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데이터 및 결과(Data and Result)
2. 결론(Conclusion)
2. 결론(Conclusion)
본문내용
부의 장치로써 입력 시 입력전압이 과해져 마이너스 전류가 항복전압까지 커지게 되면 LD가 Break down이 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미리 전류를 정류하여 넣게되고 그렇기 때문에 입력값이 반파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I를 6.3mA로 맞추고 Ch1을 입력하고 Ch2 출력값을 보면 미세한 진폭이 보이는데 이것은 우리가 확인한 임계전류(=35.8mA)까지 전류가 미치지 못하여 미세한 광출력이 생기는 부분이었다. 이 상태에서 서서히 LD Bias를 증가시키면 전류가 증가하게 되는데 임계전류(=35.8mA)에서부터 급격히 광출력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형태를 I-P 특성곡선으로 확인을 해보았는데 표와 그래프에서 보듯이 역시 35.8mA를 기준으로 증가하기 시작했고 계속 증가를 하면 일정한 기울기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우리조의 실제 결과값은 완전하게 선형적으로 나오진 않았고 이에 대한 오차는 광파워의 안정된 출력을 위해 10~15분정도 구동 후 실험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수치를 측정하는데 민감한 킷트의 변화나 손떨림을 들 수 있다. 좀더 오차를 줄이기위해 많은 노력을 강구해야겠다.
I를 6.3mA로 맞추고 Ch1을 입력하고 Ch2 출력값을 보면 미세한 진폭이 보이는데 이것은 우리가 확인한 임계전류(=35.8mA)까지 전류가 미치지 못하여 미세한 광출력이 생기는 부분이었다. 이 상태에서 서서히 LD Bias를 증가시키면 전류가 증가하게 되는데 임계전류(=35.8mA)에서부터 급격히 광출력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형태를 I-P 특성곡선으로 확인을 해보았는데 표와 그래프에서 보듯이 역시 35.8mA를 기준으로 증가하기 시작했고 계속 증가를 하면 일정한 기울기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우리조의 실제 결과값은 완전하게 선형적으로 나오진 않았고 이에 대한 오차는 광파워의 안정된 출력을 위해 10~15분정도 구동 후 실험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수치를 측정하는데 민감한 킷트의 변화나 손떨림을 들 수 있다. 좀더 오차를 줄이기위해 많은 노력을 강구해야겠다.
추천자료
TBA의 측정
실험 6. 결정장갈라짐에너지의 측정
실험1 이중실틈에 의한 간섭 실험2 단일거울에의한 간섭 실험3 이중거울에의한 간섭
[유체역학실험] 레이놀즈 수 측정 실험, 실험 목적, 방법, 결과, 고찰
(결과) Enzyme activity에 대한 온도의 영향
[Display 공학] TFT-LCD실험, AMOLED의 유기재료로 박막증착하여 특성비교 (PEDOT:PSS, PDY-132)
[실험] (결과) 자동차 풍동실험 : 에어터널 안을 흐르는 풍동을 이용, 차량모델의 외부유동을...
[전자 회로 실험] (결과) 실험 02 : 제너 다이오드의 특성
[전자전기설계실험 3] (결과) 다이오드 회로 Diode Circuit (Basic Circuit Analysis) : Dido...
방사선계측실험 (결과) - 베타선 최대에너지 측정 (베타선 최대에너지 측정)
실험보고서 - 다니엘 전지 결과 보고서
물리화학실험 -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약산의 평형상수 결정
[분석화학실험]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측정 : 질소오염 초기 형태인 암모니아성 질소를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