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1-1 운동 역학의 정의
1-2 운동 역학의 본질과 범위
1-3 운동 역학의 목적
◉본 론
2-1 관성의 법칙과 원리
2-2 가속도의 법칙과 원리
2-3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원리
2-4 운동 역학적 분석
◉결 론
3-1 운동 역학에 의한 지도 방법
1-1 운동 역학의 정의
1-2 운동 역학의 본질과 범위
1-3 운동 역학의 목적
◉본 론
2-1 관성의 법칙과 원리
2-2 가속도의 법칙과 원리
2-3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원리
2-4 운동 역학적 분석
◉결 론
3-1 운동 역학에 의한 지도 방법
본문내용
때 손에 작용한 전체 마찰력의 합성모멘트
①체중
체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크기는 늘 일정하지만 작용선은 실시자의 흔들기에 따라 늘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봉을 축으로 한 실시자 체중의 모멘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작용선이 봉을 통과할 때 모멘트는 0이 된다. 체중 모멘트의 방향도 스 윙을 하는 동안 항상 변한다. 밑으로 내려오는 흔들기에서는 실시자가 움직이고 있 는 방향과 일치한다. 그래서 봉밑이나 다른 쪽 위로 스윙이 될 때는 모멘트가 0으 로 감소되며 반대방향에서는 증가하게 된다.
②구심성분
구심력의 기본 기능은 운동방향을 반복하여 변화시킴으로서 실시자의 무게중심이 곡선경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구심력의 크기는 0에서부터 매우 큰 값으로 변 화한다.
③접선성분
봉의 반작용력의 접선성분은 편심력으로서 신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속시키며 무게중심을 추로 한 각운동을 가속하게 한다.
④모멘트
철봉에서 흔들기를 할 때 손은 신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성질을 봉이 손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반대방향이다. 마찰력은 손가락의 길 이를 약간 늘리는 효과와 또 봉을 감싸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잡 기가 앞으로 흔드는 스윙에서 아주 안전하게 잡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반 대방향으로 흔들기를 할 때는 그 결과도 반대로 나타나며 봉에서 손이 풀어지게 된 다. 앞으로 흔들기에서 엎어 잡기는 매우 주의를 하여야한다.
⑤공기저항
공기저항은 매우 작아 무시해도 좋을 정도이다.
(2)기술
①크게 흔들기
운동을 시작할 때 맨 처음 흔드는 방법이 크게 흔들기이다. 봉보다 약간 뒤에서 선 자세로 뛰어올라 바로 잡기를 한다. 봉을 잡을 때 중심이 바보다 뒤에 있기 때문에 몸이 자연히 앞으로 흔들린다. 따라서 백 스윙의 끝 무렵에 팔을 끌어당기고 가슴 을 봉에 가깝게 붙이는 동시에 힘을 써서 몸이 아치가 되도록 한다.
②한 다리 걸어 오르기
초보자가 봉 위로 오르는 가장 쉬운 기술일 것이다. 이 동작은 몸을 젖혀 아치가 되게 하여 앞뒤로 흔들어 시작한다. 흔들기가 앞에서 거의 끝날 무렵 재빨리 근 관 절을 굽히고 두 다리를 봉에 가깝게 가져가 양 팔 사이로 한 다리를 넣는다. 이러 한 동작을 관성모멘트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앞으로 흔들 때보다 더 빨리 뒤로 흔 들게 되는 원인이 된다.
③앞 차오르기
Piking 동작을 한 후 뒤로 흔들기에서 중심이 봉 미틀 통과할 때 두 파로 봉을 끌 어 밀어내리고 엉덩이를 편다. 이렇게 하여 실시자의 중심이 봉쪽으로 올라가게 되 며 관성모멘트는 더욱 줄어들고 그 결과 회전이 계속되어 두 팔로 봉을 버틴 자세 가 된다.
④뒤 차오르기
차 오르기에 속하는 뒤 차오르기는 앞 차오르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작한다. 뒤로 흔들기에서 두 다리가 봉 뒤로 왔을 때 두 발을 양손사이로 집어넣어 대퇴부가 신 체에 가깝도록 고관절을 굴곡 시킨다. 하나는 전신을 봉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 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몸통 운동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힘은 적당히 작용함으로서 두 다리는 거의 고 정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⑤양 팔 버티고 뒤돌기
철봉 운동의 기초 기술중의 하나이다. 양손으로 봉을 쥐고 버티어 중심이 봉 위에 수직으로 된 자세로 시작한다. 양다리를 앞뒤로 흔들고 이때 엉덩이를 봉에 접촉시 킨다.
⑥양 팔 버티고 앞돌기
앞으로 양 팔 버틴 자세에서 신체 중심이 봉 앞으로 움직여 회전하도록 앞뒤로 흔 든다. 몸이 아래로 회전하여 머리가 봉 밑을 통과할 때 엉덩이를 강하게 굴곡시키 어 머리와 어깨가 더욱 빨리 돌도록 한다.
⑦흔들어 뒤 오르기
높은 앞 흔들기 다음에 봉 밑으로 백 스윙이 될 때 팔로 강하게 당겨 누른다. 이러 한 동작에 대한 각 운동의 반 작용력은 엉덩이를 봉쪽으로 아주 가깝게 끌어당기게 되어 뒤 휘돌기와 같은 다음 동작의 준비 자세를 하도록 봉에 엉덩이가 접촉되는 동작을 보통 백 스윙보다 신체 중심을 봉에 가깝게 당기는 제한된 백 스윙을 하므 로 용이하게 된다.
⑧뒤 휘돌기
밀어내는 동작은 봉을 잡고 있는 두 손을 봉의 꼭대기에 더욱 가깝게 옮겨 잡음으 로써 일어나게 된다. 손을 옮겨 잡는 것이 이상적인 것은 각 운동을 하는데 필요한 구심력과 축을 향하여 작용하는 신체의 중량 요인이 동일할 때이다.
⑨앞 휘돌기
순간적인 물구나무서기 자세로부터 팔을 위로 뻗으며 머리를 앞으로 굽혀서 중심을 봉 앞으로 떨어뜨린다. 흔들기가 내려갈 때는 몸은 완전히 펴서 가능한 한 운동에 너지를 증가시키고 흔들기가 가장 밑으로 내려올 때 엉덩이를 약간 굽힌다.
⑩내리기 철봉의 끝 동작인 내리기는 세 가지 동작으로 분석될 수 있다. 즉 릴리스, 비행, 착지이다.
3-1운동 기능 분석
정상급 선수들의 운동 수행 능력을 관찰하면, 우수한 경기력을 발휘할 때의 속도,리 듬, 파워, 신체 자세 및 기타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것들은 운동기술의 움직임 패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엘리트 선 수들의 운동수행과정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비디오 테이프를 관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경우, 엘리트 선수들의 운동기능을 정상 속도 및 느린 동작으로 반복 해서 관찰할 수 있다. 체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엘리트 선수들의 운동기술은 대부 분이 공통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엘리트 선수들은 동일한 방법으로 그들의 체중을 이동시키고 근육을 유사하게 연 계적으로 가동시킨다. 엘리트 선수들의 이러한 공통적 양상은 그들이 운동 역학적 지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받았기 때문이다. 즉, 엘리트 선수들 모두는 운동수행과정에서 운동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힘, 속도, 스핀 등을 발휘 할 수 있는 동작을 코치로부터 공통적으로 지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적 양상들을 체형, 체격, 성장에 관계없이 철저하게 지도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원리들은 다른 모든 스포츠의 운동기능에서도 적용된다. 정상급 선수들 은 철저한 역학적 원리에 근거하여 훌륭한 운동기능을 구사하기 때문에 선수들을 지도 할 때 좋은 본보기가 된다.
①체중
체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크기는 늘 일정하지만 작용선은 실시자의 흔들기에 따라 늘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봉을 축으로 한 실시자 체중의 모멘트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작용선이 봉을 통과할 때 모멘트는 0이 된다. 체중 모멘트의 방향도 스 윙을 하는 동안 항상 변한다. 밑으로 내려오는 흔들기에서는 실시자가 움직이고 있 는 방향과 일치한다. 그래서 봉밑이나 다른 쪽 위로 스윙이 될 때는 모멘트가 0으 로 감소되며 반대방향에서는 증가하게 된다.
②구심성분
구심력의 기본 기능은 운동방향을 반복하여 변화시킴으로서 실시자의 무게중심이 곡선경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구심력의 크기는 0에서부터 매우 큰 값으로 변 화한다.
③접선성분
봉의 반작용력의 접선성분은 편심력으로서 신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속시키며 무게중심을 추로 한 각운동을 가속하게 한다.
④모멘트
철봉에서 흔들기를 할 때 손은 신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성질을 봉이 손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반대방향이다. 마찰력은 손가락의 길 이를 약간 늘리는 효과와 또 봉을 감싸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잡 기가 앞으로 흔드는 스윙에서 아주 안전하게 잡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반 대방향으로 흔들기를 할 때는 그 결과도 반대로 나타나며 봉에서 손이 풀어지게 된 다. 앞으로 흔들기에서 엎어 잡기는 매우 주의를 하여야한다.
⑤공기저항
공기저항은 매우 작아 무시해도 좋을 정도이다.
(2)기술
①크게 흔들기
운동을 시작할 때 맨 처음 흔드는 방법이 크게 흔들기이다. 봉보다 약간 뒤에서 선 자세로 뛰어올라 바로 잡기를 한다. 봉을 잡을 때 중심이 바보다 뒤에 있기 때문에 몸이 자연히 앞으로 흔들린다. 따라서 백 스윙의 끝 무렵에 팔을 끌어당기고 가슴 을 봉에 가깝게 붙이는 동시에 힘을 써서 몸이 아치가 되도록 한다.
②한 다리 걸어 오르기
초보자가 봉 위로 오르는 가장 쉬운 기술일 것이다. 이 동작은 몸을 젖혀 아치가 되게 하여 앞뒤로 흔들어 시작한다. 흔들기가 앞에서 거의 끝날 무렵 재빨리 근 관 절을 굽히고 두 다리를 봉에 가깝게 가져가 양 팔 사이로 한 다리를 넣는다. 이러 한 동작을 관성모멘트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앞으로 흔들 때보다 더 빨리 뒤로 흔 들게 되는 원인이 된다.
③앞 차오르기
Piking 동작을 한 후 뒤로 흔들기에서 중심이 봉 미틀 통과할 때 두 파로 봉을 끌 어 밀어내리고 엉덩이를 편다. 이렇게 하여 실시자의 중심이 봉쪽으로 올라가게 되 며 관성모멘트는 더욱 줄어들고 그 결과 회전이 계속되어 두 팔로 봉을 버틴 자세 가 된다.
④뒤 차오르기
차 오르기에 속하는 뒤 차오르기는 앞 차오르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작한다. 뒤로 흔들기에서 두 다리가 봉 뒤로 왔을 때 두 발을 양손사이로 집어넣어 대퇴부가 신 체에 가깝도록 고관절을 굴곡 시킨다. 하나는 전신을 봉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 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몸통 운동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힘은 적당히 작용함으로서 두 다리는 거의 고 정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⑤양 팔 버티고 뒤돌기
철봉 운동의 기초 기술중의 하나이다. 양손으로 봉을 쥐고 버티어 중심이 봉 위에 수직으로 된 자세로 시작한다. 양다리를 앞뒤로 흔들고 이때 엉덩이를 봉에 접촉시 킨다.
⑥양 팔 버티고 앞돌기
앞으로 양 팔 버틴 자세에서 신체 중심이 봉 앞으로 움직여 회전하도록 앞뒤로 흔 든다. 몸이 아래로 회전하여 머리가 봉 밑을 통과할 때 엉덩이를 강하게 굴곡시키 어 머리와 어깨가 더욱 빨리 돌도록 한다.
⑦흔들어 뒤 오르기
높은 앞 흔들기 다음에 봉 밑으로 백 스윙이 될 때 팔로 강하게 당겨 누른다. 이러 한 동작에 대한 각 운동의 반 작용력은 엉덩이를 봉쪽으로 아주 가깝게 끌어당기게 되어 뒤 휘돌기와 같은 다음 동작의 준비 자세를 하도록 봉에 엉덩이가 접촉되는 동작을 보통 백 스윙보다 신체 중심을 봉에 가깝게 당기는 제한된 백 스윙을 하므 로 용이하게 된다.
⑧뒤 휘돌기
밀어내는 동작은 봉을 잡고 있는 두 손을 봉의 꼭대기에 더욱 가깝게 옮겨 잡음으 로써 일어나게 된다. 손을 옮겨 잡는 것이 이상적인 것은 각 운동을 하는데 필요한 구심력과 축을 향하여 작용하는 신체의 중량 요인이 동일할 때이다.
⑨앞 휘돌기
순간적인 물구나무서기 자세로부터 팔을 위로 뻗으며 머리를 앞으로 굽혀서 중심을 봉 앞으로 떨어뜨린다. 흔들기가 내려갈 때는 몸은 완전히 펴서 가능한 한 운동에 너지를 증가시키고 흔들기가 가장 밑으로 내려올 때 엉덩이를 약간 굽힌다.
⑩내리기 철봉의 끝 동작인 내리기는 세 가지 동작으로 분석될 수 있다. 즉 릴리스, 비행, 착지이다.
3-1운동 기능 분석
정상급 선수들의 운동 수행 능력을 관찰하면, 우수한 경기력을 발휘할 때의 속도,리 듬, 파워, 신체 자세 및 기타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것들은 운동기술의 움직임 패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엘리트 선 수들의 운동수행과정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비디오 테이프를 관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경우, 엘리트 선수들의 운동기능을 정상 속도 및 느린 동작으로 반복 해서 관찰할 수 있다. 체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엘리트 선수들의 운동기술은 대부 분이 공통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엘리트 선수들은 동일한 방법으로 그들의 체중을 이동시키고 근육을 유사하게 연 계적으로 가동시킨다. 엘리트 선수들의 이러한 공통적 양상은 그들이 운동 역학적 지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받았기 때문이다. 즉, 엘리트 선수들 모두는 운동수행과정에서 운동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힘, 속도, 스핀 등을 발휘 할 수 있는 동작을 코치로부터 공통적으로 지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적 양상들을 체형, 체격, 성장에 관계없이 철저하게 지도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원리들은 다른 모든 스포츠의 운동기능에서도 적용된다. 정상급 선수들 은 철저한 역학적 원리에 근거하여 훌륭한 운동기능을 구사하기 때문에 선수들을 지도 할 때 좋은 본보기가 된다.
추천자료
생활 체육의 의의, 필요성 및 역할.
노인 생활 체육 프로그램
연령별 생활 체육
사회(생활)체육 지도 대상론
[남북한 종교비교][남북한 여가생활비교][남북한 명절비교][남북한 민속놀이비교][남북한 체...
현대생활과 체육의 필요성
3)체육-1. 건강생활의 첫걸음 -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위생 습관을 바르게 알고 실천하기
3)체육-1. 건강 생활의 첫걸음 - 질병 예방을 위한 위생 습관 실천하기
고대 중국 스포츠 체육, 특징, 활동, 정의, 생활, 유래, 쿵푸, 종교, 사냥, 수렵, 무용, 족구...
원시 스포츠 특징, 체육 활동, 정의, 생활, 유래, 유희, 종교, 행사, 원시시대 체육, 가치, ...
장애인 생활 체육
[현대생활과 체육] 수업정리 시험기출문제
[수업지도안, 학습지도안, 활동지도안] 체육과 교양과목 수업지도안, 체육과 교양수업 건강한...
[체육과 건강] 체중조절과 운동처방, 비만과 올바른 식생활 (고등학생대상 수업계획서, 교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