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인기
• 성인기
▣ 청년기
Ⅰ. 청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
2. 심리적 발달
3. 사회적 발달
4. 사회복지실천체계에서의 관심영역
Ⅱ. 청년기 문제사례
Ⅲ. 문제 사례와 이론 접목 - 융의 분석심리이론
Ⅳ .문제개입에 대한 해결방안
▣ 성년기
Ⅰ. 성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
2. 심리적 발달
3. 사회적 발달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심영역
Ⅱ. 성년기 문제 사례
Ⅲ. 문제 사례와 이론 접목
<문제 발생의 원인>
1. 사회적 요구
2. 개인적 요인
3. 남성의 가사활동 참여율이 낮음
<문제점>
1. 심리적 문제
2. 신체적 문제
<문제와 이론 접목>
1. Erikson의 자아심리이론
2. Berne의 교류분석이론
※ 슈퍼우먼증후군 [superwoman syndrome]
Ⅳ. 문제 개입에 대한 해결방안
• 성인기
▣ 청년기
Ⅰ. 청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
2. 심리적 발달
3. 사회적 발달
4. 사회복지실천체계에서의 관심영역
Ⅱ. 청년기 문제사례
Ⅲ. 문제 사례와 이론 접목 - 융의 분석심리이론
Ⅳ .문제개입에 대한 해결방안
▣ 성년기
Ⅰ. 성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
2. 심리적 발달
3. 사회적 발달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심영역
Ⅱ. 성년기 문제 사례
Ⅲ. 문제 사례와 이론 접목
<문제 발생의 원인>
1. 사회적 요구
2. 개인적 요인
3. 남성의 가사활동 참여율이 낮음
<문제점>
1. 심리적 문제
2. 신체적 문제
<문제와 이론 접목>
1. Erikson의 자아심리이론
2. Berne의 교류분석이론
※ 슈퍼우먼증후군 [superwoman syndrome]
Ⅳ. 문제 개입에 대한 해결방안
본문내용
t)
자아존중감이 낮음(Low self-esteem)
3. 남성의 가사활동 참여율이 낮음
맞벌이 부부 사이에서 남성의 가사활동 참여는 여성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탓에 맞벌이 여성은 가사와 직장 일을 모두 해내야하는 '슈퍼우먼 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해 11~12월 만 19~69세 (맞벌이 가정)의 남성 1014명, 여성 993명 등 2007명을 상대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성은 가사일 10회 중 6.49회, 남성은 3.49회가 평균치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안상수 연구위원은 “아직도 가사활동에서 성별 구분이 뚜렷해 맞벌이조차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가사활동은 주로 여성이 맡는 것을 비롯해 가사활동의 통념적인 성별 구도가 지속되고 있다”며 “성 평등 의식이 높거나 맞벌이하는 남성은 가사 참여가 일반 남성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졌지만, 가정에서 성별 분업적인 구도를 벗어나기에는 여전히 크게 미흡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한편 남성 응답자들은 가사활동 참여를 꺼리는 이유로 ‘시간적 압박’(40.5%), ‘가사 일의 숙련도’(39.7%), ‘한번 하면 자꾸 해야 할 것 같아서’(25.2%) 등을 꼽았다.
(참고: 박모금. 맞벌이 여성은 슈퍼우먼?. 2010.6.28. New Daily)
<문제점>
1. 심리적 문제
슈퍼우먼 증후군에 시달리는 여성들은 자기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거나 스스로 에너지를 충전하는 시간을 갖지 못한다. 시간적 여유가 난다 해도, 자기 혼자만의 조용한 시간을 갖는 다는 것을 이기적이고 사치스러운 시간으로 여긴다.
또한 이들은 항상 도달 할 수 없는 범위의 목표를 두고, 그를 이루기 위해 심리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떠안는다. 그들은 생산성과 눈에 보이는 성과로만 자기 자신의 가치를 점수 매긴다.
2. 신체적 문제
현기증, 호흡곤란, 허탈감, 눈 질환, 두통, 불안감 등의 여러 증세
<문제와 이론 접목>
1. Erikson의 자아심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중 성인기는 7번째 단계인 ‘생산성 대 침체’에 속한다. 생산성대 침체 단계에서는 직장과 확대가족에 책임을 지며 이들에 대한 보호능력을 키우는 단계이다. 과거 전통사회에서 여성은 주로 가정과 가사 돌보기에, 남성은 직장에서 이러한 생산성 단계를 수행해나갔다. 여성과 남성의 생산성 수행이 어느 정도 분담이 된 것이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맞벌이 가정이 늘어가면서 여성은 가정 뿐 아니라, 직장에서까지 모든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부담을 떠안게 되었다. 슈퍼우먼증후군은 이러한 이중적 책임의무를 안고 있는 여성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 Berne의 교류분석이론
이 여성은 어린시절 가정 내에서 부모님(주요 타인)의 영향을 받아왔다. 부모의 내면에 있는 어버이 자아(P)에서 ‘여자답게 행동해야 한다’는 대항금지령을 받아 온 것이다. 이 여성은 이에 맞게 행동하기 위해 섬세하고 여성스러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초기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자신의 "인생각본"은 현모양처로 잡아갔다.
그러나, 대학에 다니고, 취업을 하면서 ‘유능하고, 매력있는 여성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부딪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기대감에도 부응하기 위해 이 여성은 가정 내에서는 여성스럽게 ‘아내, 딸, 엄마’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해내고, 직장에서는 ‘유능한 직장인’으로의 역할을 완벽히 수행해내는 ‘슈퍼우먼’이라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재결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여성들은 대부분 “I'm not OK, You're OK”라는 대인관계에 대한 관념을 형성하고“I'm OK, You're OK"의 상태에 이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자기 자신에 대해 만족할 수 있는 자아의 목표를 과도하게 높게 잡고, 주변 사람들과 자기 자신에게 완벽한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의 주체적인 모습보다는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자기의 감정을 억제하고, 인내하는 모습을 보이며 자기 속박적인 모습까지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인생각본과 다른 삶을 살아가게 되고, 슈퍼우먼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된 것이다.
※ 슈퍼우먼증후군 [superwoman syndrome]
여성들이 가정과 직장에서의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려고 할 때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심리적 대인관계의 스트레스 증후군이다.
엘리트를 지향하는 직업여성들에게서 볼 수 있는 스트레스 증후군으로 미국의 정신신경학자 M.슈비츠가 이름 붙였다. 처음 미국에서 이러한 증후군이 나타났고, 이어 각국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우아한 몸매, 충실한 사생활, 뛰어난 사무처리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해지려고 지나치게 신경을 쓴 나머지 지쳐버리는 현상이다. 이 이면에는 현기증, 호흡곤란, 허탈감, 눈 질환, 두통, 불안감 등의 여러 증세를 보인다.
여성이 우선 책임자로 규정되는 가정 내에서 아내·어머니·주부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는 동시에 직장에서 직장인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고자 할 때, 여성들은 가정일과 직장일을 이중 부담으로 모든 것을 떠맡게 된 결과인 것이다.
그러나 가부장제 사회에서는 슈퍼우먼을 직장과 가정을 성공적으로 병행하고 있는 능력있는 여성으로 본다. 이러한 시각은 사회 전체의 문제를 개인의 해결에 맡겨버리는 모순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도 정작 자기 자신을 위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낳게 된다.
노동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휴업급여, 장해보상 등을 받을 수 있는 업무상 재해에 이 슈퍼우먼증후군을 추가하고 있다.
Ⅳ. 문제 개입에 대한 해결방안
1. 스스로의 가치를 ‘일을 완벽히 수행해 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 그 자체’로 인식하도록 할 것
- 혼자만의 시간 갖기
- 완벽주의적인 생각에서 벗어나기: 들어주기 힘든 부탁은 거절하기 등
- 문제를 다른 사람과 함께 해결하기: 혼자 모든 부담을 떠안지 않기
2. (Berene의 이론과 관련) 재결정
- 자아상태의 변화로 행동 변화할 것: 스스로를 사랑하기
3. (Berene의 이론과 관련) 발달의 목표는 ‘자아인식의 증진’과 ‘자신의 삶에 대한 주도권’임을 인식할 것
자아존중감이 낮음(Low self-esteem)
3. 남성의 가사활동 참여율이 낮음
맞벌이 부부 사이에서 남성의 가사활동 참여는 여성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탓에 맞벌이 여성은 가사와 직장 일을 모두 해내야하는 '슈퍼우먼 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지난해 11~12월 만 19~69세 (맞벌이 가정)의 남성 1014명, 여성 993명 등 2007명을 상대로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성은 가사일 10회 중 6.49회, 남성은 3.49회가 평균치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안상수 연구위원은 “아직도 가사활동에서 성별 구분이 뚜렷해 맞벌이조차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가사활동은 주로 여성이 맡는 것을 비롯해 가사활동의 통념적인 성별 구도가 지속되고 있다”며 “성 평등 의식이 높거나 맞벌이하는 남성은 가사 참여가 일반 남성들보다 상대적으로 많아졌지만, 가정에서 성별 분업적인 구도를 벗어나기에는 여전히 크게 미흡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한편 남성 응답자들은 가사활동 참여를 꺼리는 이유로 ‘시간적 압박’(40.5%), ‘가사 일의 숙련도’(39.7%), ‘한번 하면 자꾸 해야 할 것 같아서’(25.2%) 등을 꼽았다.
(참고: 박모금. 맞벌이 여성은 슈퍼우먼?. 2010.6.28. New Daily)
<문제점>
1. 심리적 문제
슈퍼우먼 증후군에 시달리는 여성들은 자기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거나 스스로 에너지를 충전하는 시간을 갖지 못한다. 시간적 여유가 난다 해도, 자기 혼자만의 조용한 시간을 갖는 다는 것을 이기적이고 사치스러운 시간으로 여긴다.
또한 이들은 항상 도달 할 수 없는 범위의 목표를 두고, 그를 이루기 위해 심리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떠안는다. 그들은 생산성과 눈에 보이는 성과로만 자기 자신의 가치를 점수 매긴다.
2. 신체적 문제
현기증, 호흡곤란, 허탈감, 눈 질환, 두통, 불안감 등의 여러 증세
<문제와 이론 접목>
1. Erikson의 자아심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중 성인기는 7번째 단계인 ‘생산성 대 침체’에 속한다. 생산성대 침체 단계에서는 직장과 확대가족에 책임을 지며 이들에 대한 보호능력을 키우는 단계이다. 과거 전통사회에서 여성은 주로 가정과 가사 돌보기에, 남성은 직장에서 이러한 생산성 단계를 수행해나갔다. 여성과 남성의 생산성 수행이 어느 정도 분담이 된 것이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맞벌이 가정이 늘어가면서 여성은 가정 뿐 아니라, 직장에서까지 모든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부담을 떠안게 되었다. 슈퍼우먼증후군은 이러한 이중적 책임의무를 안고 있는 여성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 Berne의 교류분석이론
이 여성은 어린시절 가정 내에서 부모님(주요 타인)의 영향을 받아왔다. 부모의 내면에 있는 어버이 자아(P)에서 ‘여자답게 행동해야 한다’는 대항금지령을 받아 온 것이다. 이 여성은 이에 맞게 행동하기 위해 섬세하고 여성스러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초기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자신의 "인생각본"은 현모양처로 잡아갔다.
그러나, 대학에 다니고, 취업을 하면서 ‘유능하고, 매력있는 여성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부딪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기대감에도 부응하기 위해 이 여성은 가정 내에서는 여성스럽게 ‘아내, 딸, 엄마’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해내고, 직장에서는 ‘유능한 직장인’으로의 역할을 완벽히 수행해내는 ‘슈퍼우먼’이라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재결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여성들은 대부분 “I'm not OK, You're OK”라는 대인관계에 대한 관념을 형성하고“I'm OK, You're OK"의 상태에 이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자기 자신에 대해 만족할 수 있는 자아의 목표를 과도하게 높게 잡고, 주변 사람들과 자기 자신에게 완벽한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의 주체적인 모습보다는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자기의 감정을 억제하고, 인내하는 모습을 보이며 자기 속박적인 모습까지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인생각본과 다른 삶을 살아가게 되고, 슈퍼우먼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된 것이다.
※ 슈퍼우먼증후군 [superwoman syndrome]
여성들이 가정과 직장에서의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려고 할 때 경험하게 되는 신체적·심리적 대인관계의 스트레스 증후군이다.
엘리트를 지향하는 직업여성들에게서 볼 수 있는 스트레스 증후군으로 미국의 정신신경학자 M.슈비츠가 이름 붙였다. 처음 미국에서 이러한 증후군이 나타났고, 이어 각국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우아한 몸매, 충실한 사생활, 뛰어난 사무처리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해지려고 지나치게 신경을 쓴 나머지 지쳐버리는 현상이다. 이 이면에는 현기증, 호흡곤란, 허탈감, 눈 질환, 두통, 불안감 등의 여러 증세를 보인다.
여성이 우선 책임자로 규정되는 가정 내에서 아내·어머니·주부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는 동시에 직장에서 직장인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고자 할 때, 여성들은 가정일과 직장일을 이중 부담으로 모든 것을 떠맡게 된 결과인 것이다.
그러나 가부장제 사회에서는 슈퍼우먼을 직장과 가정을 성공적으로 병행하고 있는 능력있는 여성으로 본다. 이러한 시각은 사회 전체의 문제를 개인의 해결에 맡겨버리는 모순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도 정작 자기 자신을 위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낳게 된다.
노동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휴업급여, 장해보상 등을 받을 수 있는 업무상 재해에 이 슈퍼우먼증후군을 추가하고 있다.
Ⅳ. 문제 개입에 대한 해결방안
1. 스스로의 가치를 ‘일을 완벽히 수행해 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 그 자체’로 인식하도록 할 것
- 혼자만의 시간 갖기
- 완벽주의적인 생각에서 벗어나기: 들어주기 힘든 부탁은 거절하기 등
- 문제를 다른 사람과 함께 해결하기: 혼자 모든 부담을 떠안지 않기
2. (Berene의 이론과 관련) 재결정
- 자아상태의 변화로 행동 변화할 것: 스스로를 사랑하기
3. (Berene의 이론과 관련) 발달의 목표는 ‘자아인식의 증진’과 ‘자신의 삶에 대한 주도권’임을 인식할 것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융의분석심리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사회복지실천에서의 클라이언트 중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적이론의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연합주의이론 - Thorndike의 연합주의 및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과 W...
중간과제물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행동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
방통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행사 유아교육 E 프로이트
인간행동과사회환경D>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이...
교재에 있는 ‘반두라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지치료이론 중 엘리스의 A-B-C-D-E 이론을 요약 정리하고, 구체적인 예...
[인문과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프로이드 에릭슨 아들러의 이론 중 택 1하여 주요개념을 기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최소 3개 이상 들어...
소개글