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목차
없음
본문내용
#교사의 언어 형태가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아프리카의 어느 부족은 너무 웃자라 불편하거나 필요 없게 된 나무가 있을 경우 톱이나 칼로 잘라 버리는게 아니라 온 부락민들이 모여 그 나무를 향해 크게 소리 지른 다고 한다. 예컨대,
“ 너는 살 가치가 없어” “나는 널 사랑하지 않아!”
“너는 왜 그렇게 사니?” “넌 차라리 죽는게 낫겠어” 등
이렇게 나무가 들어서 가슴 아파할 말을 계속하면 정말 살기 싫어진 나무가 시들시들 말라 죽어버린다는 것이다.
한 마디의 말이 생명을 좌우할 만큼 폭력적일 수 있고, 그 만큼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는 말일 게다.
신체적으로 받는 상처는 세월이 가면 어느덧 딱지가 앉고 아물지만, 마음의 상처는 10년, 20년이 지나도 어느 날 꿈에서라도 문득 생각나 다시 피가 줄줄 흐르는 법이기 때문이다. 그런줄 알면서도 우리는 살아가면서 남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적이 있다.
나무도 가슴 아픈 말을 하면 슬퍼서 죽는다는데 하물며 사람이야…..
중략
영유아의 읽기,쓰기 학습방법
문해발달 과정의 이해
① 문해발생 (emergent literacy) -
문해발달의 연속성 강조
② 자기조절적인 탐색적 글쓰기의 가치 인정
③ 아이들이 읽기를 원하는 것은 글자가 아니라 이야기, 정보,아이디어 등의 의미이다.
④ 사회적 상황과 의미있는 맥락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영유아의 읽기,쓰기 학습방법
문해발달에 부적합한 실제
① 읽기가 세분화된 기술의 획득에 의해서만 가르쳐진다.
② 읽기가 분리된 교과로 가르쳐지고 다른 교과를 가르칠 때 읽기 능력이 향상되리라는 가정을 하지 않는다.
③ 언어와 쓰기와 철자법은 상당한 정도로 워크북에 의존한다.
④ 아이들은 자기 과제를 수정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쓰기과정에 대한 감각을 얻기 어렵다.
⑤ 정확한 철자나 표준적인 글자가 아니면 아이들의 쓰기 노력은 거부되거나 평가절하된다.
영유아의 읽기,쓰기 학습방법
문해발달에 적합한 실제
① 언어와 문해 발달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이가 말하기, 듣기,읽기, 쓰기를 통해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고, 읽기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능력과 성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② 발음, 단어 인식, 철자법, 문법 등에 관련된 기술은 아이들에게 의미 있는 방법으로 가르쳐진다.
③ 교사는 미리 지정한 철자에서의 의존을 최소화하면서 아이가 창안한 글자에서 인습적인 글자로의 발달을 지원한다.
아프리카의 어느 부족은 너무 웃자라 불편하거나 필요 없게 된 나무가 있을 경우 톱이나 칼로 잘라 버리는게 아니라 온 부락민들이 모여 그 나무를 향해 크게 소리 지른 다고 한다. 예컨대,
“ 너는 살 가치가 없어” “나는 널 사랑하지 않아!”
“너는 왜 그렇게 사니?” “넌 차라리 죽는게 낫겠어” 등
이렇게 나무가 들어서 가슴 아파할 말을 계속하면 정말 살기 싫어진 나무가 시들시들 말라 죽어버린다는 것이다.
한 마디의 말이 생명을 좌우할 만큼 폭력적일 수 있고, 그 만큼 깊은 상처를 줄 수 있다는 말일 게다.
신체적으로 받는 상처는 세월이 가면 어느덧 딱지가 앉고 아물지만, 마음의 상처는 10년, 20년이 지나도 어느 날 꿈에서라도 문득 생각나 다시 피가 줄줄 흐르는 법이기 때문이다. 그런줄 알면서도 우리는 살아가면서 남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적이 있다.
나무도 가슴 아픈 말을 하면 슬퍼서 죽는다는데 하물며 사람이야…..
중략
영유아의 읽기,쓰기 학습방법
문해발달 과정의 이해
① 문해발생 (emergent literacy) -
문해발달의 연속성 강조
② 자기조절적인 탐색적 글쓰기의 가치 인정
③ 아이들이 읽기를 원하는 것은 글자가 아니라 이야기, 정보,아이디어 등의 의미이다.
④ 사회적 상황과 의미있는 맥락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영유아의 읽기,쓰기 학습방법
문해발달에 부적합한 실제
① 읽기가 세분화된 기술의 획득에 의해서만 가르쳐진다.
② 읽기가 분리된 교과로 가르쳐지고 다른 교과를 가르칠 때 읽기 능력이 향상되리라는 가정을 하지 않는다.
③ 언어와 쓰기와 철자법은 상당한 정도로 워크북에 의존한다.
④ 아이들은 자기 과제를 수정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쓰기과정에 대한 감각을 얻기 어렵다.
⑤ 정확한 철자나 표준적인 글자가 아니면 아이들의 쓰기 노력은 거부되거나 평가절하된다.
영유아의 읽기,쓰기 학습방법
문해발달에 적합한 실제
① 언어와 문해 발달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이가 말하기, 듣기,읽기, 쓰기를 통해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고, 읽기를 통해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능력과 성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② 발음, 단어 인식, 철자법, 문법 등에 관련된 기술은 아이들에게 의미 있는 방법으로 가르쳐진다.
③ 교사는 미리 지정한 철자에서의 의존을 최소화하면서 아이가 창안한 글자에서 인습적인 글자로의 발달을 지원한다.
추천자료
언어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언어지도] 자유선택 활동을 통한 언어교육 - 언어 영역, 극놀이 영역, 미술 영역, 수과학 영...
[언어지도] 그림책과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교육과 문학적 접근의 전략
[언어교육학] 언어습득이론 중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의 특징 비교
바람직한 언어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과의 협력 및 연계방안에 대해 토론하고 구체...
유아활동 3~5세 - 유아 언어지도의 기본원리와 일상에서의 언어활동 실제 및 주제에 따른 언...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교육의 의의와 좋은 그림책의 기준 및 그림책을 활용하는 문학적 접근 ...
일상생활에서의 언어교육 및 언어교육의 계획과 통합적 접근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유아에게 적절한 언어교육방법(총체적 언어교육 접근법, 언어경험의 접근법, 균형적 접근법 ...
(총체적언어교육법) 총체적 언어교육법의 방법에 따라 실제 일일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대...
언어의 의미를 정의하시고 유아 언어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
언어의 의미를 정의하고, 유아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서술 [언어의미]
언어교육을 위한 환경 중 교사의 역할 4가지 중 상호작용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중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