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장애인 가족
1 장애인 가족의 이해
2 장애인 가족의 지원
3 성인중도장애인가족
1 장애인 가족의 이해
2 장애인 가족의 지원
3 성인중도장애인가족
본문내용
장애인 가족
1. 장애인 가족의 이해
• 장애인 가족이란?
: 장애를 가진 성원이 1명 이상 있는 가족
• 장애인뿐만 아니라 가족성원 전체가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과 갈등을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음.
1. 장애인 가족의 현황
≪ 표 ≫
• 1차 장애범주 확대(2000.1) – 뇌병변, 발달, 정신, 신장, 심장장애 추가
• 2차 장애범주 확대(2003.7) – 호흡기, 간, 안면, 장루 요루, 간질장애 추가
• 1997~2007년 10년간 장애인 등록 수
: 5배로 크게 증가함
1. 장애인 가족의 현황
(1) 장애인 가구 출현율
≪ 표 ≫
• 장애인 가구는 전체가구의 12.3% (8가구당 1가구)
• 중소도시 + 읍면지역의 장애인 가구 수
= 전체 장애인 가구의 절반 이상
≪ … 중 략 … ≫
2. 장애인 가족의 지원
1. 장애인가족 지원의 법적 근거
2. 정부지원 서비스
3. 민간지원 서비스
1. 장애인가족 지원의 법적근거
• 영역: 보호조치
경제적 지원
교육적 지원
재활상담 및 입소조치
장애아동 입양
장애발생 예방
• 주관: 보건복지부 / 교육인적자원부
• 특징: 교육, 의료, 복지 분야 -> 장애아동 중심
2. 장애인가족 정부지원 서비스
1) 경제적 지원 서비스
● 장애인 본인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인 경우
-중증장애인인 경우 : 월 13만원 지원
-차상위계층 중증장애인인 경우 : 월 12만원 지원
-경중장애인은 : 월 3만원 지원
● 장애아동을 부양하고 있는 경우
-중증장애아동인 경우 : 월 20만원
-차상위계층 중증장애아동인 경우 : 월 15만원
-경증장애아동인 경우 : 월 10만원
● 장애수당과 장애아동부양수당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 국한되어 실시
따라서 직접적인 소득보장시책이 매우 미흡한 현실
1. 장애인 가족의 이해
• 장애인 가족이란?
: 장애를 가진 성원이 1명 이상 있는 가족
• 장애인뿐만 아니라 가족성원 전체가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과 갈등을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음.
1. 장애인 가족의 현황
≪ 표 ≫
• 1차 장애범주 확대(2000.1) – 뇌병변, 발달, 정신, 신장, 심장장애 추가
• 2차 장애범주 확대(2003.7) – 호흡기, 간, 안면, 장루 요루, 간질장애 추가
• 1997~2007년 10년간 장애인 등록 수
: 5배로 크게 증가함
1. 장애인 가족의 현황
(1) 장애인 가구 출현율
≪ 표 ≫
• 장애인 가구는 전체가구의 12.3% (8가구당 1가구)
• 중소도시 + 읍면지역의 장애인 가구 수
= 전체 장애인 가구의 절반 이상
≪ … 중 략 … ≫
2. 장애인 가족의 지원
1. 장애인가족 지원의 법적 근거
2. 정부지원 서비스
3. 민간지원 서비스
1. 장애인가족 지원의 법적근거
• 영역: 보호조치
경제적 지원
교육적 지원
재활상담 및 입소조치
장애아동 입양
장애발생 예방
• 주관: 보건복지부 / 교육인적자원부
• 특징: 교육, 의료, 복지 분야 -> 장애아동 중심
2. 장애인가족 정부지원 서비스
1) 경제적 지원 서비스
● 장애인 본인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인 경우
-중증장애인인 경우 : 월 13만원 지원
-차상위계층 중증장애인인 경우 : 월 12만원 지원
-경중장애인은 : 월 3만원 지원
● 장애아동을 부양하고 있는 경우
-중증장애아동인 경우 : 월 20만원
-차상위계층 중증장애아동인 경우 : 월 15만원
-경증장애아동인 경우 : 월 10만원
● 장애수당과 장애아동부양수당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 국한되어 실시
따라서 직접적인 소득보장시책이 매우 미흡한 현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장애인 가족들을 위한 가족모임 계획서
성인 지적 장애인의 올바른 성인식 확립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가족복지론)가족의 문제와 해결 - 장애인 가족
[가족복지론] 발달장애인 및 발달장애 아동 가족
장애인의 사회적응을 위한 가족역량 강화 프로그램
장애가족지원의 목적, 생애주기에 따른 장애인 가족의 욕구,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 장애...
문제를 갖고 있는 주변의 이웃 또는 가족 (예를 들어, 노인, 장애인, 학생, 취업준비생, 질병...
[특수교육] 특수아동의 성인기 준비 방법 및 장애인의 성인기
(프로그램) 성교육을 통한 정신지체 청소년의 올바른 성인식 확립 프로포절 - 사과 장애인 종...
지적장애인 가족사례 (지적장애인, 가족치료, 가족상담사례, 지적장애인교육, 이론적 배경)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정신장애에 대한 가족의 이해 - 정신장애에 대한 가족의 반응, 정신...
장애인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장애인 가족들도 장애인 수당을 장애인 당사자를 위하여 사용할 ...
정부, 사회, 가족 중에서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책임을 맡고 있는 영역은 어...
장애인의 성발달단계와 성교육 - 장애아동 장애청소년 성인장애인의 성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