간에 충분한 휴식을 갖고 필요한 영양을 챙길 수 있도록 시간적 배려를 합니다.
-복수가 있는 경우, 힘을 쓰는 작업 특히 운반 작업이나 상체를 구부리는 작업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직무배치에서 이런 점을 고려해야 한다. (자료발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Ⅳ.참고자료
장애인 복지론(2012), 임종호 ,학지사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http://www.freeget.net/etc/search.asp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일부개정안, 2012.06.11.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
http://www.mw.go.kr/front_new/jc/sjc0112mn.jsp?PAR_MENU_ID=06&MENU_ID=0612010301
네이버 두산백과사전
비마니어 뉴스, 홍권호, 2012.06.08.
http://beminor.com/news/view.html?section=1&category=84&no=3831
무안군장애인 종합복지관 오늘의 이야기 ‘장애인과 함께하는 에티켓’http://happylog.naver.com/muanjb/post/PostView.nhn;jsessionid=98D1A6336A68DC8EC169ABD3ED818644?bbsSeq=24830&artclNo=123460167421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12.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