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과 책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왕과 책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뭇사람의 입에 구실감이 된\' 이 문제를 덮어 둘 수도 없었다.
끈질긴 언관들의 탄핵 국면 속에서 세조가 내린 결론은 중용이었다. 먼저 한명회의 사퇴의사를 받아들여 삭탈관직 후 유폐하는 조치를 내렸다. \'원근의 의혹을 불러일으킨 죄\'를 처벌한 것이다. 그 다음, 세조는 그들을 다시 복귀시켜 정국을 안정시켰다. 언관들의 말을 받아들이되 국가의 일도 폐하지 않게 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명회의 자진 사퇴다. 세조의 부담을 덜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물러나는 그런 태도로 인해 그의 말년이 편안해졌다.
이상적인 정치형태란 무엇일까? 정치란 집단을 다스리는 행위이기 때문에 집단 구성원의 발전과 행복을 위해 행해져야 된다고 생각한다. 왕은 이러한 정치행위의 최상위에 위치해 있고, 책사는 이러한 왕을 도와 정치가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야한다. 적어도 민주주의라는 이데올로기 안에서 국민들의 힘으로 권력을 쥐어진 자가 정치활동을 수행함으로 국민들의 행복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세종대왕은 민생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고, 한명회는 자신이 모시는 세조를 위해 책사로서의 역할을 역할을 다하였다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1.2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9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