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공학] 내진설계법에 관해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공학] 내진설계법에 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내진설계법

1 서 언

Ⅱ. 내진 설계
1. 내진 설계의 개념
2. 내진 설계에 사용되는 해석 방법
2.1 등가정적해석법(STATIC EQUIVALENT FORCE ANALYSIS)
2.1.1 등가정적 해석법의 장단점
2.2 동적해석법(DYNAMIC ANAIYSIS)
2.2.1 모드해석법
3. 등가정적해석에 의한 내진구조 해석 방법
3.1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 지정
3.2 설계하중
3.3 등가정적해석법의 적용
3.4 밑면 전단력의 산정
3.5 지역계수
3.6 중요도계수
3.7 동적계수 및 기본진동주기
3.8 지반계수
3.9 반응수정계수
3.10 건축물의 중량
3.11 층지진하중의 산정
3.12 층전단력
3.13 비틀림 모멘트
3.14 전도 모멘트
3.15 층간변위
3.17 건축물의 골조에 정착되는 비구조부재 및 건축설비의 내진설계시 조치사항.
4. 내진 구조계산의 기본요령
4.1 일반사항
4.2 구조 평면도 및 단면도
4.3 설계하중
4.4 구조해석 (FRAME ANALYSIS)
4.5 부재 설계 (MEMBER DESIGN)

Ⅲ. 내진 진단 기준과 보강
1. 지진피해의 종류
1.1 지반의 부동침하와 경사
1.2 지반의 액상화
1.3 진동에 의한 RC구조 부재의 피해
1.3.1 기 둥
1.3.2 보
1.5 기타 지진피해의 증폭 요인
2. 내진성능 진단˙평가
2.1 내진성능 진단 및 판정기법
2.1.1 개 념
2.1.2 내력 회복율
2.2 내진성능 판정
2.2.1 강 도
2.2.2 인 성
2.2.3. 판 정

3. 건축물의 내진보강공법
3.1 보강목적 및 특성
3.1.1 강도 상승
3.1.2 인성 향상
3.1.3 기 타
3.2 내진보강공법의 종류와 특성
3.2.1. 내진벽
3.2.2. 날개벽의 증설
3.2.3 기둥의 보강
3.2.4 기 타

Ⅳ 결 언

본문내용

지진에 대해서 안전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Is ≥ Et (안전)
여기서, Et 는 과거 지진시에 건물의 피해˙무피해와 내진성능지표와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하고 지진응답해석 결과등을 근거로 정하며 예상되는 지진규모, 지반조건, 지반진동 특성, 건물의 중요도, 건물층수, 파괴모드(휨형,전단형) 등 제반조건을 고려한다.
다음그림은 지반가속도가 250gal(cm/sec2) 정도였던 일본의 十勝沖지진(M=7.9), 宮城縣지진(M=7.4)과 伊豆大雁근해지진(M=7.0)시의 피해건물과 무피해건물의 2차 Is 를 나타낸 것으로, 피해건물에 대해서는 띠장방향과 도리방향 중에서 피해를 입은 방향의 Is (2차)값을 나타내고 있고 무피해건물에 대해서는 2방향 중에서 값이 작은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7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7. 피해 및 무피해건물의 I (2차)값
▶ I ≤0.4:대파, 중파가 많다.
▶ 0.4≤I ≤0.6:대파, 중파가 있지만 무피해
▶ 0.6≤I ≤0.8:대부분이 무피해건물이다.
▶ I ≥0.8:모두 무피해이다.
표1. 진단에 의한 보강등급 판정의 예 등급
등급
조건
판정
I
Is > Et
보강대상이 아님
II
Er > Id > 2/3Er
원칙은 보강대상이 아님. 다만, 예상하는 강도의 지진동에대해서 피해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파괴형식을 검토하고 붕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는 보강이 필요하다
III
2/3Er > Is >= 1/3Er or Is >= 0.3
원칙은 보강대상이다. 다만, 보다 정밀한 진단에 의해 붕괴의 위험성이 없다고 예상되는 경우에는 보강대상에서 제외한다

Is < 1/3Er
or Is < 0.3
보강 또는 개축대상이다
도표에 의해 I (2차)값이 0.6 정도 이상이면 250~300gal 정도의 지진에 대해서 대체로 안전측에 있다고 볼 수 있고, I (2차)값이 0.4 이하인 경우는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며 Is (2차)가 0.7~0.8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표1은 일본 건축방재협회의 "내진진단기준"에 의한 학교건물의 2차, 3차진단을 통한 판정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3. 건축물의 내진보강공법
건축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행하는 내진보강공법은 다음과 같이 강도상승형, 인성(변형능력) 향상형과 혼합형(강도+인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1 보강목적 및 특성
3.1.1 강도 상승
내진벽, 날개벽, 브레이스를 증설하여 건축구조물의 수평력에 대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내진벽 증설공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전체 80% 이상을차지하고 있다.
3.1.2 인성 향상
기둥과 보등에서 전단파괴가 예측되는 부재에는 전단보강을 실시하여 상대적으로 휨 항복이 되도록 하는 방법 즉, 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자주 이용하는데 용접철망, 강판 등으로 보강하고 콘크리트와 모르터로 일체화한다. 단면이 증가하기 때문에 휨 내력이 증가하고, 내력이 향상되는 것도 있지만, 기둥 보강의 경우는 극취성 기둥의 단주화를 막고, 인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허리벽 및 내림벽과 기둥 사이를 끊어서 틈(Slit)을 성형한다. 이 경우 내력은일반적으로 저하된다.
3.1.3 기 타
▶ 건물 중량 감소:수평 전단력의 감소 효과
▶ 보강골조의 중량 증가에 대책:기초보강
3.2 내진보강공법의 종류와 특성
3.2.1. 내진벽
기존 골조내에 신설 내진벽을 설치하거나(증설내진벽), 기존 내진벽의 두께를 늘려(덧침벽) 주로 보유내력을 향상시켜 건물의 내진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기둥의 취성파괴가 예측되는 경우에는 기존 벽의 개구부를 콘크리트 벽으로 폐쇄해서 내진벽을 만드는 보강법도 있다.
일반적으로 내진벽은 강도저항형의 내진요소로, 높은 강성과 큰 전단내력을 보유하는 반면, 변형능력이 약하다는 역학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내진벽 보강은 극한강도가 작은 기존 건물을 벽으로 보강하여 벽의 전단력을 증가시켜서 강도만으로 지진에 저항할 수 있는 「강도저항형」 건물을 만들 경우에만 사용한다.
3.2.2. 날개벽의 증설
내진벽으로 취급할 수 없는 비교적 작은 벽판, 즉 날개벽을 기둥의 한쪽 또는 양측에 덧붙여서 기둥의 강도 또는 골조의 인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이 공법에는 기존 기둥의 후프근을 잘라낸 후, 날개벽의 횡근을 용접하여 기존 골조와의 일체성을 도모하는 공법과 공기단축을 꾀하고자 매입식 앵커를 사용하여 날개벽을 용접하는 공법 및 앵커 철물 등을 이용해서 프리캐스트 판을 날개벽 형태로 설치하는 공법 등이 있다.
기둥 전단파괴형의 골조에 날개벽을 증설해서, 기둥의 내력을 증대시켜, 골조를 휨보지배형의 붕괴형으로 하면, 내력과 변형성능 모두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날개벽을 증설하면 골조의 수평강성이 증대되어 건물의 강성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3.2.3 기둥의 보강
벽이 적고 주로 기둥으로 구성된 건물을 대상으로 한다. 건물의 용도상 벽의 증설이 곤란한 경우에 기둥을 보강해서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공법이다. 구체적인 적용대상으로는 기둥의 전단내력이 부족한 건물과 허리벽, 내림벽과 같은 잡벽이 있어 동일층의 기둥강성이 불균등한 건물 및 기둥에 큰 내력과 변형능력이 필요한 필로티 형식의 건물을 생각할 수 있다.
3.2.4 기 타
▶ 철골 브레이스, 철골 패널에 의한 보강
▶ 기초 및 지반의 보강
그림8. 여러가지 내진보강공법의 예
Ⅳ 결 언
근래에 발생한 일본의 지진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의 피해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내진설계에 큰 관심을 기지게 된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 아닌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의 지진피해를 거울삼아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대도시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의 피해는 막대하게 될 수 있으므로 내진설계는 설계지진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지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다 합리적인 내진설계가 이루어 지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아울러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이전에 설계˙시공되고 현재 사용중인 건물에 대해서 내진성능을 진단하고 필요하다면 보강하여야 한다.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1.1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