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
실험 원리
실험 결과
실험 시 주의사항
실험에 관한 고찰
실험 원리
실험 결과
실험 시 주의사항
실험에 관한 고찰
본문내용
않게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교반기 위에서 이염화메탄을 증발 시킨다. 증발 시키고 남는 물질이 카페인이다. 우리조에서는 카페인 양을 많이 확인 할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처음에 이염화메탄을 너무 많이 넣어주어 계속 용액의 양을 줄이면서 실험을 하였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너무 많이 가열하여 카페인이 승화 해 버렸을 수도 있다. 교반기 위에서 가열하면서 카페인을 추출하는 원리는 이염화메탄과 카페인 간의 끓는점차이이다. 이염화메탄의 끓는점이 카페인보다 낫기 때문에 가열해 주면 이염화메탄이 증발하고 남는 물질이 카페인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실험을 하면서 실험 과정을 몇 몇 생략을 하였는데, 실험 과정대로 온전히 실험을 다 하면 더욱 정량의 카페인을 얻을 수 있을것이다. 생략한 과정으론 홍차를 우려내어 시계접시 위에서 물을 빼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카페인의 수득률을 더욱 높이는 과정이 된다. 또, 마지막에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건조시키는 것인데 무수황산나트륨을 넣게 되면 유기 용매에 남아져 있을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다.
우리가 추출해낸 카페인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녹는점이나 어는점 측정을 하게 되면 실험의 성공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추출해낸 카페인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녹는점이나 어는점 측정을 하게 되면 실험의 성공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