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
2.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의 역사
3. 여성근로자의 근무 직종
4. 여성근로자의 임금
5.여성근로자의 승진
6. 여성근로자의 퇴직
7.휴가 및 보육
8.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
9.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희롱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참고문헌
2.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의 역사
3. 여성근로자의 근무 직종
4. 여성근로자의 임금
5.여성근로자의 승진
6. 여성근로자의 퇴직
7.휴가 및 보육
8.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
9.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희롱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참고문헌
본문내용
규정 (1964년)
근로자는 자신이 심리적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고도 자신이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 우리나라 : 남녀고용평등법 상 사업주가 성희롱 예방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
성희롱을 한 사람에게는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었다. (1999년)
3) 현황과 여파
(1) 현황
- 성희롱은 모든 작업환경에서 발생한다.
- 현재 50% 정도가 성희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경우는 87%가 사업장에서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 2000년에 36개의 사업장에서 363건의 성희롱 사건이 노동부에 정식으로 접수되었다.
∴ 우리나라 사업장에서의 성희롱 정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2) 발생 직종에 따른 특징
- 여성이 많은 직종의 경우에 성적 요구를 따르지 않을 때에는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협이 가해진다.
- 남성이 많이 일하는 직종의 여성근로자일 경우에는 성희롱을 더 많이 겪게 된다.
남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여성이 위협함에 따라 보복의 형태로 성희롱이 가해지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3) 여파
① 성희롱이 미치는 영향
- 성희롱은 여성이 자신을 근로자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특히 사회적 지지망이 없을 경우 여성의 고통은 심하다.
- 성희롱은 기업에게 피해를 입힌다.
② 사회복지사의 역할
- 성희롱을 방지하는 교육을 주관하고 실행한다.
-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를 상담하고 그 근로자에게 가장 적절한 대처 방안을 찾아준다.
EX) 수치심 극복, 대인관계 문제 조정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1) 생산직 근로자
- 여성은 생산직에 빠른 속도로 참여하고 있다.
① 생산직의 특징
- 생산직에 근무하는 여성은 반(半)숙련 기계작동자로서 고용된 경우가 많으며 남성근로자 보다 임금이 적다.
- 생산직 여성근로자가 일하는 직종에서는 성 분절 현상이 있다.
EX) 여성은 비(非)내구제 업종에 고용 , 주로 조립라인에 고용
(Andersen, 2000:125-127)
2) 서비스직 여성
- 서비스직은 여성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직종이다.
-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층의 하나이다.
- 서비스직의 특성
① 성 분절이 높게 되어 있다.
EX) 주방근로자, 카운터 근로자는 여성이 75%
보수가 좋은 경찰, 소방관 등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는 남성이 많다.
② 이직율이 높고 파트 타임 고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③ 여성에게는 질이 떨어지는 근무형태일 수 있다.
④ 성에 대한 어떤 기대를 가지냐에 따라서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바가
영향을 미친다. EX) 웨이트리스 - 젊고 섹시할 것이 기대된다.
【 참고 문헌 】
김애령, 남미애, 노병일, 박수경, 윤경아, 이윤화, 조성혜. 2001
여성복지론 서울: 대학출판사
남인순. 1999a. “가정과 여성복지 - 주요 흐름과 향후과제”. 월간 복지동향 12월 :33-37
남인순. 1999b. “갈길 먼 여성인권”. 월간 복지동향 5월 :10-14
박래영. 1997. 대만 싱가포르의 근로자 복지제도: 주택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박봉정수. 2000. “모성보호비용의 사회분담화 그리고 가정과 직장의 양립지원조치.”
월간복지동향 11월: 33-34
심명. 2000. “육아휴직-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월간 복지동향 9월: 34-36
통계청. 2000. “2000년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nso.go.kr/report/-data/ssin2000...
통계청. 1999. “1998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요약): 가족복지노동 부문.”
http"//www.nso.go.kr/report/data/ssss99.htm.
통계청. 1997. 한국의 사회지표 1997. 서울: 통계청.
Alock, P. 1997. Understanding Poverty (2nd ed.) London: MacMillan.
Andersen, M.L. 2000. Thinking about Wome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ex and Gender (5th ed). Needthem Heights, MA: Allyn and Bacon. 2000.
Arnold, J., C. L. Cooper, and I. T. Robertson. 1995. Work Psychology: Understanding Human Behaviour in the Workplace (2nd ed).
근로자는 자신이 심리적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고도 자신이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 우리나라 : 남녀고용평등법 상 사업주가 성희롱 예방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
성희롱을 한 사람에게는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었다. (1999년)
3) 현황과 여파
(1) 현황
- 성희롱은 모든 작업환경에서 발생한다.
- 현재 50% 정도가 성희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경우는 87%가 사업장에서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 2000년에 36개의 사업장에서 363건의 성희롱 사건이 노동부에 정식으로 접수되었다.
∴ 우리나라 사업장에서의 성희롱 정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2) 발생 직종에 따른 특징
- 여성이 많은 직종의 경우에 성적 요구를 따르지 않을 때에는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협이 가해진다.
- 남성이 많이 일하는 직종의 여성근로자일 경우에는 성희롱을 더 많이 겪게 된다.
남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여성이 위협함에 따라 보복의 형태로 성희롱이 가해지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3) 여파
① 성희롱이 미치는 영향
- 성희롱은 여성이 자신을 근로자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특히 사회적 지지망이 없을 경우 여성의 고통은 심하다.
- 성희롱은 기업에게 피해를 입힌다.
② 사회복지사의 역할
- 성희롱을 방지하는 교육을 주관하고 실행한다.
-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를 상담하고 그 근로자에게 가장 적절한 대처 방안을 찾아준다.
EX) 수치심 극복, 대인관계 문제 조정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1) 생산직 근로자
- 여성은 생산직에 빠른 속도로 참여하고 있다.
① 생산직의 특징
- 생산직에 근무하는 여성은 반(半)숙련 기계작동자로서 고용된 경우가 많으며 남성근로자 보다 임금이 적다.
- 생산직 여성근로자가 일하는 직종에서는 성 분절 현상이 있다.
EX) 여성은 비(非)내구제 업종에 고용 , 주로 조립라인에 고용
(Andersen, 2000:125-127)
2) 서비스직 여성
- 서비스직은 여성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직종이다.
-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층의 하나이다.
- 서비스직의 특성
① 성 분절이 높게 되어 있다.
EX) 주방근로자, 카운터 근로자는 여성이 75%
보수가 좋은 경찰, 소방관 등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는 남성이 많다.
② 이직율이 높고 파트 타임 고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③ 여성에게는 질이 떨어지는 근무형태일 수 있다.
④ 성에 대한 어떤 기대를 가지냐에 따라서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바가
영향을 미친다. EX) 웨이트리스 - 젊고 섹시할 것이 기대된다.
【 참고 문헌 】
김애령, 남미애, 노병일, 박수경, 윤경아, 이윤화, 조성혜. 2001
여성복지론 서울: 대학출판사
남인순. 1999a. “가정과 여성복지 - 주요 흐름과 향후과제”. 월간 복지동향 12월 :33-37
남인순. 1999b. “갈길 먼 여성인권”. 월간 복지동향 5월 :10-14
박래영. 1997. 대만 싱가포르의 근로자 복지제도: 주택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박봉정수. 2000. “모성보호비용의 사회분담화 그리고 가정과 직장의 양립지원조치.”
월간복지동향 11월: 33-34
심명. 2000. “육아휴직-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월간 복지동향 9월: 34-36
통계청. 2000. “2000년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nso.go.kr/report/-data/ssin2000...
통계청. 1999. “1998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요약): 가족복지노동 부문.”
http"//www.nso.go.kr/report/data/ssss99.htm.
통계청. 1997. 한국의 사회지표 1997. 서울: 통계청.
Alock, P. 1997. Understanding Poverty (2nd ed.) London: MacMillan.
Andersen, M.L. 2000. Thinking about Wome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ex and Gender (5th ed). Needthem Heights, MA: Allyn and Bacon. 2000.
Arnold, J., C. L. Cooper, and I. T. Robertson. 1995. Work Psychology: Understanding Human Behaviour in the Workplace (2nd ed).
추천자료
가정폭력과 여성복지서비스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정책
종합적 여성복지의 고찰
대한민국 여성복지
특정집단별 여성복지 문제의 특성과 방안
[여성복지론] 가정폭력 현황 및 개선방안 분석
(여성복지론) 미혼모의 개념, 발생요인, 부정적영향, 현황, 대안, 사례 PPT 프레젠테이션
(여성복지론) 미혼모의 개념, 발생요인, 부정적영향, 현황, 대안, 사례 보고서
우리나라 여성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
우리나라 여성복지 정책의 문제점 개선방안
우리나라 여성복지 사업의 활성화 방안
우리나라의 여성복지의 정책과 과제를 논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