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수리,대여 전문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사업 개요, FIX, 창업 동기, 기획배경, 서비스 설명, SWOT분석, 마케팅 전략 수립, 향후비전, 사업 확장 계획, 해외 진출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전거 수리,대여 전문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사업 개요, FIX, 창업 동기, 기획배경, 서비스 설명, SWOT분석, 마케팅 전략 수립, 향후비전, 사업 확장 계획, 해외 진출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업개요

2. FIX란?

3. 창업동기 및 기획배경

4. 서비스 설명

5. SWOT 분석

6. 경쟁회사 현황

7. 마케팅 전략 수립
1) 자전거 동호회와 연계한 마케팅 전략
2) 어플리케이션 제작 런칭
3) 인쇄 매체 광고 홍보
4) 정부 관공서 등을 이용한 홍보.
5) 각종 경기 및 대회 스폰서로 참여

8. 향후비전과 사업확장계획

9. 해외 진출전략

본문내용

지사배 박달재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충청북도 제천시주관 : 제천시자전거협회, 국민생활체육전국자전거연합회
퍼레이드
제6회 태백 함백산 연합 라이딩
주최 : 태백시주관 : 태백엠티비
MTB
제5회 태행산 청송군수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청송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로드/MTB
제22회 문체부장관기 홍천 며느리재 전국 자전거 대회
주최 : 국민생활체육회주관 : 홍천군생활체육회, 국민생활체육전국자전거연합회
MTB
제5회 소백산 힐클라임 대회
주최 : 중부매일, 단양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협회
로드/MTB
2013 F1스피드 전국 자전거 대회
주최 : 전라남도 영암군주관 : 더바이크
개인도로
KBS배 양양투어 마스터즈 사이클 대회
대한사이클연맹
MTB
제14회 280랠리
주최 : 전국 MTB동호인주관 : 280랠리위원회
MTB
제2회 함양군수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함양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개인도로
8.15 경축 양양투어 마스터즈 사이클 대회
대한사이클연맹
힐클라임
제11회 대관령 국제 힐클라이밍 대회
주최 : 강원도 강릉시주관 : 대관령국제힐클라임대회
MTB
제4회 구미새마을 전국 MTB 챌린지 대회
주최 : 구미시자전거연합회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MTB
제7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금산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MTB
2013 장성 축령산 챌린저 대회 및 초청 팸투어
주최 : 장성군체육회주관 : 한국산악자전거협회
MTB
2013 용평리조트배 산악자전거 페스티벌
주최 : 용평리조트주관 : 한국산악자전거협회
MTB
2013 양양송이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양양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협회
개인도로
KCF 마스터즈 그랑프리(장소미정)
대한사이클연맹
로드/MTB
2013 횡성 낭만의 코스모스길 자전거 페스티벌
주최 : 횡성군 생활체육회, 횡성군 자전거연합회주관 : 더바이크, 횡성군자전거연합회
MTB
제4회 무궁화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완주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MTB
제16회 춘천시장배 전국 MTB 강촌 챌린저 대회
주최 : 춘천시, GS건설주관 : 한국산악자전거협회
MTB
제15회 상주시장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상주시주관 : 한국산악자전거협회
힐클라임
2013 영주 축령 힐클라임 전국 자전거 대회
주최 : 영주MTB주관 : 영주MTB, 전국자전거연합회, 더바이크
MTB
제3회 용인랠리
주최 : 용인산악자전거협회주관 : 용인산악자전거협회
퍼레이드
제3회 희망 자전거 대축제
주최 : 대한지적공사주관 : 더바이크
MTB
2013 단양군수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단양군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MTB
동두천 제7회 왕방산 국제 MTB대회
주최 : 동두천주관 : 국민생활체육자전거연합회
MTB
제14회 대통령배 전국 산악자전거 대회
주최 : 울산광역시주관 : 한국산악자전거연맹
8. 향후비전과 사업확장계획.
- 비전 2020.

- 국내 자전거이용자 700만 시대를 책임질 국내 최대의 초일류 자전거브랜드 : 2020년까지 국내 점포 수 100개 이상, 해외진출 목표!
1) 국내 주요 자전거 여행루트들을 시작으로 하여 지방 중소도시까지 지점 확대.
2) 사업 다각화 및 해외 관련사(튜닝,부품 관련)와의 제휴 체결.
3) 국내 자전거 문화의 대표 브랜드, 중국 일본등 해외 진출.
자전거 수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자체 브랜드 자전거상품 제작 및 판매
그 동안의 수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needs를 파악하여 새로운 자전거 관련 상품 및 기존 제품을 개량한 자체 브랜드 상품 생산예정.
ex) 헬멧, 장갑, 안전등, 케이지
2. 고급자전거의 튜닝 및 커스텀 : 요즘 들어 수요가 급증하는 고급형 자전거들의 해외 구매 대행 및 튜닝, 커스텀 대행. 해외 관련 회사들과 제휴를 맺어 믿을 수 있고 정확한 견적서 산출로 고객에게 가격에 대한 믿음을 주고 매니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서비스로 수익이 클 것으로 예상됨.
3. 공공 자전거대여서비스 운영 : 편의점의 네트워크와 직접관리의 용이성을 이용하여 공공부문의 실패이유였던 파손과 분실 최소화.
파리의 공공자전거의 성공케이스
우리나라에 공공자전거 제도 도입. but 현재 일산과 창원 대전 등의 도시에서 공공자전거가 시행중, 대전등 몇몇 곳을 제외하고는 사용율이 극히 저조하고 예상외로 시민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 이유 - 자전거 주차장간의 간격, 빌리고 반납하기의 불편, 또한 자전거의 고장과 파손 도난 등도 큰 문제라고 한다. 무인으로 운용되는 공공자전거 시스템의 한계점. - 해결책 : 민간사기업에서 좀 더 경쟁력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운영. 현재 국내 편의점은 3만 개 이상. 지금도 계속 확장중이니 확실한 네트워크를 구축, 점포에서 자전거를 직접 관리로 도난이나 분실과 같은 문제해결. 친환경 기업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
9. 해외 진출전략
우리나라보다 훨씬 자전거 수요가 많은 중국과 일본을 겨냥.
- 중국은 자전거 생산량·판매량·수출이 글로벌 1위를 점하고 있지만, 1인당 보유량은 선진국 대비 낮음.
- 중국은 2.6명당 1대의 자전거, 일본은 1.7명당 1대를 보유함. 총인구가 1600만 명인 네덜란드의 자전거 보유량은 1700만 대에 달함.
- 현재 중국 자전거 사용자는 약 4억5000만 명, 자전거 보유량은 6억5000만 대 가량임.
- 통계에 따르면 베이징시 자전거 보유량은 1300만 대이고 자전거 연평균 판매량은 100만 대를 초과함.
- 상하이의 비동력 차량 보유량은 1000만 대이고 그 중 60%는 자전거로 높은 사용률을 보임
중국의 경우 자전거 수리가 매우 영세하고 열악해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충분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됨.
일본의 경우
자전거 등록이 시행될 정도로 생활 속에 자전거가 깊게 자리 잡았으며,
인 당 자전거 보유율 가장 높다. 1억 2,765만 인구에 자전거 보유대수가 8,665만대이니 1.5인에 한 대 꼴이다.
제품군도 다양하다. 하지만 다품종 소량 생산에 특화되어 있어 기본적인 수리나 일상적인 점검 류에서는 충분히 시장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4,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1.07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