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상평창
2. 의창
3. 사창
4. 자휼전칙에 근거한 진휼청
5. 공굴
6. 오가작통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상평창
2. 의창
3. 사창
4. 자휼전칙에 근거한 진휼청
5. 공굴
6. 오가작통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고 그 댓가인 품삯으로 비용을 충당하여 환자나 돈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주었던 것이다. 즉, 공굴은 행정기관의 형태를 갖추지는 못하였지만, 두레나 향악과 비슷한 지역자조형식의 조직이였다.
6.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은 조선시대에 다섯 집을 1통으로 묶은 호적상의 보조조직을 의미한다. 또한 오가작통법은 1485년 한명회의 건의에 따라 채택되었으며, 조선시대 모든 집들은 다섯 집을 1통으로 하고, 5통을 1리로 하는 보조조직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오가작통법의 주 목적은 범죄자의 색출과 세금징수, 부역에로의 동원등을 위하여 만들어 진 것이나 지역내 같은 통이나 리에 속한 가정들은 상호간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하여 일손을 돕기도 하는 등 복리증진 영역에 있어서도 많은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Ⅲ. 결론
이상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의 특징과 역할 등에 대하여 기술해 보았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국민복지 향상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끊임없이 있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김성이(전)정무직공무원) 저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002.09.30
사회복지개론 김종명, 류한수 외 2명 저 | 양서원 | 2013.03.15
6.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은 조선시대에 다섯 집을 1통으로 묶은 호적상의 보조조직을 의미한다. 또한 오가작통법은 1485년 한명회의 건의에 따라 채택되었으며, 조선시대 모든 집들은 다섯 집을 1통으로 하고, 5통을 1리로 하는 보조조직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오가작통법의 주 목적은 범죄자의 색출과 세금징수, 부역에로의 동원등을 위하여 만들어 진 것이나 지역내 같은 통이나 리에 속한 가정들은 상호간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하여 일손을 돕기도 하는 등 복리증진 영역에 있어서도 많은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Ⅲ. 결론
이상 조선시대 상설구빈기관의 특징과 역할 등에 대하여 기술해 보았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국민복지 향상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끊임없이 있어왔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자료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김성이(전)정무직공무원) 저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002.09.30
사회복지개론 김종명, 류한수 외 2명 저 | 양서원 | 2013.03.15
키워드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특징
조선시대 포도청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일상 생활
조선시대의 체육,개화기 및 일제시대의 체육, 광복이후의 체육
한국교육사(삼국시대, 조선시대, 근대 교육사)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시대 왕과 책사
[역사학] 고려시대,조선시대의 관학과 사학 및 교육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유교관][유교관 성격][유교관과 효사상][유교관과 인권][정산종사 유교관][유교관과 조선시...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사회복지법제론] 우리나라(한국)의 사회복지법의 역사와 흐름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
[교육敎育학개론] 한국교육(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 원시시대 교육, 삼국시대 교육, 고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