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선시대 왕복 및 왕비복의 유래와 복식 구성
- 면복의 유래
- 면복의 구성
- 면류관(冕旒冠)
- 곤복(袞服)
- 적의(翟衣)
- 하피
- 폐슬(蔽膝)
- 패옥(佩玉)
- 홀(笏)
- 쾌자(快子)
- 전립(戰笠)
**왕비는 혼례시
적관(適觀)에 적의(翟衣)를 입었고, 일반 예복으로는 원삼, 활옷, 당의를 입었다
<혼례시>
-적의
<일반 예복>
-원삼
-활옷
-당의
- 면복의 유래
- 면복의 구성
- 면류관(冕旒冠)
- 곤복(袞服)
- 적의(翟衣)
- 하피
- 폐슬(蔽膝)
- 패옥(佩玉)
- 홀(笏)
- 쾌자(快子)
- 전립(戰笠)
**왕비는 혼례시
적관(適觀)에 적의(翟衣)를 입었고, 일반 예복으로는 원삼, 활옷, 당의를 입었다
<혼례시>
-적의
<일반 예복>
-원삼
-활옷
-당의
본문내용
당나라 때에는 홀은 짧고 두꺼워 구부러지지 않았으니 짧고 두껍기 때문에 사람을 칠 수도 있었다 하고, '송나라 철종은 눈병이 있어서 여러 신하들이 보는 것을 싫어하여 신하들이 홀의 변을 넓게 만들었다'고 하였다.
쾌자(快子)
철릭[帖裏:戰服] 위에 입던 당대(唐代)의 반비(半臂) 계통에서 온 복식의 하나. 답호, 배자(褙子), 몽두리(蒙頭里)라고도 한다. 형태는 소매레シ앞섶이 없고,뒷솔기가 요부(腰部) 이하는 터져있어 일종의 마상의(馬上衣)와 같은 것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상복(喪服)위에 착용하고 또한 신하도 함 께 착용하였는데,후세에 와서 하급군속(下級軍屬) 및 조례의 제복으로서도 착용되어 이것을 전복 또는 전포(戰袍)라고 일컫게 되었다. 근래에는 복건(按巾)과 함께 명절이나 돌날에 어린아이들에게 입히기도 한다.
전립(戰笠)
전립(氈笠)이라고도 하였으며,하예(下隸).여정(輿丁)이 쓰는 것은 벙거지라고 하였다. 전립은 모전(毛氈)으로 만들어 부드럽고 두꺼워서 환촉이 뚫지 못하게 만들었다. 무관은 전립 밑에 준모(駿帽)를 썼는데,그 모양은 위가 뾰족하고 아래는 둥글며 전후 변(辦)이 없는 것으로 무관에 있어서 탕건(宕巾)의 역할을 하였다. 전립에는 패영(貝纓)이 달려 있었고 정자(頂子)에는 상모(象毛)라고 하는 '술'이 달려 있다.
왕비는 혼례시 적관(適觀)에 적의(翟衣)를 입었고, 일반 예복으로는 원삼, 활옷, 당의를 입었다
<혼례시>
적의: 왕비와 왕세자비의 대례복, 공중법복으로 큰머리를 올리고 적관을 입었다.
<일반 예복>
원삼: 원삼에는 황원삼,홍원삼,녹원삼등이 있습니다.
황원삼- 조선말기 황후가 입던 대례복
홍원삼- 조선시대 세자비가 입던 대례복
녹원삼- 공주나 옹주,궁녀,사대부 부녀자들 입던 예복
활옷 : 장삼이라고도 하며 내외 명부의 성장 예복이나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다.
왕후는 황원삼을, 왕비는홍원삼을, 공주는 초록원삼을 입었다.
당의 :
조선시대 妃·嬪· 宮·士大夫의 부인들이 입던 小禮服이다.
겉감은 연두색 緞이나 紗로 하였으며 紅色 안을 넣고 자주색 고름을 달고, 소매 끝에는 창호지를 넣어 만든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기장은 80cm(저고리 길이의 악 3배) 정도로 갈며, 양 옆이 트였는데 아랫도련이 아름다운 곡선을 이루고 있다.
고름을 맬 때는 안에 있는 붉은색 고름과 같이 고를 내어 매었다.
妃·嬪의 경우는 여러 가지 문양을 金箔하고 를 달았으며 首 은 七 花을 썼다.
쾌자(快子)
철릭[帖裏:戰服] 위에 입던 당대(唐代)의 반비(半臂) 계통에서 온 복식의 하나. 답호, 배자(褙子), 몽두리(蒙頭里)라고도 한다. 형태는 소매레シ앞섶이 없고,뒷솔기가 요부(腰部) 이하는 터져있어 일종의 마상의(馬上衣)와 같은 것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상복(喪服)위에 착용하고 또한 신하도 함 께 착용하였는데,후세에 와서 하급군속(下級軍屬) 및 조례의 제복으로서도 착용되어 이것을 전복 또는 전포(戰袍)라고 일컫게 되었다. 근래에는 복건(按巾)과 함께 명절이나 돌날에 어린아이들에게 입히기도 한다.
전립(戰笠)
전립(氈笠)이라고도 하였으며,하예(下隸).여정(輿丁)이 쓰는 것은 벙거지라고 하였다. 전립은 모전(毛氈)으로 만들어 부드럽고 두꺼워서 환촉이 뚫지 못하게 만들었다. 무관은 전립 밑에 준모(駿帽)를 썼는데,그 모양은 위가 뾰족하고 아래는 둥글며 전후 변(辦)이 없는 것으로 무관에 있어서 탕건(宕巾)의 역할을 하였다. 전립에는 패영(貝纓)이 달려 있었고 정자(頂子)에는 상모(象毛)라고 하는 '술'이 달려 있다.
왕비는 혼례시 적관(適觀)에 적의(翟衣)를 입었고, 일반 예복으로는 원삼, 활옷, 당의를 입었다
<혼례시>
적의: 왕비와 왕세자비의 대례복, 공중법복으로 큰머리를 올리고 적관을 입었다.
<일반 예복>
원삼: 원삼에는 황원삼,홍원삼,녹원삼등이 있습니다.
황원삼- 조선말기 황후가 입던 대례복
홍원삼- 조선시대 세자비가 입던 대례복
녹원삼- 공주나 옹주,궁녀,사대부 부녀자들 입던 예복
활옷 : 장삼이라고도 하며 내외 명부의 성장 예복이나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다.
왕후는 황원삼을, 왕비는홍원삼을, 공주는 초록원삼을 입었다.
당의 :
조선시대 妃·嬪· 宮·士大夫의 부인들이 입던 小禮服이다.
겉감은 연두색 緞이나 紗로 하였으며 紅色 안을 넣고 자주색 고름을 달고, 소매 끝에는 창호지를 넣어 만든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기장은 80cm(저고리 길이의 악 3배) 정도로 갈며, 양 옆이 트였는데 아랫도련이 아름다운 곡선을 이루고 있다.
고름을 맬 때는 안에 있는 붉은색 고름과 같이 고를 내어 매었다.
妃·嬪의 경우는 여러 가지 문양을 金箔하고 를 달았으며 首 은 七 花을 썼다.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A+]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비교 고려시대 생활상 외래문화영향 고기음식 김치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한국 조선시대 조경 - 특징과 궁궐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및 사상적 배경 & 궁궐 정원 (...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
[미용예술사] 화장의 기원, 시대별화장_단군신화부터 조선시대까지, 개화기부터 일제시대 이...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
[한국문학개론]조선시대 전기 악장, 시조 - 조선 전기 시대의 배경과 시조 및 악장의 이해
[조선시대 재정] 조선시대의 재무행정 - 세제, 재무기관, 재정의 문란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인사기관, 과거제도, 품계 및 임용제도, 보수...
[조선시대행정조직체계] 조선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